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픽스토어에 게임 독점 출시하면 반 년간 수익 100% 준다
2023.08.24 11:03게임메카 김형종 기자

에픽게임즈 스토어에 게임을 독점 출시하면, 일정 기간 동안 수익 전액을 획득하는 프로그램이 발표됐다.
에픽게임즈는 24일 에픽게임즈 스토어에 신규 게임을 선 출시하는 개발자에게 6개월간 플랫폼 수수료를 면제하는 에픽 퍼스트런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해당 기간 이후에는 기존의 정책에 따라 12% 수수료가 부가된다.
에픽 퍼스트런 프로그램은 오는 10월 16일부터 에픽게임즈 스토어에 게임을 출시하는 모든 개발자와 퍼블리셔가 참여할 수 있다. 단 에픽게임즈 개발자 계정에 등록 해야하며, 이미 다른 PC 스토어에서 유료 사전 판매를 시작한 게임은 참여할 수 없다.
에픽게임즈 스토어에 신규 게임을 먼저 출시 판매하면서, 해당 게임의 퍼블리셔 스토어나 웹사이트를 통해 동시에 판매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린 맨 게이밍, 험블 스토어 등 에픽게임즈 스토어와 제휴된 스토어에서도 게임을 판매할 수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최대 게임 판매 플랫폼(ESD) 스팀을 견제하기 위한 시도로 분석된다. 에픽게임즈 스토어는 과거에도 스팀 수수료 30%보다 더 저렴한 12% 수수료, 공격적인 독점 계약과 마케팅 비용 지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스팀을 견제했다. 일반적으로 출시 후 6개월 동안 게임 판매량이 제일 높은 만큼, 수수료 이익을 모두 포기하고 6개월간 게임을 독점 유치하고자 하는 의도로 풀이된다.
많이 본 뉴스
-
1
베일에 싸여 있던 '아이온 2' 상세 정보, 드디어 공개
-
2
검열 반대, GoG 성인게임 무료 배포에 100만 명 참가
-
3
용산에 생긴 블루 아카이브 첫 상설 카페, 가봤습니다
-
4
카드사 압박에 스팀서 삭제된 게임을 무료로 푼 개발자
-
5
카드사 압력에, GTA도 스팀에서 판매 중단될 수 있다
-
6
중국 게임시장 성장 속, '서브컬처’는 쇠퇴하고 있다
-
7
[오늘의 스팀] 동접 33만 돌파한 배필 6, 유저 반응 보니
-
8
백화점 이어, '이터널 리턴' 님블뉴런도 폭탄 테러 위협
-
9
카카오게임즈, 크로노 오디세이 등 신작 4종 출시 연기
-
10
배틀필드 6, 테스트 사전 접속 40분만에 스팀 동접 25만
미친소2023.08.24 12:28
신고삭제에픽이 꽤 강력한 승부수를 던졌군요
달빛이머무는꽃2023.08.24 15:13
신고삭제시장 파이를 생각하면 그냥 30%주고 스팀이나 MS 윈도 스토어 등에 입점하는게 더 큰 이득일듯 절대적 파이 크기 자체가 다른데 100%라고 한들..
그리고 런처는 언제 고침?
달빛이머무는꽃2023.08.24 15:15
신고삭제그리고 좀 더 자신있으면 게임패스 원데이 입점 + 스팀으로 나오면 일단 확실한 게임패스 수익을 먹고 들어가는거니까 이런 BM이 더 매력적
은빛플룻2023.08.24 15:20
신고삭제한때 스팀의 대항마로 불렸던 적이 있었으나, 뭔가 석연치 않은 문제를 깔고 가면서 파격적인 무료 배포를 하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신뢰를 하지 않고 있고, 적극성을 띈 마케팅에도 반응은 영~~..
어쨌거나 공급이 많아질수록 수요자는 즐거운 일이니...
기톨2023.08.27 22:55
신고삭제와 이건 강한데 100% 라면 상당히 매력적인데
hephep2023.08.27 23:47
신고삭제에픽이 진짜 제대로 꼬시는 것 같은데 과연 얼마나 넘어올까나
buddhakj2023.08.27 23:57
신고삭제6개월이면 거의 게임 피크치인데 그만큼의 수익 100%를 보존하면 와 에픽의 승부수
꼬접꼬접2024.08.10 22:54
신고삭제바보네요?
에픽이 바보란게 아니라
에픽의 말만믿고 욕심에 눈이멀어 에픽에 독점 출시한 게임들 말하는겁니다.
정말로 혁신적이고 엄청난 게임이라면 에픽독점으로 이득도 크게 얻으면서 에픽을 성장시킬 공신이 될 수 있겠지만
적당히 할만한 게임 적당히 좋은 게임이라면 수수료 짊어지고 비독점작으로 내는것보다도 저조한 수익을 낼 겁니다.
에픽 독점대비 여러 플랫폼에 내서 수익상승을 기대하기 힘든 졸작 게임이라면 에픽이 좋은 선택일 수도 있겠지만 그런 졸작들은 정작 에픽은 잘 받아주지 않죠.
결국 그 해의 최다GOTY 받을 정도의 게임이 아닌이상 무덤으로 향하는겁니다. 실제로 지금 이 기사가 올라오고 1년이 지났는데요 에픽독점, 혹은 특정 플랫폼 독점작들은 전작이 있던 작품이든 시리즈 처음 작품이든 죄다 지지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묻혔습니다.
