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무너진 자율, 확률형 아이템 규제 변명거리도 없다
2016.04.22 17:34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2015년 5월에 열린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가이드라인 설명회 현장
작년 이맘때 업계에서 종종 이야기되던 법적 이슈가 있었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그 주인공이다. 핵심은 강제냐, 자율이냐는 것이었다.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은 2015년 3월 ‘확률형 아이템 확률 및 구성품 정보’를 의무시하는 법안을 발의했으며, 게임업계는 부랴부랴 자율규제를 마련했다. 당시 게임 전문지 기자들이 모여 두 번이나 ‘확률형 아이템 규제’에 대해 논의할 정도로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당시 기억을 되돌리면 대부분의 기자들은 ‘확률 공개는 필요하지만 업계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쪽에 기울였다. 돈을 주고 사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명쾌하게 밝히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게 법이 되어버리면 게임업계는 스스로 자기 일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확률 공개’를 법적으로 의무화하면 나중에 어떤 강력규제로 이어질지 모른다는 풍선효과도 걱정거리로 떠올랐다.
기자 역시 당시에는 그 의견에 동의했다. 자율규제를 잘 운영하면 국내 게임업계도 자정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했음을 보여줄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정국은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자율규제는 7월부터 시작됐으나 업계 반응은 미적지근했다. ‘큰 기업 하는 것을 좀 보고 들어가겠다’라며 몸을 사린 일부 업체. 가치를 가늠할 수 없는 수많은 아이템이 ‘등급 하나’에 묶여 알아보기 힘든 정보. 시행 후 3개월이나 밀린 모니터링 발표. ‘법이 아니라 자율로 유저와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각오와 달리 ‘자율규제’는 업계에서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다.
물론 자율규제는 법이 아니기에 강제할 수 없다. 그리고 법이 아니기에 필요한 것을 빨리 반영할 수 있다. 자율규제 참여율을 높이거나, 확실하게 정보를 공개하는 방법을 붙이며 점점 규모를 키우는 움직임이 있었다면 당장 성과는 없어도 향후를 기대해볼 만 했다. 그러나 자율규제가 시작된 지 열 달이 넘도록 제자리걸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정우택 의원이 발의한 ‘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폐기 직전에 몰리자 업계에서는 ‘자율규제’를 놓아버린 모양새다.
그러나 다가오는 20대 국회에서 2라운드가 예상된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를 발의한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이 충청북도 청주시상당구에서 4선에 성공한 것이다. 즉, 19대 국회를 넘지 못한 ‘확률형 아이템 규제’를 다시 발의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정 의원 본인 역시 법안 발의 이후에도 페이스북을 통해 이 문제를 계속 언급하며 관심을 표해왔다. 자율규제 시행 뒤에도 그는 정확한 확률 제공이 없고, 성인 게임이 제외되었으며, 처벌 조항이 없다는 3가지 이유를 들며 실효성이 의심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다시 말해 정우택 의원 본인도 ‘자율규제’가 잘 돌아가지 않음을 알고 있다. 그가 20대 국회에서 다시 법안을 발의한다면 게임업계에서는 ‘자율규제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를 내세울 수 없다. 이미 진행 중인 자율규제를 안착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지금 상황에서는 ‘자율규제’를 방패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가진 무기가 부족한 이 시점, 게임업계는 과연 무엇으로 법을 막을 생각인지 의문이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대작 제치고 1위, 깜짝 신작 '스케줄 1'
-
2
유저 모드 위해, 크래프톤 ‘인조이’ 데누보 적용 취소
-
3
[오늘의 스팀] 인조이, 출시와 함께 전세계 판매 1위
-
4
인조이, 게임 초반 놓치기 쉬운 ‘꿀팁’ 7선
-
5
스위치 2 국내 체험회 응모 시작, 6월 출시에 무게
-
6
‘사이버펑크 고’ 나오나? CDPR-스코플리 협력 발표
-
7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8
축구공으로 때린다, 호날두 '아랑전설' 캐릭터로 등장
-
9
[오늘의 스팀] 폴아웃 풍 신작 아톰폴, 평가 ‘매긍’
-
10
어크 섀도우스, 유비식 오픈월드는 버려야만 한다
미르후2016-04-22 18:28
신고삭제자율 규제.... 지.랄 해요 업체가 진짜로 양심껏 할것 같아보임?? 솔직하게 난 우리 나라 업체들이나 기업들... 믿지 않는다..
중요한능력치2016.04.22 17:45
신고삭제차일피일 미루다 잘하는 짓이다. 기회 줬을 때 잘 해야지.
오우삼2016.04.22 17:47
신고삭제정부가 규제만능론으로 나오는거에요 ㅡㅡ
오우삼2016.04.22 18:11
신고삭제이거도 이거지만 게임업계가 원래 워낙 모래알 같아서 지들 이해 걸린 거도 뭉치지 못하는 걸로 유명한데....자율규제같은 거는 더 안되겠죠 법이라도 만들어서 확률 공개라도 해야 될 거 같음 못 팔게 하는 거도 아닌데
카틀라2016.04.22 18:12
신고삭제와 ㅎㅎㅎㅎ 결국 이렇게 됐군요 ㅠㅠ 규제 넘나 무용지물인것.,..
부레옥잠2016.04.22 18:13
신고삭제틀린말은 아니지...
솔직히 여태까지의 자율규제 이야기 한창 나오다가,
규제 이야기 살짝 빠지니, 다들 쏘옥 하고 입 싹닫는거 봤잖슴?
근데 이 상태에서 다시 법안 발의되면
빼애애애액! 우리 자율규제함!! 업계 죽인다
이럴 수순이 뻔한데...
