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양극화, 상장사만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2021.04.20 18:30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작년에 게임업계에 나타난 현상은 양극화 심화다. 2020 게임백서에는 국내 게임사 458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피해 현황을 조사한 결과가 담겼는데 회사 규모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 중 하나인 종사자 규모가 작을수록 ‘매출 감소’를 많이 꼽았다.
게임업계 주요 비상장사 실적에도 이러한 양극화가 나타났다. 외감법에 따르면 비상장사라도 일정 기준 이상이면 1년에 한 번 이상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직전 사업연도(2020년) 말 기준 자산총액이 500억 원 이상이거나 매출 500억 원 이상인 회사다. 두 가지 중 하나에만 해당해도 외부감사 대상이다. 이어서 자산총액 120억 이상, 부채총액 70억 이상, 매출 100억 원 이상, 정규직 직원 100명 이상 중 2개 이상에 해당하면 이 역시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에 따라 4월 20일 기준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주요 게임 비상장사 실적을 살펴보면 대형 회사와 중소 게임사의 상황이 상반됐다. 대형 업체는 성과가 늘고, 중소 게임사의 경우 매출이 늘었음에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거나 적자로 전환된 사례가 많았다.
대형 업체를 대표하는 측은 크래프톤과 스마일게이트다. 크래프톤은 작년에 매출 1조 6,704억 원, 영업이익 7,739억 원을 달성했고 이는 2019년보다 매출은 54%, 영업이익은 115% 늘어난 수치다. 이어서 스마일게이트는 매출은 14% 늘어난 1조 73억 원,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3,646억 원이다. 두 회사 모두 2019년보다 호실적을 거뒀고, 스마일게이트는 처음으로 연매출 1조 원을 달성했다.

반면 중소 게임사로 분류되는 시프트업, 라인게임즈, 스코넥엔터테인먼트, 아이엠씨게임즈, 나딕게임즈, 코그 등은 전년보다 실적이 악화됐거나 매출 증가에도 적자를 면치 못했다. 아이엠씨게임즈의 경우 매출은 2019년보다 83% 증가했음에도, 인건비와 지급수수료 증가로 영업비용이 45% 늘며 적자를 지속했다. 적자폭이 많이 감소한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지만 매출 증가가 흑자전환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시프트업과 라인게임즈도 상황이 비슷하다. 시프트업은 매출은 77% 늘어났는데, 영업손실은 113억 원으로 전년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이어서 라인게임즈는 매출은 전년보다 183% 증가했으나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는데, 이 회사의 경우 영업비용 세부 내용을 보면 지급수수료가 2019년보다 185% 뛰었다.

이 외에도 클로저스 개발사인 나딕게임즈는 영업이익이 적자전환됐고, 그랜드체이스, 엘소드, 커츠펠 등을 대표작으로 하는 코그(KOG)는 매출도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31% 줄었다. VR 게임을 주력으로 한 스코넥엔터테인먼트 역시 매출은 전년보다 3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지속했다.
관련 내용에서 뽑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슈는 ‘지급수수료’다. 이 지급수수료에는 다양한 비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주로 차지하는 것은 구글, 애플 등 앱마켓에 지급하는 수수료와 외부 IP 사용에 대한 로열티 비용이다. 앱 수수료의 경우 매출 기준 30%이기에 매출이 늘어날수록 비용도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IP 로열티 역시 통상적으로 매출 기반으로 비용이 책정된다. 게임산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높은 편이지만 주요 플랫폼이 모바일로 넘어오고, IP 중요성이 높아지며 유명 원작을 기반으로 한 게임이 늘어나며 이익을 내기 위한 허들이 높아지는 경향이 이어지는 셈이다.
아울러 올해의 경우 게임업계 전체적으로 인건비 증가가 예상된다. 대형 게임사가 연쇄적으로 기존 직원 및 신입시원 연봉을 높이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게임사 역시 인력유출을 방어하기 위해 연봉을 높여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실제로 조이시티, 베스파 등 상장사는 물론 작년 3월에 첫 게임 로드 오브 히어로즈를 출시한 클로버게임즈, 랜덤다이스로 알려진 111퍼센트 등도 연봉 인상을 결정한 바 있다. 앞서 이야기한 지급수수료 문제가 남은 가운데, 올해는 인건비 상승이라는 또 다른 허들이 생기며 게임업계 양극화는 더 심화될 전망이다.
