•  로그인하세요

게임메카

  • 게임메카
    홈

  • 뉴스

  • 프리뷰
    리뷰

  • 특집기사

  • 게임 잡지

  • 게임정보

  • 모바일

  • 웹게임

  • 팸

  • 이벤트

게임공략

  • 메카 국민트리

  • 킹오파AFK

  • 뱀피르

  • 세나 리버스

  • 레이븐2

  • 아스달 연대기

  • 승리의 여신: 니케

  • 블소 레볼루션

  • 폰 배경

  • 뉴스
  • 프리뷰/리뷰
  • 특집
  • 게임정보
  • 모바일
  • 웹게임
  • 게임잡지
  • 팸
  • 이벤트
  • 국민트리
  • 모바일 전체
  • 뉴스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 무료선물
  • 신작정보
  • 애플무료
  • 안드로이드 무료
  • 유저리뷰

MMORPG 본질이 될 신작,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 티저 공개

2025.07.07 22:36:06 • 조회수 2670

폭스토리

하반기 화력이 거세다. 내노라 하는 기업들이 앞다투어 다음 세대 MMORPG를 논한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이름은 단연 이클립스다. 언리얼엔진 5를 사용한 AAA 타이틀은 티저 페이지 공개와 동시에 뜨거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대적 짧은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방식으로 세계를 설계했는지, 어떤 방향으로 전투를 구성했는지, 유저에게 무엇을 보여주고자 하는지 예측이 가능해서다. 게다가 후속 보도자료들을 토대로 예측하건대 전투와 공간, 몰입과 표현력의 균형이 잘 잡혀 있었다. 장르가 가진 본질을 가장 설득력 있게 시각화한 MMORPG란 판단이 선다.


지형을 전략으로 바꾼 MMORPG


MMORPG에서 지형은 대부분 배경이었다. 조형물, 고저차, 지면의 넓고 좁음은 시각적 구성 요소에 그쳤다. 하지만 이클립스는 달랐다. 지형 자체를 전투의 변수로 바꾸었다. 높낮이에 따른 시야 확보, 엄폐물 활용, 이동 루트 제한 등 게임 안의 ‘땅’과 ‘벽’이 유의미하게 작동한다.


예를 들어, 고지대를 선점한 플레이어는 사거리나 시야 확보에서 유리하다. 반면 좁은 공간에서는 광역 스킬보다 단일 타격 스킬이 빛을 발한다. 함정이나 구조물을 끼고 회피할 수도 있다. 각 설계는 단순한 연출이나 맵 디자인을 넘어 게임 플레이 자체를 바꾸는 핵심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이클립스는 지형 기반 전투를 주요 콘텐츠의 중심 축으로 끌어올렸다. 그 결과 전투는 단순히 스펙이나 타이밍 싸움이 아니게 됐다. 쉽게 말해 플레이어는 실시간 공간 인식과 판단력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그 속도가 전투의 승패를 좌우하는 구조가 될 거다.


언리얼 엔진 5가 보여준 감정 연출


언리얼 엔진 5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하지만 단순히 해상도와 질감 표현을 높인 게임은 아니다. 빛과 그림자, 공간감, 실루엣의 배치, 시야의 차단까지. 그래픽은 몰입을 위한 설계의 도구로 사용된다. 티저 영상에서 보이는 성소 내부, 광원 하나만으로 이어지는 공간, 정체불명의 조형물과 인물의 등장 타이밍은 단순한 미장센이 아니다.


시청자에게 감정을 유도하고, 세계관을 추론하게 만드는 연출이다. 특히 영상 후반부의 완전한 어둠과 그 안에서 깨어나는 힘, 그리고 “The Awakening”이라는 문구는 시각적으로도, 메시지적으로도 명확한 인상을 남긴다. 사실 언리얼 엔진 5는 고사양 그래픽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그리고 소개한 IP가 그 사실을 가장 잘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는 사례다. 기술로 감정을 설계하고, 연출로 몰입을 만든다. 해당 구조는 MMORPG에서 보기 드문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이다. 그리고 그 특이점이 곧 새로운 세대의 좌표가 될 거다.


크로스플랫폼 MMORPG, 양쪽 모두 놓치지 않는다


이클립스는 모바일과 PC를 모두 지원하는 크로스플랫폼 MMORPG다. 중요한 건 단순한 접속 가능 여부가 아니다. 플랫폼 간의 경험 차이를 최소화하려는 설계 의지가 눈에 띈다. 화면 구성, UI 배치, 조작 입력 등에서 플랫폼 최적화를 고려했고, 전투 템포와 시야 구성도 각 플랫폼의 하드웨어에 맞게 조정 중이다.


곧, 모바일과 PC에서 동일한 감각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지형 전투가 중요한 구조에서는 조작감의 정밀도와 카메라 시점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 부분에서 플랫폼에 따라 불리하지 않도록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게다가, 멀티 플랫폼 기반의 데이터 연동은 플레이어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를 이어갈 수 있는 장점을 준다. 진짜 크로스플랫폼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방향성이 분명히 보인다. 그래서 영상 시청부터 권한다. 티저 영상은 단 25초.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저들이 반응한 이유는 명확하다.


영상은 전투를 보여주지 않았다. 대신 공간을 보여주었고, 분위기를 보여주었으며, 갈등의 조짐을 비췄다. 짧은 장면이지만 스토리와 구조가 있는 세계라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했다. 예를 들어, 영상 초반 어두운 회랑에서 등장하는 로브 캐릭터와 빛의 줄기. 그 사이에 자리한 조형물과 짧은 발자국 소리는 이 세계가 단순한 판타지 공간이 아닌 의미 있는 무대로 작동함을 암시한다.