결과적으로 의미도 없는 자율규제에 왜 매달리는지 모르겠다
CULTIST0012016.04.22 18:13
신고삭제물 들어왔을때 했어야지.
이제와서 후회해봤자 늦었다네 ㅡㅡ
미르후2016.04.22 18:28
신고삭제자율 규제.... 지.랄 해요 업체가 진짜로 양심껏 할것 같아보임?? 솔직하게 난 우리 나라 업체들이나 기업들... 믿지 않는다..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6.04.22 18:40
신고삭제정말 큰 문제는요. 이 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법제화되는 순간, 게임사들은 다음 법제화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겁니다. 그 두번째로는 해외발 게임사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일정량의 강제기부 같은 것이에요. 현재 LOL을 비롯한 해외발 거대 게임업체들은 한국 문화사업에 무척이나 큰 도움을 주고 있어요. 이런 인식개선을 게임사들은 반드시 해야만 합니다. 분명 게임사들은 이 대목에서 이렇게 되면 가장먼저 시장 경쟁력에서 약화가 우려 를 표하겠죠. 근데 지금 현실을 보세요. 한국에서 번 돈 전부 자국으로 송두리째 가져가는 회사도 있지 않습니까? 한국에 지사 세워서 한국 자본을 본국으로 잠식해가는 회사가 몇개일것 같은가요. 시장 경쟁력도 경쟁력이지만, 정말 한국에서는 자본만 잘벌면 장땡이지 원리원칙도 최소한의 상도덕도 찾아볼수가 없어요. 다 함꼐 미쳐가는거 같습니다.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6.04.22 18:46
신고삭제막상 써놓고보니 정말 미친 생각이군요.
손인춘의 1% 강제징수랑 뭐가 다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현실을 짚어볼게요.
지금 재단을 설립하거나 문화재단을 통해서 한국 문화나 사회복지 사업에 투자하는 게임사가 몇개나 되던가요. 돈 그렇게 많이 벌어가면서 게임사에서 일하는 직원들 복지 수준은 어째서 아직까지 최악인가요. 위 기사처럼, 차일피일 미루다가 발등에 불 떨어져서 언론플레이 하는 것이 도대체 몇가지입니까. 전 지금도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시장을 위축시킨다는 권위있는 게임계 인사의 말이 잊혀지질 않네요. 상황이 이런데 게임사들이 다음 규제에 대해서도 할말이 잇을까요?? 사람들이 믿을 수 있을까요?? 게임사 직원들도 우린 뭘 해도 욕먹으니까 라는 이유를 들어가며 유저를 개 돼지 정도로 취급하는데 말입니다.
오우삼2016.04.22 19:32
신고삭제중독법 같은 과도한 규제는 반대하지만...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문제가 다르군요..유저들도 피해를 보고 더 나아가
국내기업드 경쟁력에 장벽이 된다면 상황에 따라 강제적인
방법이 더 나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물론
꼬투리 잡아 한몫 챙기겠다는 과잉규제는 여전히
반대합니다.
황혼의신2016.04.22 19:33
신고삭제솔직히 게임 개발사들이 경영을 잘한다고 보기도 힘듬. 이때가 될때까지 결론적으로 아무것도 안했으니.
블루소울2016.04.22 20:13
신고삭제그걸 떠나서 이런 기사가 계속, 그리고 많이 나와줘야 합니다.
이 기사를 작성해주신 기자님 정말 감사드리고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아울러 다른 기자님들도 현 게임계에 대한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해서 철저히 다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유저들은 호구가 아닙니다.
게임사에 대한 유저의 목소리는, 청와대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만큼이나 닿기 힘듭니다.
유저를 대변할 수 있는 기사가 늘어나, 업계에 경종을 울렸으면 좋겠습니다.
블루소울2016.04.22 20:14
신고삭제아 본문에는 게임사라고만 적었네요. 게임사 및 이에 관련된 정부 부처로 수정하고 싶네용.
Ji Hun Bae2016.04.22 20:38
신고삭제엿이나 먹으라지. 하하.
땅콩버터미니쉘2016.04.23 16:20
신고삭제협회가 대체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겠음. 회원사들 자율규제 제대로 안 지키는데가 태반인데 제재도 전혀 안하고-_- 업체들 돈 벌어야하는건 알겠는데 좀 사는 사람들이 그럴수도있찌할만한 상품을 팔아라
난장민2016.04.24 16:11
신고삭제ㅋㅋㅋㅋ 정부는 안도와줘 중국은 치고 올라와 게임계 망하는거 시간문제네 ㅋㅋㅋㅋㅋ
근데도 아직도 정신못차리고 돈만 벌궁리만하는 업계~ 그러니 호구인줄알고 개나소나 달려들어 물어뜯어 먹을려고 하지... ㅋㅋㅋㅋ
난장민2016.04.25 18:33
신고삭제다 시간 끌기 라니깐~~
수명 짧은 모발 겜에 언능 울궈먹고 빠질 생각을 하지 자율로 적용할리가 있나
법안 통과 된다고 바로 적용 될것도 아니고~ 또 이런 저런 방법으로 시간 끌꺼 뻔 하구만~
진서뀽2016.07.08 16:14
신고삭제정부의 규제만능주의는 문제지만 업계도 잘한거 없음. 지난 1년은 말하자면 집행유예기간 같은 거였는데 그간 업계가 해놓은 꼴을 봐요. 그럼에도 삥뜯기식 규제는 반대하지만 앞으로 다가올 더 강력한 규제를 어떻게 막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