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볼브 알파 테스트, 랙이 망쳐놓은 해피 헌팅
2014.11.05 18:22게임메카 이찬중 기자

▲ '이볼브' 알파 테스트가 11월 5일까지 진행됐다 (사진출처: 공식 웹사이트)
‘레프트 4 데드’로 잘 알려진 터틀락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신작 슈팅 액션 게임 ‘이볼브’가 지난 10월 31일(금)부터 11월 5일(수)까지 알파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볼브’는 4명의 헌터로 구성된 팀과 한 명의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몬스터 사이 전투를 다룬 멀티플레이 슈팅 액션 게임으로, 사냥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인간 VS 몬스터의 전투로 많은 게이머의 이목을 끌었다.
‘이볼브’가 추구하는 재미는 ‘1대 4로 벌이는 사냥’이라는 테마에 맞춰져 있다. 헌터는 몬스터가 강해지기 전에 사냥하고, 몬스터는 이를 피해 성장하여 헌터를 모두 쓰러뜨려야 한다. 여기에 플레이 활동과 레벨에 따라 개방되는 요소,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빠른 게임 플레이 등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이볼브’가 보여줄 참 사냥의 재미가 실제로 어떤 모습일지 알아보기 위해, 이번에 진행된 알파 테스트에 참여해봤다.
▲ '이볼브' 공식 트레일러 영상 (영상출처: 공식 유튜브 채널)
헌터는 협동 사냥을, 몬스터는 생존 게임을
‘이볼브’에서 플레이어는 헌터 진영과 몬스터 중 하나를 선택해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우선, 헌터 진영에는 정면에서 튼튼한 맷집과 강력한 화력으로 몬스터를 압박하는 ‘어썰트’, 아군을 회복하고 방어력 감소 저격총을 쏘는 ‘메딕’, 몬스터를 가두고 움직임을 봉하는 ‘트래퍼’ 그리고 폭격을 하거나 주위 헌터 모습을 숨겨주는 ‘서포터’가 총 4가지 직업이 존재한다. 헌터로 플레이할 때는 시점이 1인칭으로 고정되며, 각기 다른 능력을 활용해서 몬스터를 추적하고 사냥해야 한다.
헌터와 다르게, 몬스터는 3인칭 시점으로 홀로 4명을 상대하게 된다. 이번 테스트에는 근접전에 특화된 ‘골리앗’과 강력한 원거리 공격을 펼치는 ‘크라켄’을 플레이할 수 있었다. 몬스터는 게임 초반에는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주위 야생동물을 잡아먹고 상위종으로 빠르게 진화해야만 한다. 진화는 총 3단계로 나뉘며, 마지막 최종 진화에 도달하면 최첨단 무기도 두렵지 않은 강력한 몬스터가 된다. 이후 헌터를 모두 사냥하거나, 맵에 위치한 ‘파워 서플라이’를 파괴하면 승리할 수 있다.

▲ 4명과 1마리가 펼치는 술래잡기 한판

▲ 헌터는 고공에서 점프하면서 게임을 시작한다
몬스터와 헌터 플레이는 확연히 구분된다. 헌터의 전투는 협력이 주가 되는 만큼, 진짜 사냥꾼이 된 느낌을 준다. 무리로 흩어져서 몬스터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장소를 포위하고, 지나갈 경로에 함정을 설치하는 등 전략적인 플레이가 이루어진다. 부스터를 이용해 빠르게 이동하는 것도 가능해, 몬스터와의 추격전에서 나름 속도감을 느낄 수도 있다.
반면 몬스터는 마치 생존게임을 플레이하는 느낌을 준다. 최종 진화 이전에는 헌터를 피해 도망치고, 주위에 돌아다니는 야생 동물을 잡아먹는 등 한 마리 야수가 된 느낌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이런 고난을 모두 겪고 최종 진화를 이루어내면 상황은 급변한다. 영화에 나오는 괴수처럼, 헌터를 밟고 바위를 던져 쓰러뜨릴 때 쾌감은 그간 스트레스를 모두 해소한다.

