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미국 게임시장 규모 304억 달러, 한국의 약 3배
2017.01.22 15:49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미국 ESA 로고 (사진출처: ESA 공식 홈페이지)
2016년 미국 게임시장 규모가 공개됐다. 총 규모는 304억 달러, 한화로 약 35조 7,500만 원이다. 2016년 시장 규모가 11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는 한국과 비교하면 약 3배 수준이다.
미국 게임산업협회 ESA(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는 지난 1월 19일(현지 기준) 미국 시장조사 전문기업 NPD 그룹과 함께 2016년 게임산업 총 매출을 조사해 이를 발표했다. 2016년 총 매출은 304억 달러로 2015년 매출액, 302억 달러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다. 총 매출에는 현지에서 판매되는 모든 게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주변 장치 등이 포함된 수치다.
ESA는 총 매출을 발표하며 게임 매출 규모를 따로 발표했다. 미국 게임 소프트웨어 매출은 2015년보다 5.6% 늘어난 245억 달러(한화로 약 28조 8,120억 원)이다. 이 매출에는 패키지 상품과 다운로드 콘텐츠, 모바일게임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ESA는 '포켓몬 GO'가 출시되며 모바일게임이 문화적 현상으로까지 확산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3DS로 출시된 '포켓몬스터 썬/문'이 프렌차이즈 사상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 외에도 '배틀필드 1',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 '매든 NFL 17', 'NBA 2K17', '톰 클랜시의 더 디비전'과 같은 대작이 콘솔 플랫폼에서 소비자 지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오큘러스 리프트, HTC 바이브, PS VR이 출시되며 가상현실이 소비자 시장에 도달했다는 점이 2016년 주요 이슈로 손꼽혔다. ESA 마이클 D 갤러거 CEO는 "2016년은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있어 중요한 한 해였다. 업계의 혁신적인 천재성과 이에 참여하는 전세계 수십억 명의 게이머들을 바탕으로 기록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NPD 그룹은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소비자 지출 증가는 모바일, PC, 가상현실, 휴대용, 디지털 다운로드 등 다양한 부분에서 나타났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이를 즐기는 것에 있어서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발자는 보다 쉽고 간편하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플랫폼에 관계 없이 엔터테인먼트 소프트는 그 어느 때보다 매력적이고, 다양하며, 접근이 용이하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의 경우 2016년 기록은 없으나 2015년 게임 시장 규모 조사 결과가 있다. 지난 12월에 발간된 2016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5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10조 7,223억 원으로 2014년보다 7.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6년 게임시장 규모는 11조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SNS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소울라이크 신작 명말 ‘압도적으로 부정적’
-
2
김용하 PD "미소녀게임 'AI 딸깍'으로는 못 만든다"
-
3
불쾌한 뒷맛 남긴 소울라이크, 명말: 공허의 깃털
-
4
[겜ㅊㅊ] ‘압긍’인데 덜 유명한, 스팀 속 ‘숨겨진 보석’ 5선
-
5
사이버펑크 도시에서 전투 없이 살아가는 '니발리스'
-
6
"서버 내려도 게임 유지하라" 캠페인, 서명 140만 명 돌파
-
7
송하나도 공략 대상, 오버워치 미연시 새 버전 中 출시
-
8
'선생님' 위한 공간, 블루아카 첫 상설 카페 용산에 열린다
-
9
용녀 키우는 육성시뮬 신작 '드래플린', 유저 한국어 패치
-
10
국내 논란 불구,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900만 유저 돌파
lsg2017-01-22 19:37
신고삭제중국 일본에도 한국보다 인구수가 많으니 당연 클듯
B-962017.01.22 19:32
신고삭제차이가 3배밖에 안 난다니 미국 시장이 작은건가 한국 시장이 큰건가
lsg2017.01.22 19:37
신고삭제중국 일본에도 한국보다 인구수가 많으니 당연 클듯
lsg2017.01.22 19:58
신고삭제미국은 게임하는에 인구수 많은데 이용료 저렴하던가 무료 많은가 보는듯
유료 무료인지 온라인상은 잘보고 해야 될테니 ~ 오프상 xbox 나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그런은 구매 cd타이틀 및
어떤분은 지난 2010년 이전 게임 어느 사이트인지 회원 가입만 하고 게임 하지도 안했는데
전화비 엄청 나와서 회원 탈퇴하고 게임 사이트 회원이며 절대로 하지 않던데 한것도 없었는데도
그러 안해도 가계부채 저소득 대학생 평균빚 수많은 각종 어떻고 그런 판에 하지도 안하고 비용만 납부였으면
얼마나 그러했겠는지
악마이2017.01.23 10:50
신고삭제1인당 모바일게임에 쓰는 돈이 다를듯?
미르후2017.01.23 17:49
신고삭제증가하면 뭐함? 보나마나 또 정부라는 곳이 또 게임을 가지고 중독이네 뭐네 혹은 규제네 뭐네 할텐데... 이놈의 나라는 규제의 나라임 ㅋㅋ 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