여러 에픽 독점작 개발자들이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을 것 같네요
정확하게는 개발자들이 아니라 윗대가리들의 판단 오류였겠지만 뭐 어쨋든요.
아니면 어차피 비독점작으로 냈어도 이 수익에서 수수료만 빠졌을꺼야 하고 정신승리 하고 있으려나요? ㅋㅋ
크게 비독점작 전작이 1000만장가까이 팔렸던 다키스트던전을 예로들면 얼마나 처참한지 보이는데요
다키스트던전2는 에픽독점으로 독점기간동안 100만장을 못넘겼습니다. 독점 풀리고나서 다른 플랫폼에 내면서 겨우 100만장 120만장 넘겼는데.. 사실 이미 늦은거죠. 그 기간동안 신작게임이 몇개나 나왔을것 같나요?
물론 게임성이 1과 2가 딴판이 된건 맞지만 아예 시리즈 첫 작품보다도 전작 성공작이라는 이점을 갖고 독점을 냈는데도 암담합니다.
전작 팬들이 게임성 교체로 줄어들었다 하더라도 오히려 다른 게임성이기에 신규 유저 유입도 노릴 수 있음에도 그걸 못한것을 보면 답이 어느정도 보이네요.
그리고 헬다이버즈2를 예로들어보면 1,2는 아예 시점부터가 달라졌는데요
대흥행 했거든요 지금은 운영미스로 절대 추천하기 힘든 게임이 되어버렸지만 출시했을때만큼은 대 성공이였단 말이죠.
근데 과연 에픽독점으로도 이렇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아예 시리즈물이 아닌쪽은 어떨까요? 팰월드라든가? 잠깐이였든 엄청나게 흥행했던 작품들은 대부분 이상하게도 에픽독점작이 아니였네요
혹시 에픽은 게임 숫자가 적어서 일까요? 그거 어느정도 말이 되는데요. 그럼 에픽은 게임에 대해서 이거저거 따지면서 골라받지않고 스팀처럼 폭 넓게 게임을 수용해서 독점작으로 출시하면 에픽도 스팀처럼 성공하겠네요?
성공할리가 없잖아요 그정도로 성공할만한 게임들은 독점작으로 안내는게 더 수익성이 좋다는게 이미 몇년에 걸쳐서 결과가 나왔잖아요 엑박독점 플스독점처럼 특정콘솔독점게임이야 기기자체가 다르니 논외로 치고 같은기기에 단순히 플랫폼으로 따졌을때 독점작은 흥한게 없네요? 기껏해봐야 포트나이트..? 일까요 이것도 독점으로 봐야할까요? 이미 성공한 게임에다가 독점하겠다고 수작부렸다가 망했고 그거에대한 보복으로 퇴출시킨 게임을 에픽독점작중 GOTY작이라고 하면.. 에픽게임즈가 참 불쌍하네요.
따라서 뭐 100% 독점작으로 출시해서 흥행이 저조했다!라곤 할 순 없지만
지분이 크다 라는것도 부정할 순 없지않을까요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아니 기기는 똑같고 플랫폼만 가입해서 하면 할 수 있는데 왜 플랫폼 독점작들은 흥하지 못하는지 억울할수도있겠지만
그럴 이유가 없으니 플랫폼 독점작도 성공할 수 있다! 가 아니라
계속 이런 결과가 나오는데 왜 이렇게 나오지? 가 중요한거겠고 그걸 분석해야겠죠
에픽도 쌓인적자로 직원 10%이상 잘라내고 있다는데
이미 레드존으로 바뀐곳에서 스팀이 아무것도 안하면서 돈버는것 같으니 나도 좀 참가해보겠다고 독점작으로 뻘짓하지말았으면 합니다.
에픽은 고객을 개발사들로 생각하고
스팀은 고객을 유저들로 생각하는데
여기서 흥망이 이미 갈려버린거임. 어떻게보면 스팀과 똑같은 노선을 걸어가봐야 경쟁이 안되니 차별화랍시고 다른길걷고 있는건데 뭐...일단 계속 걸어가보십쇼.
제 생각에는 스팀이 치명적인 실수를 하거나 지들 플랫폼이 거의 시장을 독점하고있다고 운영 대충할때 그럴때가 기회였을것같은데 순탄하게 운영하고 있는 스팀보고 파이 뺏겠다고 악으로 규정하고 수수료 어쩌구 하면서 지들이 정의인척해봐야 유저들은 유저친화적이고 편한 플랫폼에 갈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오히려 유저들은 독점작이랍시고 1년동안 붙들고 있다가 접근성 적어서 게임성에 비해 유저수 나락가고 비독점작이 될 때 즈음엔 이미 1년간 에픽쓰던 사람들은 공략에 성장까지 다 돼서 고인물화로 너덜너덜한 게임꼬라지를 지켜보단 유저들은 에픽스토어가 악으로 보일 수 밖에 없겠죠
에픽이 주류면 당연히 이런 현상이 안일어나겠지만 지금은 비주류고 당신들이 주류가 되기위해 발악하는 시점이니까 에픽이 유저입장에선 꼬울수밖에 없죠 아무래도.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