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에 리소스까지, 중국발 ‘게임 저작권 침해’ 제동 필요
2015.10.02 18:26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서머너즈 워'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컴투스)
중국발 ‘게임 저작권 침해’가 다양한 형태로 진행 중이다. 게임 캐릭터를 무단 도용하는 것을 넘어 최근에는 불법으로 얻은 그래픽 리소스를 온라인사이트를 통해 사고 파는 유형이 나타났다.
우선, 컴투스의 경우 중국 상거래사이트 ‘타오바오’에서 자사 로고와 대표작 ‘서머너즈 워’, ‘낚시의 신’ 캐릭터를 무단으로 도용한 불법 상품이 거래되는 형태가 감지됐다. 당시 피해 규모는 최소 13억 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에 컴투스는 한국저작권위원회 북경저작권센터에 도움을 요청해, 타오바오에서 해당 상품이 판매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저작권 침해 사례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앞서 언급된 타오바오에서 넷마블게임즈의 ‘세븐나이츠’ 그래픽 리소스가 3,99위안에 판매되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이에 대해 넷마블게임즈는 “타오바오에서 ‘세븐나이츠’ 리소스가 거래 중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으며, 판매되지 못하게 대응할 예정이다”라고 답변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런 식으로 불법 취득한 리소스가 거래되는 일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 '세븐나이츠'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넷마블게임즈)
게임은 콘텐츠산업에서 대표적인 수출상품으로 손꼽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14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게임 수출액은 전년 대비 8% 상승한 29억 3,883만 달러, 한화로 3조 원이 넘는 수치를 기록했다. 국내 게임을 무단으로 복제한 ‘불법 저작물’이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는 것은 업체에 직접적으로 주는 금전적인 피해와 함께 수출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중국 정부 및 업체와의 MOU를 통해 대응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2009년부터 중국 정부 산하에 있는 저작권 관리기구 ‘중국판권보호중심’과 MOU를 맺고 양국 저작권 분쟁 해결에 힘을 모으고 있다. 여기에 ‘바이두’, ‘타오바오’ 등 중국 현지 포털사이트 및 전자상거래사이트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현지에서 유통되는 불법 저작물 관련 검색어를 차단하거나 상품을 거래하지 못하게 조치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 저작권정책과는 “한국저작권위원회 북경사무소가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적발한 사례나 국내 업체의 신고를 주로 처리하고 있다. 우선 적발된 저작물이 불법인지 합법인지 여부를 가리고, 불법 저작물이라는 사실이 증명되면 이를 토대로 바이두나 타오바오에 중국기관인 ‘판권보호중심’ 이름으로 거래 중지 등을 요청하는 경고장을 발송하게 된다”라며 “아직 초기라 단번에 ‘저작권 침해’를 뿌리 뽑지는 못하고 있으나, 관련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면 좀 더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리라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
1
베일에 싸여 있던 '아이온 2' 상세 정보, 드디어 공개
-
2
용산에 생긴 블루 아카이브 첫 상설 카페, 가봤습니다
-
3
[오늘의 스팀] 페이트/할로우 아타락시아 리마스터 호평
-
4
[오늘의 스팀] 동접 33만 돌파한 배필 6, 유저 반응 보니
-
5
백화점 이어, '이터널 리턴' 님블뉴런도 폭탄 테러 위협
-
6
문명 시리즈 포함, '4X’ 게임 스팀 할인 열린다
-
7
디아블로 4 총괄 로드 퍼거슨, 블리자드 떠났다
-
8
내 공포 내성은 몇 점? ‘공포내성진단테스트’ 20일 출시
-
9
넥슨에 해결 촉구, 화섬노조 네오플분회 12일 결의대회
-
10
펄어비스, 붉은사막 출시 내년 1분기로 연기
사류라2015-10-02 21:09
신고삭제그다지... 스시국 그대로 배껴서 성장한 김치국이 이재와서 짱깨까봐야....
김치국이 스시국 배낄때랑, 짱개국이 김치국 배낄때의 차이는 단 하나밖에 없다.
인터넷.
배끼는 즉즉이 확인이 가능하니까 짱개가 더 더러워보이는거지 김치국이 스시국 배낀걸로 지금 남말할 처지냐....
태권V같은 쓰레기들 보면서 배우는것도 없나 몰라.
미나미코로세2015.10.02 19:07
신고삭제짱꺠들 진짜 심각하네 미치겠다 =ㅅ=;; 진짜 가지가지하네;
어잌후2015.10.02 19:09
신고삭제3,99위안이 얼만가 했더니 한화로 740원쯤하네요. 본문에 넣어주셨으면 좋았을 듯 합니다
어잌후2015.10.02 19:14
신고삭제이러니까 짜장 뒈놈들은 안된다는 거다. 물론 내수 시장이 크니까 지들끼리 돌려먹던 매쳐먹던 상관 없다고 생각하겠지. 하지만 한국은 무시한다쳐도 결국 서양시장까지 전부 무시할 순 없다. 지금과 같은 풍조로 중국이 서양에 인정받는 브랜드를 낳을 수 있을까? 대륙의 실수 샤오미? 엿먹으라지 그 샤오미조차 과반수 이상 제품이 빼박 표절이다. 가성비가 좋아 다들 알면서도 사서 쓸 뿐이다.
