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뿔싸] 인터넷 중독예방, 스마트폰과 성인까지 확대
2013.06.17 19:30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정부의 인터넷 중독예방 정책이 스마트 미디어와 유아, 성인 등 전 계층으로 범위가 확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실시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이번 정책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 및 사후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 1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제 2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종합계획은 미래창조과학부를 비롯해 교육부, 법무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총 8개 부처와 17개 시·도가 합동으로 진행한다.
우선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의 상세 내용을 밝혔다. 만 5세에서 49세 이하의 인터넷 이용자 15,000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을 통해 진행된 실태조사 결과의 핵심은 스마트 미디어 중독 수치가 늘었다는 점과 청소년 등 특정 연령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연령대에 걸쳐 있다는 것이다.
PC 인터넷 중독률은 7.2%로 전년 대비 0.5% 감소한 반면, 스마트 미디어의 중독률인 11.1%로 2011년보다 2.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양 플랫폼 모두 가장 중독률이 높은 연령대는 청소년이지만, 스마트 미디어의 경우 미취학 아동과 성인의 비중 역시 증가세다.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률은 PC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청소년의 중독률은 18.%로 전년 대비 7.0% 증가해 성인의 2배 수준이다.
인터넷 중독 예방, 콘텐츠-생애주기 등 단게별로 대응한다
▲ 생애별 맞춤형 지원에 초점을 맞춘 종합계획 (자료출처: 제2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와 지난 2010년에 수립한 제 1차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의 성과분석을 토대로 2차 계획을 확립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생애에 걸쳐 단계별 맞춤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예방교육 의무화 ▲맞춤형 전문상담, ▲전문치료, ▲사후관리, ▲협력체계 활성화, ▲통합기반 조성 등 6개 영역에서 52개 정책과제가 추진된다.
각 대책이 유아, 청소년, 성인 등 연령별과 관련 기반 조성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또한 PC 인터넷은 물론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대책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유아와 청소년은 교육기관을 통해 올바른 인터넷 이용을 의무적으로 교육하고, 맞춤형 상담,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통한 인식제고 등을 실시한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용조절 지도법 및 의사소통법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해 보호자로서의 책임을 강화한 점이 특징이다.
성인의 경우 이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콘텐츠에 맞춘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남성은 온라인 도박과 음란물, 여성은 SNS와 쇼핑을 과도하게 이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내용이 눈에 뜨인다. 또한 우울증과 같은 공존질환 동반 여부나 다른 중독 등을 고려해 지역 내 전문병원 및 유관기관과의 연계 집중치료가 지원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기반 조성 부분에는 스마트 미디어에 특화된 진단척도 개발, 예방 및 상담을 위한 전용 콘텐츠 배포, 통화나 문자 송수신 외 스마트 미디어의 사용을 일정시간 절제하는 ‘스마트 오프 캠페인’ 전개 등이 주요 내용으로 손꼽힌다.
다시 말하자면 미래창조과학부를 비롯한 8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은 업계에 대한 규제보다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전예방 및 치료,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관련 정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새로운 규제가 등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실제로 제 1차 종합대책에는 2종의 셧다운제가 대표 사례로 소개되어 있다. 특히 이번 종합대책은 전 연령, PC-스마트 미디어를 범위로 삼는 만큼 규제가 도입된다면 이전에 비해 파장도 더 커진다. 잘못된 인터넷 이용으로 인한 폐해를 막겠다는 취지로 마련된 인터넷 중독 종합대책의 앞으로의 전개 방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유저 40% 감소, 빠르게 식어가는 명말
-
2
카드사 맘대로 하는 스팀 성인게임 검열, 법으로 막는다
-
3
얼마나 진짜 같으면! 데스 스트랜딩 스샷으로 성인 인증을
-
4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8월 게임스컴서 데모 공개한다
-
5
[오늘의 스팀] 말하면 마법이 된다! '메이지 아레나' 압긍
-
6
네오플노조, 8월 1일부터 '주 5일 전면 파업' 돌입한다
-
7
[포토] 코스어를 데려오랬더니 '진짜'를 꺼내온 데이브
-
8
“호라이즌 표절이다” 소니, 텐센트 신작에 소송 제기
-
9
"카드사의 스팀 검열 거부한다" 서명 19만 명 참여
-
10
[오늘의 스팀] “바퀴벌레가 나와요!” 그라운디드 2 화제
아무개안경2013-06-17 21:25
신고삭제○○ 박근혜년이 당선되지 말았어야 했는데... 문재인님... ㅠㅠ
PuTa2013.06.17 20:43
신고삭제스마트오프는 무슨 개잡소리를 하고 있네
아무개안경2013.06.17 21:25
신고삭제○○ 박근혜년이 당선되지 말았어야 했는데... 문재인님... ㅠㅠ
땅콩버터미니쉘2013.06.17 22:55
신고삭제이게 뭔 소리야
한물간소년2013.06.17 23:03
신고삭제이름 하나는 참 주옥같이 잘 짓는다 진짜....아어 ㅡㅡ
Stitches2013.06.17 23:27
신고삭제말로는 it강국 it코리아
현실은 it규제국가
KAGERON2013.06.18 03:56
신고삭제미래창조과학부마저 머저리인걸로.
