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한국 Xbox One 팬들아! 비싸서 미안하다~˝
2014.07.04 17:37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jpg)
메카만평
[관련기사]
다소 비싼 국내 가격 책정으로 게이머들 사이에서 논란을 불러일으킨 Xbox One이 결국 가격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지난 ‘E3 2014’ 기간에 공개된 Xbox One의 가격은 키넥트 미동봉판이 498,000원, 키넥트 동봉판이 638,000원이었습니다. 키넥트 미동봉판의 경우 PS4와 동일한 가격이었기 때문에 큰 논란이 없었지만, 문제는 키넥트 동봉판이었습니다. 북미와 일본 등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키넥트 포함 버전의 가격은 미포함 버전에 비해 10만원 정도 비싼 수준입니다. 싱가폴 등 일부 지역에서는 그 차이가 8만 원까지 좁혀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날 발표된 Xbox One 키넥트 동봉 버전의 국내 가격은 638,000원. 미포함 버전보다 무려 14만원이나 더 비싼 가격입니다.
당연히 가격 발표 이후 많은 반발이 일어났습니다. 일부에서는 Xbox One의 불매 운동을 벌이겠다며 서명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사태가 커져 가자, MS는 가격 발표 3주 만인 지난 3일(목), Xbox One 키넥트 포함 버전의 국내 가격을 638,000원에서 598,000원으로 4만 원 인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MS의 결정은 국내 유저들의 거센 반발을 수용한 것으로, 사실상의 항복 선언으로 봐도 무방합니다.
MS는 Xbox One 출시 이후 많은 정책을 변경해왔습니다. PS4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키넥트 미포함 버전을 내놓은 데 이어, E3 2014 발표에서는 그토록 강조했던 홈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전면 배제한 채 게임 라인업 소개에 집중했습니다. 이번 국내 가격의 재조정 역시 MS의 차세대 콘솔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지라는 연장선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이 가격으로 발표하는 게 베스트였겠지만요.
게임메카 유저들의 의견을 보면 대체로 가격 인하에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ID 공포의지배자 님은 “자국 기업도 봉으로 아는 국민이니 외국 기업까지 만만하게 보는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약간이나마 가격인하를 해서 다행입니다”라며 늦었지만 가격 인하 결정에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ID 퍼머겅 님은 “한국만 봉으로 아는 느낌이었는데 결국 꼬리 내렸군요. 이해할 수 없는 비싼 가격은 유저들이 나서서 항의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며 한국 게이머들의 반발 여론을 대변했습니다.
한편으로는 현재 가격도 비싸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ID 다이나밐 님의 “엑박이나 플스나 요즘 힘든 시기 보내고 있지만요. 솔직히 약간 거품기가 있다고 생각되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일가요? 좀더 가격 인하되어야 판매량이 확보될 것 같은데”, ID 캐미z 님의 “미국이나 일본은 세금 포함해도 40만원대 중반이던데... 아직도 좀 비싼 느낌이네요. 소득수준으로 봐서는 좀 더 낮춰도 될 듯한...” 같은 댓글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유저들의 반응은 MS와 Xbox One에 대한 국내 게이머들의 인식을 대변합니다. 작년 12월 같은 가격(키넥트 미포함 버전)에 출시된 소니의 PS4는 오히려 ‘과거 PS3 때보다 싸다’ 라며 호응하는 분위기가 연출되었습니다. 발빠른 국내 출시 및 적극적인 프로모션 등으로 인해 국내 유저들의 호감을 이끌어낸 덕분이었죠.
이번 Xbox One 역시 국가 별 콘솔 시장의 크기나 소득 수준, 세금과 관세 등 다양한 가감비용을 적용하면 무난한 가격이지만, 여론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일치감치 출시일(9월 4일)을 발표하며 대대적인 선전에 나서고 있는 한편, 국내의 경우 출시 시기조차 9월에서 연내로 바꾸는 등 국내 유저들의 소외감이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과연 이번 MS의 가격 인하 조치가 성난 여론을 달랠 수 있을 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우수 댓글로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오는 7월 9일(수)까지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실제 사용하시는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은 매주 목요일 배송됩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캐미z (증정 상품: 메트로 2033 / 드미트리 글루코프스키 저)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만 지역 제한, 왜?
-
2
[오늘의 스팀] 한국 따돌린 오블리비언, 스팀서 ‘훨훨’
-
3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4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5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6
발더스 게이트 3의 ‘꿀잼’ 신규 서브 클래스 5선
-
7
가츠가 성역에, 디아블로 4 '베르세르크'와 컬래버
-
8
배틀필드 신작, 건물 파괴한 후 잔해에 엄폐한다
-
9
단간론파 제작진 신작 ‘헌드레드 라인’ 메타 85점
-
10
[이구동성] 혐한? 실수?
wlw2014-07-07 10:02
신고삭제이게 노이즈 마케팅이면, 정말 등신같은 노이즈 마케팅이 아닐 수가 없다
SinGalon2014.07.04 17:48
신고삭제결국엔 소니는 비웃는다는거죠....
wlw2014.07.04 18:01
신고삭제진짜 게임메카는 만평보는 맛에 오는것이제 ㅋㅋㅋㅋ
둘기군2014.07.04 18:13
신고삭제항복선언ㅋㅋㅋㅋㅋㅋㅋㅋ굳ㅋㅋㅋ
wlw2014.07.04 18:23
신고삭제소니는 그저 웃죠 ㅉㅉ
CULTIST0012014.07.04 18:26
신고삭제가뜩이나 소니한테 밀리는 판국에 ㅉㅉ
마소 클라스가 보임
세번머겅2014.07.04 18:59
신고삭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겨
다이나밐2014.07.04 21:37
신고삭제결국은 한국은 호갱이였다는 소리~ 젠장!!! 이라고 욕밖에 안나온다.
supersalon2014.07.04 22:05
신고삭제달러도 약세 엔화도 약세 원화만 강세 그래서 국내 발매 가격도 강세라는 논리를 언들어서 다행중 다행 그런데 국내 유저들 패기도 강세라 가격 내렸네
Naro2014.07.04 22:35
신고삭제ㅋㅋㅋㅋ
ㅇㅇ2014.07.04 23:23
신고삭제미안하드아아아아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라르프2014.07.04 23:33
신고삭제미안하드아아아아아악!!!!
