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위분석] 히어로즈 상승세 제동, AOS 새 판짜기 실패
2015.07.01 17:55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디아블로3'를 포함한 PC게임과 웹게임은 해당 순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AOS 판도를 뒤엎겠다는 각오로 출동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이하 히어로즈)’가 벌써부터 체력소진을 호소 중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를 잡기는커녕 10위 권 진입에도 실패하며 제자리 지키기에 그쳤다. 블리자드는 물론 국내 업체들의 주 관심사였던 ‘AOS 판도 변화’ 역시 요원해졌다.
이번 주 온라인게임 인기순위에서 ‘히어로즈’는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11위를 지켰다. 공개서비스 후 2주 만에 10위를 찍으며 기대감을 자극한 ‘히어로즈’. 그러나 상승세는 거기까지였다. 정식서비스에 돌입한 6월 한 달 동안 ‘히어로즈’는 10위보다 하나 더 낮은 ‘11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대항마가 되리라는 기대감을 한 몸에 받은 ‘히어로즈’는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에 실금 하나 내지 못했다. ‘히어로즈’ 등장 전은 물론 그 후에도 ‘리그 오브 레전드’는 1위 릴레이를 이어가며 끄떡도 하지 않았다.
이번 주 온라인게임 인기순위에서 ‘히어로즈’는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11위를 지켰다. 공개서비스 후 2주 만에 10위를 찍으며 기대감을 자극한 ‘히어로즈’. 그러나 상승세는 거기까지였다. 정식서비스에 돌입한 6월 한 달 동안 ‘히어로즈’는 10위보다 하나 더 낮은 ‘11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대항마가 되리라는 기대감을 한 몸에 받은 ‘히어로즈’는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에 실금 하나 내지 못했다. ‘히어로즈’ 등장 전은 물론 그 후에도 ‘리그 오브 레전드’는 1위 릴레이를 이어가며 끄떡도 하지 않았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블리자드)
‘리그 오브 레전드’와는 다른 게임성을 앞세웠던 블리자드의 전략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문제는 화력이다. ‘히어로즈’ 주 콘텐츠는 영웅과 전장 2가지다. 전장의 경우 부족함이 없지만 상대적으로 영웅 수가 적고, 추가되는 속도 역시 더디다. 실제로 공개서비스와 정식 출시 당시 ‘히어로즈’의 신규 영웅은 ‘캘타스’와 ‘요한나’ 2종에 그쳤다. ‘아리’에 이어 ‘세주아니’ 등 새로운 챔피언과 스킨, 그리고 e스포츠 활성화에 열을 올리며 화력을 집중한 ‘리그 오브 레전드’에 비해 힘이 달린 모양새다.
‘히어로즈’마저 기존 AOS 게임이 걸어왔던 길을 밟을 경우 ‘리그 오브 레전드’는 더더욱 넘기 어려운 장벽이 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2012년부터 이야기됐던 AOS 물갈이는 이번에도 실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블리자드가 ‘리그 오브 레전드를 잡겠다’는 각오를 지금도 가지고 있다면 전투력을 극대화시켜 정체된 분위기를 반전시켜야 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와는 다른 게임성을 앞세웠던 블리자드의 전략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문제는 화력이다. ‘히어로즈’ 주 콘텐츠는 영웅과 전장 2가지다. 전장의 경우 부족함이 없지만 상대적으로 영웅 수가 적고, 추가되는 속도 역시 더디다. 실제로 공개서비스와 정식 출시 당시 ‘히어로즈’의 신규 영웅은 ‘캘타스’와 ‘요한나’ 2종에 그쳤다. ‘아리’에 이어 ‘세주아니’ 등 새로운 챔피언과 스킨, 그리고 e스포츠 활성화에 열을 올리며 화력을 집중한 ‘리그 오브 레전드’에 비해 힘이 달린 모양새다.
‘히어로즈’마저 기존 AOS 게임이 걸어왔던 길을 밟을 경우 ‘리그 오브 레전드’는 더더욱 넘기 어려운 장벽이 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2012년부터 이야기됐던 AOS 물갈이는 이번에도 실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블리자드가 ‘리그 오브 레전드를 잡겠다’는 각오를 지금도 가지고 있다면 전투력을 극대화시켜 정체된 분위기를 반전시켜야 한다.