KAGERON2013.06.18 03:57
신고삭제IT부서라는 ㅅㄲ들이 중독에 대한 인식제고를 할 생각은 안하고 그냥 쳐막을 생각만하네.
예술소녀a2013.06.18 09:22
신고삭제성인인 내가 내 돈 내고 내 시간 들여서 내 취미생활 하겠다는데 왜 ㅈㄹ이세요
foriris2013.06.18 09:24
신고삭제중독 예방 소프트웨어/앱? =ㅅ=;
그보다 그거 아니면 즐길 거리가 없어진 우리 사회부터 수정해야지 않을까?
카르마22013.06.18 09:30
신고삭제말만 번지르르하지 규제구만
yahlhc2013.06.18 15:54
신고삭제공개비판.사법처리 이런게 아닌게 어디냐..
미르후2013.06.18 17:29
신고삭제공감... IT 강국 코리아가 아니라 IT 규제강국이네요.. 시대를 역행 하고 있는 지금의 시대.. 한국이라는 나라 부끄럽게 만드네요.. 어디가서 대한민국이라고 말하기 싫네요 ㅡㅡ 이런저런 규제만 난무하는 세상... 규제보다는 그 원인과 해결방안을 하지 않고 규제만 하면 장땡인가 ㅡㅡ;;
개념있는십덕충2013.06.18 19:10
신고삭제엌ㅋ 이님 처음으로 옳은말 한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념있는십덕충2013.06.18 19:11
신고삭제지나친 규제는 사회 발전속도의 쇠퇴를 가져온다고 중딩 사회시간에 안배웠냐? 아 잘나신 미쿸식 교육받아서 못배웠구나ㅋ
Entic2013.06.18 19:48
신고삭제제발 살려줘 게이머를 ...
로마리우2013.06.18 20:31
신고삭제젊은 네티즌 지지받지못하니까 중독으로 치부 아예 네티즌을 쓰레기 중독자 취급하려는거지,
중독될만큼 집중하지못하면 너희들이 말하는 창조역시 할수없어,
수박 겉할기식 집중으로 뭘 할수있을거같아?
난 내가 집중했던일은 삽질이됐던 뭐가됐던 1등하고 끝냈어,
좁은 틀안에 다양한 사람을 가두려하면 발전은 없다.
죠니워커2013.06.18 20:38
신고삭제뭐야 이게.... 레이디카카.................. 이러지 말긔
too3152013.06.18 23:57
신고삭제이열 ㅋㅋ
아스테른2013.06.19 00:04
신고삭제내가 이 정부를 지지할 날은 남은 임기 내에 절대 없을 거다
blacktiger2013.06.19 10:48
신고삭제모바일 업계도 힘들겠네요 ㄷㄷㄷㄷ
quando8242013.06.19 12:22
신고삭제이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니가싼 리플에 공감찍는 날이 오다니 ○○
랴둥2013.06.19 13:32
신고삭제... 머 중독이긴 합니다 ..제가 ..
mkw70032013.06.20 19:29
신고삭제슬프다...... 이런것 말고 살아가는 재미가 뭐가 있냐고.
부원수2013.06.23 21:48
신고삭제근데 음.. 스마트폰 너무 사용하는건 줄여야할거같은데 ..
Werewolf2013.06.25 16:14
신고삭제이게 세계적으로 규제가 되면 괜찮은데 우리만 규제해서 문제
참신한소재2013.06.25 16:49
신고삭제잡소리 어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