다크나이트세이버2014.07.05 00:26
신고삭제역시 메카만평ㅋㅋㅋㅋㅋㅋㅋ
무협객2014.07.05 01:33
신고삭제정말 진심으로 뉘우치길 바란다아아아악
금빛기사2014.07.05 09:52
신고삭제과연 저가격이 진실일까요?
용감한녀석2014.07.05 10:38
신고삭제우리나라 호갱소문이 MS에 전해 졌군요
모하는거니~~! 엑박원 안산다 ㅎ 플4 사고말지
미르후2014.07.05 10:43
신고삭제MS사는 내가 말하는 것을 이유를 들먹이기 하겠지! 환율,세금,유통과정, 등 이유로 그러하면서도 국내유저를 봉으로 하는것두 문제이고... 비단 MS사의 제품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다른것들도 거품이 많지.... 부품가,제조 등 한다해도 지들의 이윤을 저 가격을 해도 한참 남아 돌겠지! 원가를 공개를 안하는 이유중 하나도 지들 손해 볼것은 뻔하거든.... 하여튼 국내를 봉으로 하는 기업들의 행태가 문제...
고승덕2014.07.05 13:59
신고삭제고승덕은 정말 최고의 필수요소를 낳았다
공포의지배자2014.07.05 15:08
신고삭제메카 만평은 참... 정문일침!
ㅇㅇㅇ2014.07.05 20:12
신고삭제키넥트 미동봉판의 경우 PS4와 동일한 가격이었기 때문에 큰 논란이 없었지만, 문제는 키넥트 동봉판이었습니다
이문장 잘못됐네요 수정하셔야 할듯합니다
다미2014.07.06 13:41
신고삭제ㅋㅋㅋㅋㅋㅋㅋ 고승덕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ㅅㅇ 여튼 가격 내렷네요 그래도 비싸지만. 독점타이틀도 소니보다 적던뎅
ㅇㄹ2014.07.06 15:00
신고삭제어쩌라고 그냥 망했어 그지들아
라르프2014.07.06 16:29
신고삭제498000원 가격에 불만 갖는애들은 PS4때도, 그 이전에도 항상 불만투성이인 애들 아니었나?
애초에 Xbox One과 PS4가 같은 가격으로 나온 것 자체에 불만갖는거라면 모르겠지만 국내 정발 가격 자체는 비교적 나쁘지 않다는게 대세인데 뭔솔?
뭐얔ㅋㅋ2014.07.06 16:37
신고삭제에혀 ㅉㅉ
야크트판터22014.07.06 18:08
신고삭제적당하게 서로 윈윈하는 전략으로 공략한다면 성공할텐데
일부러 이슈가 되려고 높은가격 책정한건지는 모르겠지만 절대 좋은 효과는 아닌듯하네요
특히 한국을 호갱취급하는건 한국사람들이 반응이 좀쎄서....
앞으로 좋은제품 좋은가격으로 한국유저들에게 어필해서 많이 파세요!!
청운비2014.07.06 22:43
신고삭제노이즈 마케팅의 일종이 아닌가 싶내요.
wlw2014.07.07 10:02
신고삭제이게 노이즈 마케팅이면, 정말 등신같은 노이즈 마케팅이 아닐 수가 없다
어쩌라구2014.07.08 12:48
신고삭제엑박 라이브 컨텐츠 한국에서 써먹지도 못하는 것들로 가득한데...왜 여기서 더 비싼건지 알 수가 없다. 더 싸도 사고 싶은 생각 별로 안드는데..
Tomato-G2014.07.08 13:31
신고삭제한국에선 비싸면 고급취급받고 잘 팔린다는 인식이 전세계적으로 팽배해져서 그렇습니다.
웃자고 하는 이야기가 아니고 한국 컨슈머들에게서만 도는 농담이 아니라 이게 레알 팩트입니다 ㅜㅜ 각종 한정판들도 구성품이 부실하면서 한국에선 달러대비 비싼 가격에 파는 이유도 그 중 하나죠
유저분들도 당하면서 골뱅이마냥 가만히 있는 게임업계만 욕할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도 보이콧이나 항의 메일을 모아 보내는 등 실질적인 행동을 보여줘야 합니다. Xbox 또한 분명히 불공정한 가격이었는데 이번 가격인하는 그런 의미에서 박수칠만한 일이라 생각되네요 ㅋ
FREYCA2014.07.08 13:43
신고삭제이렇게되면..........그냥 끝.......윈8에서도 빠지겠죠............
ㄴㄴㄴㄴ자2014.10.09 05:06
신고삭제여기서 플스부심좀 작작부려라 저건 마소의 에미리스한 경영방식을 나타내는 거지 독점작 기긱성능등은 저내용에서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