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파괴된 모바일 저작권 생태계, 바로 잡을 때
2015.03.27 18:13게임메카 허새롬 기자

메카만평

[관련기사]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다 국내에 출시된 모바일게임 ‘도탑전기’는 모두 아실 겁니다. 출시되기 전부터 좋든 나쁘든, 화제가 됐었으니까요. 그런 ‘도탑전기’를 둘러싼 이슈가 또 터졌습니다. ‘히어로스 차지’가 ‘도탑전기’의 소스 코드를 도용했다며 개발사인 리리스게임즈에서 소송을 건 거죠.
그런데 ‘히어로스 차지’의 도용 문제가 불거진 지 3일 만에, 블리자드가 리리스게임즈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이하 와우)’의 세계관, 캐릭터와 같은 지적 재산권을 ‘도탑전기’가 침해했다는 겁니다. ‘히어로스 차지’를 ‘도탑전기’가 물고, ‘도탑전기’를 ‘와우’가 잡은 양상이 된 거죠. 묘한 구도입니다.
물론, 다른 작품의 소스 코드를 그대로 가져다가 게임을 만드는 것과 캐릭터를 도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ID 황혼의신님도 “’히어로스 차지’는 소스 코드를 베낀 거라서 문제가 클 듯 한데”라며 그 점을 짚었죠.
그러나, 많은 게이머들은 ‘도탑전기’에 대해 응원보다는 질타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게임메카 ID KAGERON님은 “표절이 덕지덕지 발려진 ‘도탑전기’가 누구한테 표절 시비를 걸만한 게 아닐 텐데”라고 말했습니다. 게임메카 ID 샤코샤코해님도 “난 아직도 이해가 안 감. 디자이너 몇 명 고용하는 게 그렇게 어려웠나?”라는 의견을 남겼습니다. 출시 초기부터 꾸준히 따라붙었던 ‘와우’ 표절 문제를 깨끗이 해결하지 못한 ‘도탑전기’가 ‘히어로스 차지’에 도용 소송을 거는 게 황당하다는 거죠.
모바일게임은 수명이 길지 않습니다. 그런 탓에 대부분 개발사는 출시 초기에 관심을 집중시켜 수익을 바짝 올리고 다음 게임을 준비하곤 하죠. 때문에 최대한 빨리 많은 작품을 내놓는 게 관건인데, 그래서인지 유명한 IP의 설정이나 캐릭터를 베끼고, 전혀 다른 게임처럼 포장해 출시하는 게 업계 관행처럼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이번 사건은 모바일 업계에 있어 경종을 울리는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블리자드 폴 샘즈(Paul Sams) COO도 “이번 사례를 통해 지적 재산권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못 박았죠. 이 소송 건이 마무리되려면 아직 더 기다려야 하지만, 모바일게임 업계에서도 이제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샤코샤코해 (증정서적- 볼진: 호드의 그림자 / 마이클 A. 스텍폴 저)
많이 본 뉴스
-
1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2
배틀그라운드, 삼뚝과 의인화 '총기' 간 미연시 공개
-
3
몬헌 와일즈 디렉터 “식공 하향, 해머 상향하겠다”
-
4
모브가 주인공? ‘블루아카’ 만우절 기념 웹게임 발표
-
5
진짜 나오나? 팰월드 미연시 스팀 페이지 오픈
-
6
[오늘의 스팀] 철권 8 시즌 2 시작, 밸런스 비판 급증
-
7
스듀 ‘발더스 3’ 모드가 삭제됐다가 복구된 사연은?
-
8
[롤짤] 조 마쉬의 치맛바람
-
9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제친 인디게임 '스케줄 1'
-
10
히트 시 방어 강화한다, 철권 8 밸런스 조정 예고
마키아스2015-03-27 19:29
신고삭제문화에 돈이라는 악귀가 붙으면 대부분 이렇게 되더라.