2주 연속 요지부동, 상위권 정체 중위권까지 넘어왔다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온라인게임 순위 상위권은 거의 움직임이 없다. 특히 이번에는 정체가 더더욱 심하다. 1위부터 15위까지 순위변동이 있는 게임은 서로 자리를 맞바꾼 ‘피파 온라인 3’와 ‘서든어택’, ‘마비노기 영웅전’을 밀어내고 15위에 자리한 ‘스페셜포스’ 3종밖에 없다. 더욱 큰 우려는 상위권의 순위 고착화 현상이 중위권까지 넘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3주 전만 해도 전주 대비 8단계나 오른 ‘월드 오브 탱크’와 같이 눈에 뜨이는 상승세를 보인 게임이 중위권에 있었는데, 지난주와 이번 주에는 2주 연속 3단계 이상의 상승이나 하강한 타이틀이 없다. 게임업계 대목인 여름에 맞춰 부지런히 신규 업데이트를 진행 중임에도 순위에는 미풍 수준의 영향밖에 주지 못한다는 것은 각 업체가 필살기로 써왔던 ‘업데이트 카드’가 더 이상은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방증한다.
순위 고착화가 중위권까지 넘어올 경우 런칭을 앞둔 신작들의 입지는 더더욱 좁아진다. 그만큼 높은 순위로 올라갈 수 있는 통로가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5년 여름에 신작 출시를 앞둔 업체의 홍보 담당자는 ‘어떻게 해야 유저들이 이 게임을 하게 만들 수 있을까’를 주제로 머리를 쥐어짜는 중이다. 완성도나 재미 문제를 떠나 초반에 유저들을 모으지 못하면 관심 역시 빠르게 식어가기 때문이다. 점점 더 두터워지는 순위 콘크리트를 시원하게 뚫어줄 신작을 2015년 여름에는 만나볼 수 있을지 지켜볼 부분이다.
반면 하위권은 전쟁이 따로 없을 정도로 다이나믹한 순위변화가 일어났다. 신규 업데이트를 바탕으로 동시 접속자 및 복귀 유저 증가 효과를 본 ‘뮤 온라인’이 6단계나 치고 올라오며 두각을 드러냈다. 여기에 PC방 이벤트로 순간화력을 발휘한 ‘천하제일상 거상’이 9단계 상승하며 40위 권에서 30위 권 진입에 성공했다. 반면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아저씨 게임’ 콘셉을 앞세워 자신 있게 내놓았던 ‘아제라’는 순위 밖으로 밀려났고 그 빈자리를 ‘R2’가 메웠다.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온라인게임 순위 상위권은 거의 움직임이 없다. 특히 이번에는 정체가 더더욱 심하다. 1위부터 15위까지 순위변동이 있는 게임은 서로 자리를 맞바꾼 ‘피파 온라인 3’와 ‘서든어택’, ‘마비노기 영웅전’을 밀어내고 15위에 자리한 ‘스페셜포스’ 3종밖에 없다. 더욱 큰 우려는 상위권의 순위 고착화 현상이 중위권까지 넘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3주 전만 해도 전주 대비 8단계나 오른 ‘월드 오브 탱크’와 같이 눈에 뜨이는 상승세를 보인 게임이 중위권에 있었는데, 지난주와 이번 주에는 2주 연속 3단계 이상의 상승이나 하강한 타이틀이 없다. 게임업계 대목인 여름에 맞춰 부지런히 신규 업데이트를 진행 중임에도 순위에는 미풍 수준의 영향밖에 주지 못한다는 것은 각 업체가 필살기로 써왔던 ‘업데이트 카드’가 더 이상은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방증한다.
순위 고착화가 중위권까지 넘어올 경우 런칭을 앞둔 신작들의 입지는 더더욱 좁아진다. 그만큼 높은 순위로 올라갈 수 있는 통로가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5년 여름에 신작 출시를 앞둔 업체의 홍보 담당자는 ‘어떻게 해야 유저들이 이 게임을 하게 만들 수 있을까’를 주제로 머리를 쥐어짜는 중이다. 완성도나 재미 문제를 떠나 초반에 유저들을 모으지 못하면 관심 역시 빠르게 식어가기 때문이다. 점점 더 두터워지는 순위 콘크리트를 시원하게 뚫어줄 신작을 2015년 여름에는 만나볼 수 있을지 지켜볼 부분이다.
반면 하위권은 전쟁이 따로 없을 정도로 다이나믹한 순위변화가 일어났다. 신규 업데이트를 바탕으로 동시 접속자 및 복귀 유저 증가 효과를 본 ‘뮤 온라인’이 6단계나 치고 올라오며 두각을 드러냈다. 여기에 PC방 이벤트로 순간화력을 발휘한 ‘천하제일상 거상’이 9단계 상승하며 40위 권에서 30위 권 진입에 성공했다. 반면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아저씨 게임’ 콘셉을 앞세워 자신 있게 내놓았던 ‘아제라’는 순위 밖으로 밀려났고 그 빈자리를 ‘R2’가 메웠다.
