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사용료 부담 때문? 트위치 화질 국내만 720p로 낮춘다
2022.09.29 12:45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트위치가 오는 30일부터 방송 최대 화질을 1080p에서 720p로 낮춘다. 이용자 및 트래픽 증가로 인한 망 사용료 부담을 덜어내려는 일환으로 보인다.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트위치는 일부 파트너 채널 도움을 토대로 한국에 한정해 P2P 사용(방송 송출에 서로 연결된 사용자 간 PC 자원을 쓴 것)을 테스트했다. 그러나 이를 도입하지 않고 화질 조정이 가능한 방송에서 최대 화질을 720p까지만 높일 수 있도록 결정했다. 이번 변경사항은 한국에만 적용되며, P2P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다수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실행 가능한 솔루션이지만 광범위하게 구현하기 전에 더 깊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한국에서만 방송 화질을 720p로 낮추는 이유에 대해서는 “한국 규정과 요건을 지속적으로 준수하는 한편, 모든 네트워크 요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을 성실히 지불해왔다”라며 “그러나 한국에서 트위치 서비스를 운영하는 비용은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했다”라고 전했다. 앞서 P2P 테스트에서도 트위치는 비용 증가에 대해 언급했다.
공지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이번 화질 조정은 망 사용료에 대한 부담 떄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트위치 분석 사이트 트위치 트래커(Twitch tracker)에 따르면 작년 트위치 연간 시청 시간은 전년보다 22% 증가한 228억 시간, 연간 평균 동시 시청자수는 31% 증가한 278만 명이다.
그리고 트위치는 국내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KINX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미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시청자 및 시청시간 상승은 트래픽 증가로 인한 비용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
아울러 최근 국내에서 추가적인 망 사용료 관련 법안이 발의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구글이 유튜브 영상 제작자를 대상으로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글로벌 영상 플랫폼을 겨냥한 법안 발의로 트위치 역시 압박감을 느껴 사전에 비용을 절감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인조이, 출시와 함께 전세계 판매 1위
-
2
유저 모드 위해, 크래프톤 ‘인조이’ 데누보 적용 취소
-
3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4
인조이, 게임 초반 놓치기 쉬운 ‘꿀팁’ 7선
-
5
배틀그라운드, 삼뚝과 의인화 '총기' 간 미연시 공개
-
6
진짜 나오나? 팰월드 미연시 스팀 페이지 오픈
-
7
축구공으로 때린다, 호날두 '아랑전설' 캐릭터로 등장
-
8
[오늘의 스팀] 철권 8 시즌 2 시작, 밸런스 비판 급증
-
9
[오늘의 스팀] 폴아웃 풍 신작 아톰폴, 평가 ‘매긍’
-
10
몬헌 와일즈 디렉터 “식공 하향, 해머 상향하겠다”
달빛이머무는꽃2022-09-29 13:02
신고삭제소비자, 기업 양쪽으로 돈 받는 통신사가 제일 문제고 그 다음에 12시간 전에 공지하는 트위치도 문제
이번에 최대 영업이익에 3사통신 모두 합산 4조던데 엄살 피우는거 역겹
달빛이머무는꽃2022.09.29 13:02
신고삭제소비자, 기업 양쪽으로 돈 받는 통신사가 제일 문제고 그 다음에 12시간 전에 공지하는 트위치도 문제
이번에 최대 영업이익에 3사통신 모두 합산 4조던데 엄살 피우는거 역겹
뚱밤이2022.09.29 13:37
신고삭제바보같은 생각이 나라를 좀 먹는다.
동네백수2022.09.29 15:36
신고삭제이제 유튜브도 4K 미지원 가자
아무개안경2022.09.29 16:02
신고삭제망사용료 과도하게 요구하는 집단도 문제긴 한데, 트위치의 대응도 문제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망사용료가 부담된다해도 갑작스럽게 화질 내린다고 공지를 내린다고? 그것도 시행 바로 하루전에? 그래 화질 내리는거야 기업사정상 있을수 있는 일이라칩시다. 그럼 유저들이 준비할 수 있게 시간 유예를 줘야하는거 아닙니까?
멤노크2022.09.29 20:53
신고삭제단통법 이후로 영업이익이 미쳐 날뛰고있고 여전히 폰값 통신료값도 미쳐 날뛰고있고
meath2022.09.29 23:19
신고삭제그동안 벌어두인 수익을 생각하자면 트위치에서 보여주는 대응은 이용자들에게 상당히 불만을 표출시킬 요소가 많아 보이네요. 하지만 유독 한국만 일방적으로 화질을 낮춘다면 반발은 둘째치고 여기서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진지보이2022.09.30 08:49
신고삭제스트리머 분들이 얘기하시던데..
머윤2022.09.30 16:55
신고삭제미국이 말바꾼것도 있고, 국내 통신사가 욕심을 낸 것도 있고, 트위치나 유튜브가 고객을 인질로 여론악화 시키는 것도 있고 복잡스럽네요
팔콤컬랙터2022.10.04 14:14
신고삭제이참에 전세계 돌맞고 한국 통신 3사 독점 사라지면좋겠다....
진짜 서비스 품질고 개구린 5G 반강제해서 돈빨아먹는거도 역겨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