저작권은 콘텐츠 생산자를 보호할 최소한의 안전망이자 콘텐츠 자체에 보내는 경의라 할 수 있다. 근데 중국은 그게 결여되어 있다. 남들이 잘 만든 콘텐츠 배껴 쓰면 그만이지, 해외에서 잘나가? 가져다 쓰면 그만이지. 이게 아주 팽배해져있어. 너무 공공연하게 권장되다보니 아예 콘텐츠 생산자들에게 창작이란 개념이 없다. 인터뷰한거 봤냐? 외국 회사들도 다 처음엔 모방하지 않았냐며, 아이폰의 버튼이 중국 엽전에서 따왔다고 박박 우긴다. ㅈㄹ...
물론 어느 나라건 산업 초기에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중국이 무슨 산업 초기야? 일본도 재친 세계 2위 경제 대국 아니신가? 결국 급속한 성장에 비해 시장경제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상도덕이 결여되어 버린거지. 이런걸 문화지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가 심각하다 여겼는데 중국에 비하면 약과였다. 저런 곳에선 절대 세계에서 인정받는 제품이 못 나온다. 지금의 중국, 거품이자 허상이야. 언젠가 우르르 무너진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법이다.
운명의열쇠2015.10.02 19:15
신고삭제뭘 일장연설을 하고 있어요, 짱깨 퉤- 한마디로 끝나는걸
사류라2015.10.02 21:09
신고삭제그다지... 스시국 그대로 배껴서 성장한 김치국이 이재와서 짱깨까봐야....
김치국이 스시국 배낄때랑, 짱개국이 김치국 배낄때의 차이는 단 하나밖에 없다.
인터넷.
배끼는 즉즉이 확인이 가능하니까 짱개가 더 더러워보이는거지 김치국이 스시국 배낀걸로 지금 남말할 처지냐....
태권V같은 쓰레기들 보면서 배우는것도 없나 몰라.
팽귄대왕2015.10.03 12:15
신고삭제중국도 문재지만 정작 한국도 문재가 많다 블리자드 이미지 그대로 도용하고선 처음에 오리발 내밀다가 들통나니 발뺌하던 놈들 타업체의 소스코드 무단 사용등 이미 한국 사회에서도 이지미뿐만 아니라 소설 시집 만화 예술 건축 기타 많은 부분이 표절을 넘어 벳기기까지한것들로 넘쳐난다 불법 따운을 신고하는 업체와 변호사들도 불법으로 따운 받은 자료를 보거나 사용한다 이미 한국사회에 뿌리깊이 저작권과 지적제산에대한 피해자들이 수두룩하지만 돈과 권력앞에 무방비로 당하기만했었다
군자2015.10.03 13:39
신고삭제중국은 뭔가 돈이라면 뭐든지 하는 거 같음....돈이 되면 다른 건 아무래도 괜찮다는 마인드인가? 그개 심하게 느껴짐
군자2015.10.03 13:42
신고삭제정부가 그나마 좀 대응하고 있다는 게 문제지만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잡아내지 않는한 한국 정부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을듯....
군자2015.10.03 13:53
신고삭제표절과 트레이싱을 넘어 이제는 도둑질까지 나서고 있군 중국의 저런 행태는 막을 방법이 전무하다는게 더 치명적
땅콩버터미니쉘2015.10.03 14:04
신고삭제시바 타오바옼ㅋㅋㅋㅋㅋㅋㅋ갓이네 갓 저작권따위 개나주ㅏ
dhdhtp2015.10.04 11:42
신고삭제몬헌도 짱개들이 소스 뜯어서 불법으로 게임 만들어 죠 ..
헌터 블레이드 ... 기자 회견 이던가 ???
계발자 질문 할떄 누가 몬헌 소스 뜯어서
만든것 아닌가여 한마디에 계발자 침묵 ~~~~~
늘냥이2015.10.04 16:08
신고삭제그냥 저 표절겜들이 외국으로 진출하지 않게 하는 정도가 가장 적절한 대책일 듯.
표절을 하건 리소스를 뜯건 간에 중국내 지들끼리만 만들어서 놀게만 해야지.
사람들 열라 많잖아.
Jin Jui2015.10.04 17:28
신고삭제열도의 카피실력에 한사발 취한다. http://www.ilbe.com/5540990373
karengj2015.10.04 22:52
신고삭제한국은 그래도 타국꺼 베낄때, 스타일만 베꼇지 대놓고 베끼지는 않아서 그냥 베낀척만 할뿐 법적인 문제까지 가진 않았죠... 중국은 아예 대놓고 베끼는거라 문제라는거죠.
vkfksekgml2015.10.05 19:30
신고삭제워 난 이런 곳에 못끼어들겠다
다들 무셔워
미르후2015.10.05 19:32
신고삭제ㅋㅋ 한국은 일본것을 배끼고 중국은 한국을 베끼고 ㅋㅋㅋ 잘들 논다.... 하지만.. 베끼는 것보다.. 중국은 대놓고 베끼기이네.. 최소 양심들은 없는 놈들이네.. 이래서 짱개라는 것 ㅡㅡ;;
GM포스2015.10.10 21:29
신고삭제베끼는 것과 모방은 다르다.
한국이 일본에서 많이 배워왔다고 하지만...
인력 대비 기술력으로 치면 한국이 우세하다고 평할 수 있겠다.
반면 중국은 정부의 규제를 풀어버린지 얼마 되지 않아서...
신흥 부자들이 알짜 기업을 통째로 사버린다든지...
여력이 안되면 그냥 잘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그대로 번역만 해서 제공하죠.
그것도 기술이라면 기술이지만...
요즘 같은 세상에 계약을 하지 않고 마음대로 사용하는데에 있어서는 참 어처구니가 없죠.
호아파참2015.10.11 19:55
신고삭제일베를 링크걸다니..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