그 외에도 이형 존재의 등장, 아티팩트의 암시, 완전한 어둠 이후 등장하는 메시지까지. ‘각성’이라는 콘셉트가 게임 전체의 핵심으로 기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형성시킨다. 티저 하나로 스토리, 세계관, 전투 설계, 감정 연출을 이만큼 응축시킨 게임은 드물다. 그 확실히 설계 철학이 살아 있는 MMORPG라 할 수 있다.


검증된 개발사와 퍼블리셔


이클립스는 ‘그랑사가’로 멀티 플랫폼 노하우를 입증한 엔픽셀이 개발하고, ‘로스트아크’로 대작 MMORPG 운영을 경험한 스마일게이트가 퍼블리싱을 맡는다. 엔픽셀은 단순히 고퀄리티 그래픽을 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버 안정성, 콘텐츠 업데이트 주기, 유저 커뮤니케이션 등 서비스 전반에서 탄탄한 인상을 남긴 바 있다.


스마일게이트는 글로벌 대형 퍼블리셔로서 장기 운영과 커뮤니티 관리, 이벤트 운영 경험에서 신뢰도가 높다. 이 두 기업의 조합은 단순히 신작 하나를 내놓는 수준을 넘어, 장기적인 서비스 안정성과 콘텐츠 확장을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한다.


그래서 권한다.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은 지금껏 MMORPG가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던 지형 전투, 시야 연출, 크로스 플랫폼 설계, 감정 중심 몰입감을 명확히 드러냈다. 기술이 아닌 철학, 시스템이 아닌 구조. 그 방향성과 메시지를 동시에 가진 작품이다.


물론, 아직 구체적인 콘텐츠는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티저만으로도 전달된 분위기와 의도는 분명하다. 이클립스는 단순히 새로운 게임이 아니라, MMORPG 본연의 재미를 다시 설계한 새로운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유저가 기대하는 건 단순히 화려한 전투나 유명한 IP가 아니다. 내가 게임 안에서 주도적으로 움직이며, 판단하고, 몰입할 수 있는 구조다. 그 첫 걸음이, 2025년 하반기 MMORPG 판도를 바꿔놓을 가능성이 크다.

0 0
댓글 4 (댓글을 달면 1포션이 지급됩니다)

바타2025.07.08 08:35

신고삭제

하반기에 눈길이 가는 신작이 없었는데 드디어 나타났네요 티저보고 왔는데 퀄 미쳤네ㅋ

새로2025.07.08 08:38

신고삭제

요즘 mmo 너무 많아서, 거기서 거기같았는데 이건 좀 기대해보겠습니다!!

라바이브2025.07.08 09:30

신고삭제

티저 영상 하나만으로 RPG 느낌을 잘 보여주네요, 진짜 하반기 기대됩니다

초록빛바닷물2025.07.08 11:55

신고삭제

퀄리티가 진짜 좋네요

  • 댓글 보기
목록보기글쓰기
  • 5:5 멀티 축구게임 리매치(REMATCH...감귤라테 조회수 3785 • 2달 전
  • 로브·맨발·빛… 이클립스: 더 어웨이크닝 ...나야나비야 조회수 3530 • 3달 전
  • 젠레스 존 제로 x 프랭크버거 커밍순, 냠...폭스토리 조회수 4042 • 3달 전
  • 젠레스 존 제로 2.0 업데이트 신규 에이...라바이브 조회수 3494 • 3달 전
  • 닌텐도 스위치2 게임 용과 같이0 맹세의 ...라바이브 조회수 3321 • 3달 전
  • 클라스가 다른 넥현카 혜택 퀘스트, 최대 ...바타 조회수 3595 • 3달 전
  • 소울스트라이크 X 강철의 연금술사 콜라보 ...겜소식알려드려요 조회수 3733 • 4달 전
  • 다크 판타지에 액션 RPG 한 스푼, 디아...폭스토리 조회수 4247 • 4달 전
  • 포스의 힘으로 다시 한 번, 카발 RED ...폭스토리 조회수 4025 • 4달 전
  • 원신X박카스맛 젤리 팝업스토어 '박맛젤 살...라바이브 조회수 4101 • 4달 전
  • 더보기

이벤트

  • 이벤트 더보기

게임잡지 게임챔프

98년 11월호부터 게임챔프가 GAME POWER로 제호가 변경되었습니다.
  • 2000년 12월호 2000년 12월호
  • 2000년 11월호 2000년 11월호
  • 2000년 10월호 2000년 10월호
  •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부록
  • 2000년 9월호 2000년 9월호
  • 잡지 더보기
  • 메카홈
  • 뉴스
  • 프리뷰/리뷰
  • 특집
  • 게임잡지
  • 국민트리
맨위로

로그인 PC버전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광고안내 | 고객센터 언론윤리강령 | 기사제보 | 독자권익보호
(주)제우미디어 | 등록번호: 서울아00762 | 등록일자: 2009.02.20 | 제호: 게임메카 | 발행인: 서인석 | 편집인: 남장우
청소년보호책임자: 류종화 | 발행소: 서울 마포구 독막로 76-1 한주빌딩 5층 | 발행일자: 2000.04.22 | 전화번호: 02-3142-6841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류종화 02-3142-6846 mecadesk@gamemeca.com

ⓒ GAMEMECA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