▲ '트래퍼'의 애완견 '데이지'는 쓰러진 동료를 일으킬 수 있다

▲ 서포터는 강력한 포격을 불러와서 괴물을 타격한다

▲ 몰래 숨어서 진화하는게 관건!
몬스터 실력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재미
이번 알파 테스트에서는 ‘퓨전 플랜트(Fusion Plant)’, ‘더 댐(The Dam)’, ‘디스틸러리(Distillery)’ 총 3개 맵이 공개되었다. 정글, 눈 내리는 숲, 좁은 협곡 등 각기 다른 환경을 지닌 맵에서 플레이어는 쫓고 쫓기는 사냥을 시작하게 된다. 맵은 꽤 넓은 크기를 자랑하지만, 부스터와 빠른 이동속도 덕분에 비교적 협소하게 느껴졌다.
게임 플레이는 최소 5분에서 최대 20분 정도 걸린다. 괴물의 위치는 새 혹은 발자국을 통해 계속해서 드러나기 때문에, 헌터는 꽤나 손쉽게 몬스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몬스터로 플레이할 때는 가만히 앉아서 잠시 숨을 돌리는 게 거의 불가능했다.
결국 게임의 재미는 순전히 몬스터 역할 플레이어 개인 실력에 따라 좌우됐다. 간혹 몬스터 플레이어의 조작 미숙으로 5분도 안돼서 괴물이 사냥 당하면, 즐겁기보다는 허무한 기분이 들었다. 반대로 능숙한 몬스터 플레이어가 10분도 안 돼서 최종진화를 하면, 추격전 대신 ‘파워 서플라이’를 끼고 방어전을 펼치는 급박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이처럼 개인의 숙련도가 게임 전개에 매우 큰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어 레벨이나 수준에 따른 매칭 시스템이 따로 없다는 점은 조금 아쉬웠다.

▲ 열심히 정글을 돌아다니고

▲ 짐승을 잡아먹고, 진화를 해도

▲ 최종진화 전에 걸리면 이기기 힘들다
플레이를 많이 할수록 늘어나는 혜택
‘이볼브’에는 플레이어 레벨과 활동에 따라 개방되는 요소가 존재한다. 우선 레벨에 따라 개방되는 ‘퍼크’는 마치 패시브 스킬과도 같은 능력치 증가 효과로, 게임 시작 전 자신의 플레이스타일에 맞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헌터 ‘퍼크’로는 무기 교체 속도 증가, 점프력 증가 등이, 몬스터 ‘퍼크’로는 공격력 증가, 식사시간 단축 등이 있다.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이룬 업적에 따라서 새로운 캐릭터 개방이나 무기 강화도 이루어진다. 게임 플레이 중 특정한 무기로 몬스터에게 준 대미지나 사용횟수는 ‘마스터리’에 환산되어, 일정 목표 치를 달성하면 무기 공격력이 소폭 증가한다. 역할별 캐릭터 개방은 기본 ‘마스터리’를 3개 이상 달성하면 이루어졌기 때문에,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에게 무기를 골고루 사용하도록 유도했다.
레벨에 따라서 얻는 ‘퍼크’ 효과는 게임 내에서 확실히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몬스터로 플레이할 때는 빠른 식사속도 ‘퍼크’로 치고 빠질 수 있었고, 헌터로 플레이할 때는 부족했던 부스터 성능을 강화해 더 높이 튀어 오르는 등 다양한 전략적 요소로 작용했다. ‘마스터리’로 개방할 수 있는 대미지 증가는 미비했지만, 그래도 활약에 따라 보상이 주어진다는 것과 추가 캐릭터를 얻는 점 등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 레벨이 오르니 '퍼크'가 새로 추가되었다

▲ '퍼크' 덕분에 이런 높은 곳도 단번에!