아무개안경2015.03.27 18:24
신고삭제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표절문제가 골치아픈건가 보네요... 솔직히 요즘 한국게임을 보면 카카오톡 게임이 너무 많은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물론 카카오톡 지원 게임 자체를 부정하는건 아니지만, 똑같은 게임들이 너무 많다는 소리가 들려서 이대로 괜찮은걸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미르후2015.03.27 19:18
신고삭제참 창의성들이 그렇게 없나? 왜 도용과 표절을 하는 것인가? 창의력과 참신함이 부족한 게임사들 ...
마키아스2015.03.27 19:29
신고삭제문화에 돈이라는 악귀가 붙으면 대부분 이렇게 되더라.
황혼의신2015.03.27 21:54
신고삭제창의력과 참신한이 없다기 보다는 유명 캐릭터를 배낌으로서 공짜 광고 효과를 가지고 싶은것이 큰것이겠죠. 잘못된 일임은 분명하나 그 유혹을 참지못한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히차와 도탑 와우 하스스톤 4가지를 다 즐기는 입장에서는 내가 좋아하는 캐릭터들을 조종한다는게 매력적이라고 생각 합니다. 아마 게임사도 초기에는 저같은 유저를 노렸을 것이 뻔하고요.
청색날개2015.03.28 19:09
신고삭제모두 사람이기 때문에 이미 사람이 생각해낼수 있는것들은 거의 다 나왔다고 볼수가 있으니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똑같고 적든 크든 따라서 만들수밖에는 없지 근대 솔직히 도탑전기... 케릭터를 SD로 만든것 그리고 이름이 조금 다른것 플레이방식 을 제외하면 그냥 도타를 그대로 배껴왔더만 누가 누굴보고 참... 근대 벨브는 소송 안건게 신기하네
시라2015.03.28 22:00
신고삭제돈 이야 돈 ... 다른건 별거 없다는 .
불가사리2015.03.29 04:30
신고삭제그래서 난 롱런하고 유명한 게임만 다운받아서 하지.
인피니티 블레이드,, Civilization Revolution 2
요새 짜잘한 게임들 도데체 내용보면 너무 가벼워. 모바일도 이제 좀 제대로 작품성있고 가치있는것만해야지. 쓰레기 게임이 너무 많아.
특히 중국애들이 만드는게임은 참..
처음에는 오 흥미롭게 하다가 하루지나면 알게 돼.. 이런 이게 무슨.. ㅡㅡ;; 게임이 이래.
fivetwo2015.03.29 11:09
신고삭제이런 게이머가 있으니까 저런 게임들이 계속 나오는거죠.
나온그린나래2015.03.29 12:21
신고삭제돈도 그렇지만 외국에서는 중요시 되는 지적 재산권을 우리나라에서는 암묵적으로 어느정도는 묵인이 된다는 관행이 문제~
digiland2015.03.29 16:59
신고삭제오히려 블리자드가 밸브를 소송 걸어야죠. 도타도 워3 카오스에서 모티브로 출발(롤은 뭐 말할것도 없고) 했기 때문에 걸수가 없어요. 오히려 밸브가 빌어야죠
그리고 생각할 수 있는것은 다 나왔다라고 하는건 인간의 창의력을 고정시키는 나쁜 말입니다. 그건 패배주의자들만 쓰는 말이죠. 즉 생각하기 싫고 있는것 가져다 쓰려는 비양심적인 사람들이 쓰는 말입니다. 창조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모방도 새롭게 창출하면 그게 창조예요. 카피랑 모방은 다릅니다. 모방은 소송거리가 될 수 없어요. 카피가 문제죠.
digiland2015.03.29 17:02
신고삭제취미와 문화에 돈이 안들수가 없죠. 돈이라는 악귀가 아니라 비양심이라는 악귀입니다.
digiland2015.03.29 17:04
신고삭제성공작을 베끼는건 수익과 창출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시간적 요소를 가장 많이 줄이니까요. 일단 학교 과제 베끼는 현실부터 없애야겠죠? 공부 안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잘하는 친구의 과제나 숙제를 베끼고 그게 대학교를 넘어 사회생활까지 뻗으니 이모양...
Hyuns2015.03.30 09:39
신고삭제게임 기획자들이 이렇게 말한다. 와우 해보고 와서 와우 만들어 주세요.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