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학회 "등급분류 권한 민간 이관 우려된다"
2024.02.05 17:48게임메카 신재연 기자

한국게임학회가 5일, "정부의 게임물등급분류 권한을 민간기관(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이하 GCRB)으로 이관하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학회는 성명서를 통해 “지난 30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게임물등급분류 권한을 단계적으로 민간에 완전히 이관하고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사후관리, 일부 사행성 및 아케이드게임만 담당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이관 당사자인 GCRB는 전체이용가~15세이용가 PC/콘솔 게임물의 등급 분류를 정부로부터 위탁받아 대행하고 있는 민간등급분류기관으로, 우려와 더불어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더해 ▲민간기관과의 재계약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기는 식의 계획안을 성급하게 발표한 이유, ▲김규철 위원장의 언론 보도에 대해 기관장으로서 적절한지 주무부처와 게임물관리위원회의 해명, ▲게임 산업을 위한 공정하고 효율적인 게임물 심의에 대한 정부, 학계, 이용자, 산업계를 포괄하는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 등을 요구 및 제안했다.
특히 학회는 "GCRB를 통한 등급분류 위탁계약은 2019년도 11월에 재지정되어 올해인 2024년 말에 끝난다. 지금의 시기는 정부가 GCRB의 대행 업무를 평가하고 재계약 여부를 결정하는 시기다. 연장 계약이 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추가적인 역할을 부여하겠다는, 더구나 학계, 이용자 등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성급한 발표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일방적인 정부부처의 계획 추진을 비판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게임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사회적 영향으로 인해 국가 주도로 심의 제도가 생겨났고 지난 20여간 여러 차례 민간심의기관에 의한 심의 이전이 논의된 바 있다"며, "이런 원론적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필요악’으로서 게임위가 존속한 것은 공정하고 중립적인 민간기구라는 전제가 충족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어 "단순히 미국, 일본 등 해외가 민간 중심으로 심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도 따라가야 한다는 주장은 지난 30여년간 한국 게임산업의 역사를 망각한 일방적 주장일 뿐"이라며, "우리는 한국의 미래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한 게임물 심의 시스템을 논의하고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정부, 학계, 이용자, 산업계를 포괄하는 협의체 구성과 운영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
1
베일에 싸여 있던 '아이온 2' 상세 정보, 드디어 공개
-
2
용산에 생긴 블루 아카이브 첫 상설 카페, 가봤습니다
-
3
카드사 압박에 스팀서 삭제된 게임을 무료로 푼 개발자
-
4
[오늘의 스팀] 페이트/할로우 아타락시아 리마스터 호평
-
5
[오늘의 스팀] 동접 33만 돌파한 배필 6, 유저 반응 보니
-
6
백화점 이어, '이터널 리턴' 님블뉴런도 폭탄 테러 위협
-
7
디아블로 4 총괄 로드 퍼거슨, 블리자드 떠났다
-
8
문명 시리즈 포함, '4X’ 게임 스팀 할인 열린다
-
9
넥슨에 해결 촉구, 화섬노조 네오플분회 12일 결의대회
-
10
내 공포 내성은 몇 점? ‘공포내성진단테스트’ 20일 출시
자고싶다2024-02-06 13:42
신고삭제민간 기업에 왜 이전해야하는가를 묻는게 아니라 "왜 여태껏 글로벌 표준인 민간 기업 등급제를 하지 않았는가?"를 따져야 하는거 아닌가? 지금까지 게임위가 한결같이 보여주던 무능함과 게임에 대한 무식함, 부정부패를 고려하면 진작에 갈아치우는게 당연한건데?
희대의간지남2024.02.06 10:28
신고삭제ㅈㄹ하지마 ㅅㅂ새기들아
자고싶다2024.02.06 13:42
신고삭제민간 기업에 왜 이전해야하는가를 묻는게 아니라 "왜 여태껏 글로벌 표준인 민간 기업 등급제를 하지 않았는가?"를 따져야 하는거 아닌가? 지금까지 게임위가 한결같이 보여주던 무능함과 게임에 대한 무식함, 부정부패를 고려하면 진작에 갈아치우는게 당연한건데?
matt****2024.02.06 21:37
신고삭제게임학회놈들 또 정치질시작하고있네. 셧다운제 찬성해서 통과시키고 확률공개반대해서 확률공개법 10년동안 시위까지해가며 반대하질않나 이번엔 또 이관반대 진짜 가지가지하네.
바위맛2024.02.07 00:30
신고삭제진짜 ㅅㅂ 이정도면 게임학회가 어디서 뇌물 받아먹고 있는거 아님?
진짜 ㅈㄹ하지마 제발 우리나라 게임산업 망치려고 하지말고
린민메이2024.02.07 01:06
신고삭제그냥 밥그릇 뺏기기 싫은거 아녀
어디서 되도 않는 개소리를 포장하고 있어
니들은 필요악이 아니라 그냥 악이야
쿠루9742024.02.07 02:13
신고삭제이번에 이시키들이 실패한 게 게임등급 분류 관련인데ㅋㅋㅋㅋㅋ
게임학회는 거기 나오면 게등위 낙하산하는 건가요ㅋㅋㅋㅋ
이그버2024.02.07 04:27
신고삭제넘처나는 게임을 전부 등급분류 할수 있는가?no
일정한 지표로 우선 분류 하는가?no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 하고 있는가?no
지금 방식으로는 아무것도 못하고 있는데 다른나라 하는데로 한다음에 논의해야지 뭐 극진적인 변화인거 마냥 말을 하는지...
Xenon542024.02.07 07:19
신고삭제게관위가 지 역할을 못해서 넘기는건데, 그걸 그대류 게관위한태 맡기면 뭔 의미가 있냐?
이번 사태를 보고도 저러는거 보면 한국게임학회도 걸러야하는게 맞음
21675418643154862024.02.07 12:19
신고삭제다 ○○시고요 니들이 페도필리아를 자처하는 남페미랑 다른게 뭐임? ㅋㅋㅋ 니들이 뭔데 게이머를 대표하려고하는데
돈기그2024.02.07 14:08
신고삭제미국을 따라가면 안된다고 할 게 아니라 왜 안되지는 지 설명을 좀 하십쇼. 지금 게임위가 해당 업무에 대해 부적격하다는 게 중론이고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잘 돌아가고 있으니 그 사례들을 선례로서 우리도 해보자는 건데 그러면 미국이나 유럽과 우리는 왜 다른지 말을 해야지.
협의체를 만들자고? 정부는 게임에 대해서 별 의견 없지, 산업계는 이용자에게 사기치고 있지, 학계는 통일 안되서 자기네들도 쪼개졌지, 이용자는 대표는 뽑을 방법이 없는데 잘도 협의체가 만들어져서 굴러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