▲ 한가지 무기를 계속 사용하면 조금이나마 대미지 증가 효과도 받을 수 있다
게임성은 좋았지만, 최적화가 발목을 잡는다
이번 테스트에서 경험한 ‘이볼브’는 단순한 진영 간 대전이 아닌, 사냥을 테마로 한 독특한 재미를 보여주는데 성공했다. 헌터 플레이에서는 말 그대로 사냥하는 재미를, 몬스터 플레이에서는 성장과 마지막에 모든 것을 때려부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질릴 틈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상쇄시키고도 남을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턱없이 부족한 최적화다. 기자는PC 버전으로 플레이 했는데, 나름 고사양 PC에서도 게임이 잠깐씩 멈추는 것은 예사고, 때로는 도저히 게임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로 프레임이 떨어지는 등 플레이 내내 극심한 랙에 시달려야 했다. 아직 알파 테스트인걸 감안하더라도, 속도감 있는 추격전 중간에 발생해 게임의 맥을 끊어버리는 랙은 참기 힘들었다. 실제로 랙 때문에 한창 추격 중에 갑자기 절벽에 떨어지거나, 우두커니 서서 온몸으로 포화를 맞는 몬스터 플레이어를 많이 만날 수 있었다.
결국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저는 랙을 줄이기 위해 자연스레 그래픽 등을 최소로 맞춰 플레이 했고, 결국 크라이엔진3로 구현된 생생한 생태계는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물론, 이런 상태에서도 랙이 끊이지 않았다는 건 덤이다.
이번 테스트에서 ‘이볼브’가 보여주려던 재미는 확실히 알았지만, 랙 때문에 이를 백분 전달받지 못한 느낌이라 아쉬웠다. 아무쪼록 정식 버전에서는 보다 쾌적한 플레이를 즐길 수 있길 바란다.