게임메카 온라인게임 인기순위는 유명 검색포탈, PC방 게임접속 시간, 해당 게임 홈페이지 방문자, 온라인게임 트래픽 자료, 게임메카 유저들의 투표를 종합해 전체적인 ‘게임 인지도’와 ‘게임접속 트래픽’을 기준으로 집계됩니다. 매주 집계된 순위는 포털 사이트 다음(Daum), 네이트, 줌닷컴에 <게임순위>로, 네이버에 <뉴스>로 제공됩니다.
SNS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베일에 싸여 있던 '아이온 2' 상세 정보, 드디어 공개
-
2
검열 반대, GoG 성인게임 무료 배포에 100만 명 참가
-
3
용산에 생긴 블루 아카이브 첫 상설 카페, 가봤습니다
-
4
카드사 압박에 스팀서 삭제된 게임을 무료로 푼 개발자
-
5
카드사 압력에, GTA도 스팀에서 판매 중단될 수 있다
-
6
중국 게임시장 성장 속, '서브컬처’는 쇠퇴하고 있다
-
7
[오늘의 스팀] 동접 33만 돌파한 배필 6, 유저 반응 보니
-
8
백화점 이어, '이터널 리턴' 님블뉴런도 폭탄 테러 위협
-
9
카카오게임즈, 크로노 오디세이 등 신작 4종 출시 연기
-
10
배틀필드 6, 테스트 사전 접속 40분만에 스팀 동접 25만
푸시켓2015-07-01 18:56
신고삭제솔직히 롤은 시장 선점효과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니지않나?
유다희2015.07.01 18:29
신고삭제솔직히 롤도 초반에는 챔피언 많이 없었는데....중간부터 찍어내듯이 나오기 시작했지 블리자드도 그 정도의 화력을 보여준다면 아직 여지는 있다고 봄
유다희2015.07.01 18:29
신고삭제뭐랄까 히어로즈 자체가 재미가 없다기보다는 하나에 자리잡으면 졀대 안 옮기는 한국 시장에서는 어려울수밖에 없었던 것 같네요....이정도도 선전이라고 봄
유다희2015.07.01 18:30
신고삭제기사 말대로 뒤로 갈수록 순위 변동이 많구나...특히 10위권은 뭐 시멘트를 발라놨나 ㅜㅜ
유다희2015.07.01 18:30
신고삭제이 와중 신규 유저 만 명 모으기 이벤트 중인 도타 2는 왜 순위가 떨어지고 있나요 ㅠㅠ
돼지고기2015.07.01 18:31
신고삭제어라? R2가 돌아왔네요.ㅋㅋㅋㅋ
아저씨들의 위력인가요
여치여우곰2015.07.01 18:31
신고삭제출시 때 뭔가 깜짝할 이벤트가 없어서 그래 런칭 전야제도 공연만 주구장창하더니 ㅠㅠ
어잌후2015.07.01 18:33
신고삭제뭔가 중간에 멈춰버린 후로 10위 안으로 진입을 못하네
어잌후2015.07.01 18:33
신고삭제피방가도 히오스 하는 사람 거의 못봄ㅋ
어잌후2015.07.01 18:34
신고삭제아니 몰라서 그러나 영웅을 쳐 더 만들어야지 업데이트가 너무 느리니까;; 롤은 그냥 2주에 한번씩 하는데 얘내는 뭐 하나 나오려면 잔치를 열고 티저를 뿌리고 컨퍼런스를 하고 그 난리를 쳐하면서 결국 텨나오는건 도살자 하나.. 유저들도 인내심 한계 느낌
푸시켓2015.07.01 18:56
신고삭제솔직히 롤은 시장 선점효과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니지않나?
ㅇㅇㅇ2015.07.01 18:57
신고삭제ㅅㅂ히오스가 왜 체력소진이야 말이되는소릴
몽부2015.07.02 08:28
신고삭제히어로즈가 롤을 이길 생각을 하고 시작했단 말인가 !!!
롤은 한번도 안해보고 히어로즈나 간간히 하는 내입장에서도 ..
그러니까 ;; 확실히 히어로즈 편(?!)인 내입장에서도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악프2015.07.02 09:26
신고삭제챔피언 아무리 많이 찍어 낸다고 해서 순위가 올라가지는 않을꺼 같네요ㅎ
제가 블리자드 게임은 모두다 즐겨하지만 개인적으로 히오스는 망작인거 같아요.