많이 본 뉴스
-
1
[이구동성] 옛날에 산 게임을 전액 환불해준다고?
-
2
[순정남] 세계가 놀란 '인조이' 속 한국 문화 TOP 5
-
3
15일, 발더스 게이트 3에 서브 클래스 12종 추가
-
4
인조이, 모드보다 쉽게 만드는 유저 콘텐츠 봇물
-
5
6월 5일 0시 수령 가능, ‘스위치 2’ 추첨 응모 시작
-
6
오토바이 타는 소녀들, 텐센트 서브컬처 신작 공개
-
7
둠 한정판 패키지 '박스'에서 둠이 돌아간다
-
8
블루아카 라멘 팝업에서 '시바세키 라멘' 팝니다
-
9
'청불 게임' 심의 완전 민간이양, 예상 시기는 2027년
-
10
스팀 할인에 대한 게이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데세르비르2021-04-20 20:29
신고삭제어디라도 양극화는 피할수없는것같네요 누가 잘나가면 누구가는 소외되고 사라지는건 어디라도 마찬가지인듯
엉클베리2021.04.20 19:19
신고삭제자본주의 사회에서 양극화 문제는 영원한 숙제일거 같네요
퍼플울프2021.04.20 19:21
신고삭제빈익빈 부익부 자본주의시장의 피할 수 없는 숙명인 듯요.
데세르비르2021.04.20 20:29
신고삭제어디라도 양극화는 피할수없는것같네요 누가 잘나가면 누구가는 소외되고 사라지는건 어디라도 마찬가지인듯
하이엘프디드리트2021.04.21 08:59
신고삭제양극화는 늘 있었죠..넥슨 엔씨때부터..넥슨이 아마 2000년초반에 퍼블리싱 엄첨 했었고..몸집이 커져서 공룡 등장이라고 했으니..그리고 웬만한 게임은 넥슨이 퍼블리싱해서..이것도 양극화 라고 했을걸요.
Wh2021.04.21 09:43
신고삭제솔까 한국겜은 이제 좀
bae66312021.04.21 12:26
신고삭제어쩔수 없구나
meath2021.04.21 13:18
신고삭제양극화는 피할수 없는 문제이긴 하지만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느정도는 해소할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역시 지급수수료로 나가는 항목에서 매출의 증가에도 적자로 돌아서는 현실을 보게 되네요. 앱수수료보면 느껴지는 부분이 역시 배달의민족같이 단번에 떠오르는게 있네요. 어느 사업에서든 중개수수료같이 중개업체의 이윤이 너무 부풀려지는 구조가 씁쓸하군요.
너의기억2021.04.21 14:07
신고삭제양극화가 심하네요
해빌2021.04.21 14:17
신고삭제예전엔 PC게임이 주류 였는데 어느샌가 모바일게임이 태반...
수수료 떼이고 뭐 떼이고 하는거 때문에 게임 주류가 바뀌는듯
금빛기사2021.04.21 14:31
신고삭제게임업계도 양극화되어 가는게 뚜렷해져 가고 있네요
hst1112021.04.21 16:14
신고삭제예전같지 않아서 게임업계도 양극화는 피해가기가 쉽지 않겠네요 요즘 같은세상에서 매출감소를 피할수도 없겠죠 크지거나 작아지거나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 되겠네요
소불고기2021.04.21 17:49
신고삭제마땅한 대첵이 없다는게..
염원2021.04.21 22:06
신고삭제데브시스터즈, 썸에이지 등 반대 경우들도 있죠.
게임 업종은 한가지만 잘 만들어도 대박 나는 경우들이 있으니까요
브라이트2021.04.22 11:54
신고삭제모바일 게임의 퀄리티가 너무 올라갔어요. 유저 눈높이 맞추기 위해 개발비가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