▲ 랙이 풀리고나니, 체력의 반이 사라졌다

▲ '크라켄'은 번개 공격 대신, 플레이어에게 랙을 유발시켰다
많이 본 뉴스
-
1
포켓몬 느낌, 호요버스 '붕괴' 신작 깜짝 공개
-
2
GTA 6 발매 연기 결정, 내년 5월 26일로
-
3
첫 롤드컵 우승팀 프나틱 미드 ‘슈세이’ 36세 나이로 별세
-
4
[오늘의 스팀] 명나라 말 배경 소울라이크 신작 관심
-
5
서비스 접었던 슈퍼피플, 스팀에 다시 나온다
-
6
[순정남] 클레르 옵스퀴르 절망편? 33세 최약체 TOP 5
-
7
[오늘의 스팀] 스팀 입점한 명조, 평가 ‘매우 긍정적’
-
8
[포토] 세이렌의 매력이 가득한 니케 2.5주년 행사 현장
-
9
러시아 정부, 자국 '월드 오브 탱크' 운영사 재산 압류
-
10
[이구동성] 꽉 들어찬 모바일 발 ‘스팀 진입로’
ssalradi2014-11-06 00:46
신고삭제전 렉은 느껴본적이 없네요... 가끔 몬스터가 가만히 멈춰있는 경우가 있던데 (진화중 말고...) 아마 그 사람이 렉이 걸린거겠죠... 단지 최악으로 나빳던 점은 로딩이네요...
게임 플레이가 5분~20분 정도 가는데 한판하는데 로딩만 3,4번은 하는데 그것도 길어서 게임보다 로딩시간어 훨씬 긴 게임이 되어버리더군요...
가구어2014.11.05 19:11
신고삭제재밌게 생겼는데 렉은 용서못하지
캬ㅇㅇ2014.11.05 19:32
신고삭제알파테스트 네이버에서 코드 받아서 참가했었는데,
너무 렉 심해서 그만뒀는데...내가 똥컴이라서 그런건 아니구나...
PentaF2014.11.05 19:32
신고삭제그러니 콘솔겜은 PC로 하지 맙시다
캬ㅇㅇ2014.11.05 19:35
신고삭제술래잡기 방식의 겜에서 렉은 죄악이여
물론 알파 테스트 감안한거 치곤 리뷰 보니 꽤 괜찮았나보네?
CULTIST0012014.11.05 20:54
신고삭제저화칠 텍스쳐에 눈물이 나네
PS4로 해야겠다
ssalradi2014.11.06 00:46
신고삭제전 렉은 느껴본적이 없네요... 가끔 몬스터가 가만히 멈춰있는 경우가 있던데 (진화중 말고...) 아마 그 사람이 렉이 걸린거겠죠... 단지 최악으로 나빳던 점은 로딩이네요...
게임 플레이가 5분~20분 정도 가는데 한판하는데 로딩만 3,4번은 하는데 그것도 길어서 게임보다 로딩시간어 훨씬 긴 게임이 되어버리더군요...
코맥2014.11.06 08:45
신고삭제저도 렉은 딱히 없었는데, 같이하던 친구들은 렉에 허덕이더라고요. 걔가 저보다 컴도 좋은데...여하튼 겜플보다 긴 로딩은 아랫분 말대로 끔찍....
도루무2014.11.06 08:49
신고삭제왠지 스크린샷에서 렉걸린거 무시하고 꾸역꾸역한게 느껴진다
Sayo91472014.11.06 13:38
신고삭제동감이에요, 4670 / 770 / 16GB 에 840PRO 환경이었습니다.
로딩 같은 경우는 간소화 된 큐는 좋았지만 1인큐의 경우엔 2분정도, 다인큐 같은 경우는 5분 이상 생각해야 되는게 후.. 그래도 한정적으로 풀린 알파니까 이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네요
Sayo91472014.11.06 13:40
신고삭제친구가 (구)샌디에 560ti 인데 눈 내리는 맵에서 20프레임 나온다고 하더군요
저는 4670 / 770 / 16GB 에 840PRO 에서 60 프레임 나왔구요, 확실히 최적화가 좋은 편은 아녜요
로딩도 문제긴 하구요, 그래도 가장 큰 문제는 밸런스입니다. 덧글 중 아무도 밸런스를 언급하지 않으시는걸 봐선 오래 플레이 해보신 분들은 얼마 안되는 것 같기도..
Sayo91472014.11.06 13:42
신고삭제괴수 진영에서 처음에는 골리앗만 선택할 수 있지만 골리앗의 스킬 과제를 일정치 이상 수행하면 크라켄을 플레이 할 수 있게되는데 얘가 진짜 심각하게 오벨입니다, 말 그대로 휴먼진영에서 화승총 쏠 때 괴수는 레일건 쏘는 수준이에요. 2~30 레벨이 넘은 플레이어들 끼리는 골리앗만 고르는게 매너고 또 당연한거라 생각하고 크라켄 나오는 날엔 5분동안 웹서핑하고 옵니다
코맥2014.11.06 14:14
신고삭제크라켄이 그리 쎈가요? 전 사실 크라켄이랑 몇판 해보긴 했는데...데미지야 그렇다쳐도....
뭐 골리앗보다 상위버전이라는 건 인지할정도지...뭐 완전짱짱맨이다 이럴 정도는 아니던데...?
차라리 사기는 서포터 중에 버켓이죠. 위치파악+센트리.
크라켄이든 뭐든 갈아버리는 위력잼....
닭다리킬러2014.11.06 17:43
신고삭제베타도 아닌 알파인데 뭘
Sayo91472014.11.07 16:30
신고삭제버켓 사기도 인정해요 , 근데 라자러스랑 할아버지 트랩퍼는 엑..
흑인아저씨2014.11.07 20:58
신고삭제랙(lag, Latency)은 보통 컴퓨터 통신이 일시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하지만 가끔 컴퓨터의 입력 장치 등이 일시적으로 응답이 없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전문적인 용어로는 패킷이 컴퓨터에서 목적지로 전송된 뒤에 다시 돌아올 때까지 지연되는 시간을 말한다.
흑인아저씨2014.11.07 20:59
신고삭제랙’(Lag)은 온라인 게임이나 모바일 게임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게임에서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간에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뜻한다. 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통 랙 걸린다’고 부르며, 랙에 걸리면 게임의 화면이 이유 없이 멈춘다거나, 의도한 행동이 늦게 적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랙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서버랙’, 클라이언트랙’, 이동랙’ 등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랙 [Lag,] (게임용어사전: 기관/용어, 2013.12.12)
흑인아저씨2014.11.07 21:00
신고삭제사양을 많이 타서 걸린다는 프레임드랍 을 말하는건지 진짜 랙을 말하는건지 헷갈립니다. 막짤 캡션보고 아 프레임 드랍이구나... 하고 생각했네요.
흑인아저씨2014.11.07 21:01
신고삭제레포데2 의 최적화를 봤을 때, 이 게임도 정발되면 잘 다듬어서 나오겠지요.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