한 3판 해보고 재미 없어서 안하고 있습니다. 몇판 해보지도 않고 이런소리 한다고 하시는분들도 계시겠지만 게임은 한두판만해도 재미를 느낄수 있어야 한다는 제 개인적인 생각
시라노2015.07.02 09:27
신고삭제일단 우리나라 성격에 안맞아요. 롤에서 브실골들이 사실 대부분을 차지하잖아요? 근데 고수들이 브실골들에게 하나같이 하는말이 자기 혼자만의 게임을한다 이겁니다. 혼자 잘해가지고 막 다 휩쓸고 캐리하고싶은 욕망이 엄청 많은데, 사실 이건 그냥 인간 본연의 모습일수도 있으며 이것을 자제하고 팀을 위한사람은 더 높은 랭크로 올라가겠죠. 여튼 자기가 쌔져서 막 다 휩쓸고다녀야 재미가날텐데 히오스는 아이템이없어가지고 아무리 열심히해봤자 캐리가안되죠. 이게 가장 큰 문젭니다. 재밌어요 히오스도 확실히. 근데 롤의 선점효과 + 캐리욕심이 아마 롤을 더 굳건하게만 만들거같네요.
몽부2015.07.02 12:46
신고삭제넘흐 주관적이사당.
그렇게 따지면 저에게는 스타2, 워크3, 디아3 모두 망작인데요 ?
Hyuns2015.07.02 13:23
신고삭제블리자드 더이상 새로울건 없는건가? 워크, 스타, 디아블로.
코맥2015.07.02 14:55
신고삭제히어로즈
코맥2015.07.02 14:56
신고삭제게임 한두판만해도 재미를 느끼는건 엄연히 개인차인거슬...
코맥2015.07.02 14:57
신고삭제쉽게말하자면 하드캐리가 빠져서, 국내 유저들이 좋아하는 영웅부심 못한다는 거 ㅇㅇ
CULTIST0012015.07.02 14:58
신고삭제롤도 굳건하다고 할 수가 없는게... 지금 몇년이 다 되가는데, 이렇다할 모드가 없음.
지금이야 몰라도, 나중에는 그냥 영웅만 찍어내다가 찍하는 순간이 올듯
CULTIST0012015.07.02 14:59
신고삭제영웅 업데이트 속도 골드 얻는 속도
CULTIST0012015.07.02 14:59
신고삭제욕심부려서...ㅠ
CULTIST0012015.07.02 14:59
신고삭제오버워치
리니엘2015.07.02 17:09
신고삭제힘내라 카온. 업뎃은 더럽게 안하지만
Tomato-G2015.07.02 17:47
신고삭제히오스의 참패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확실한 주 요소는 시장 선점 효과 입니다. 시장 선점 효과보다 강력한 효과는 없으며, 일단 선점에 선공하면 후발주자가 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어도 그 지위를 빼앗기가 대단히 어렵죠. 사실 히오스의 부진은 충분히 예견된 상황이었습니다.
참신한소재2015.07.02 19:49
신고삭제히오스는 장타 칩니다.
이제 시작인걸요. 이건 rpg가 아니니까요.
하스스톤처럼 장타 칠겁니다.
ㄴㄴ2015.07.02 23:17
신고삭제히오스가 순위가 낮은건 인기가 낮아서가 아니죠.....인기는 충분하지만 매니아틱한 게임이라서 그런겁니다
솔까말 스타 인기일때 한창 워크도 인기였는데 스타가 더 주목 받았다고 해서 스타가 짱짱이란건 아니잖아요?
CULTIST0012015.07.03 09:41
신고삭제하스스톤까지는...잘
ㅁㅇㄹ2015.07.03 09:44
신고삭제블빠들 정신승리하면서 ㅂㄷㅂㄷ하는거보소
그래서 히오스가 해외에선 승승장구하고 계신지?
애초에 롤 한섭보다 카온이 먼저 오픈햇는데 뭔놈의 선점효과 타령이냐 ㅉㅉ
선점효과하나면 핑터지는거 감수하고 외국섭가서 겜하나보지?
시로온2015.07.08 13:15
신고삭제블리자드게임은 고정팬층이 두터운 만큼 블리자드팬만 해도 장기적으로 가기 때문에, 많이 낮아지는 일은 없을거같고. 중요한건 앞으로 히오스만 줄 수 있는 어떤 새로운 것이 더 추가되어야하고, 그외에 MOBA 장르에 불 새로운 외부적 요인에 따라 이대로 유지만하느냐 올라가느냐가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