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이하는 청소년에게 못판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 또 등장
2016.10.26 10:46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이원욱 의원이 발의한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사진출처: 의안정보시스템)
확률형 아이템 규제가 또 화두에 올랐다. 정우택, 노웅래 의원이 발의한 법안에 이어 세 번째 규제법이 등장한 것이다. 특히 이번에는 획득 확률이 10% 이하로 설정된 아이템이 들어 있는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미성년자에게 판매하지 못하게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지난 25일, 등장 확률이 10% 이하인 아이템이 포함된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는 게임은 청소년 이용불가 게임으로 분류하도록 하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확률형 아이템은 안에 포함된 여러 가지 게임 아이템 중 하나가 무작위로 등장하는 상품을 말한다. 다시 말해 획득 확률이 10%보다 낮은 아이템이 포함된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할 경우, 그 게임을 성인 게임으로 분류해 미성년자를 차단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획득 확률이 10% 이하인 아이템이 포함된 확률형 아이템은 안에 들어 있는 개별 아이템 종류와 확률을 공개해야 된다. 정리하자면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10%보다 낮은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는 게임은 미성년자에게 서비스할 수 없으며, 세부 아이템 구성과 확률을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원욱 의원의 법안은 지난 7월에 정우택, 노웅래 의원이 발의한 법안보다 강도가 세다. 정우택 의원과 노웅래 의원의 법안은 확률형 아이템 구성품과 획득 확률을 의무적으로 공개하는 것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발의된 이원욱 의원의 법안에는 아이템이 나올 확률이 10% 이하인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미성년자가 구매할 수 없게 차단한다.
앞서 발의된 두 법안이 ‘확률 공개’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법안은 일부 상품을 미성년자에게 판매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원욱 의원은 ‘상세 확률을 공개하는 것만으로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소비가 줄거나 절제될 가능성은 낮다’며 ‘또한 확률 공개는 게임사와 유저 간의 신뢰 회복에만 기여할 뿐 실질적인 아이템 유통과는 관련이 없다. 또한 게임업계가 진행 중인 자율규제를 명문화한 것이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현재 게임업계에서 별다른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하고 복불복 식의 확률형 아이템과 이를 판매하는 이벤트만을 양산하는 비정상적 비즈니스가 심화되고 있다”라며 “내년부터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도 민간의 자체등급분류사업자가 등급을 부여할 수 있게 되지만 10% 이하의 확률의 유료 아이템 판매 시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민간도 예외가 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에 발의된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안은 3개다. 다시 말해 확률형 아이템을 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게임업계는 요지부동이다. 작년부터 진행한 자율규제의 경우 게임사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힘이 부족했으며, 공개된 확률 역시 원하는 아이템의 등장 확률을 알기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게임업계는 한국인터넷엔터테인먼트협회를 중심으로 올해 7월까지 자율규제 강화안을 발표하겠다고 했으나 3개월이 지난 지금도 감감무소식이다. 자율규제가 여론의 지지를 잃고 있는 와중, 국회에서는 새로운 규제 법안이 연이어 등장하며 ‘자율규제로 법적규제를 막겠다’는 업계의 의도도 점점 힘을 잃고 있다.
많이 본 뉴스
-
1
[순위분석] 1년 새 최하위, 이터널 리턴 '위기’
-
2
15일, 발더스 게이트 3에 서브 클래스 12종 추가
-
3
둠 한정판 패키지 '박스'에서 둠이 돌아간다
-
4
부정행위 남발에, 몬헌 와일즈 ‘순위보상’ 폐지한다
-
5
블루아카 라멘 팝업에서 '시바세키 라멘' 팝니다
-
6
스팀 할인에 대한 게이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
7
출시 15주년 ‘메트로 2033 리덕스’ 17일까지 무료 배포
-
8
긴 여정 마무리한 발더스 게이트 3, 마지막 패치 단행
-
9
엔씨소프트, 언리얼 엔진5로 차세대 리니지 만든다
-
10
[오늘의 스팀] 그저 사진 찍을 뿐인 게임, 호평 이어져
미르후2016-10-27 19:28
신고삭제ㅋㅋㅋㅋ 정말 이런것 보면 대한민국 웃기는 개그쇼를 하는것 같아 보임!! 어떤것은 규제가 필요 하다고 보여지지만 그 규제를 보면... 필요성의 의미와 문제점? 기업이 먼저 손선수범을 해야 하는데.. 꼭 규제를 해야만이 하는 기업두 문제이고 정부는 규제를 하더라도 필요하는 부분에서는 인정하지만.. 어떨때 규제 아닌 규제를 볼때 난감하고 뭐라고 웃음이 나올뿐~~ 한편의 개그쑈 보는 느낌 ㅋㅋ
foriris2016.10.26 11:00
신고삭제통과되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은 성인물이 되겠네요.
다다다2016.10.26 11:01
신고삭제이제 캐시템 조립해서
아이템 만들게 하겠네...
검은13월2016.10.26 14:08
신고삭제ㅋㅋㅋ 본인 월급이 랜덤박스 되봐야 정신차림
ㅇㅇ2016.10.26 15:02
신고삭제10.1퍼짜리 엄청 나올듯 ㅋㅋㅋㅋ
제피로스2016.10.26 15:57
신고삭제이렇게 되면 10% 확률로 뽑은 티켓에서 10% 확률을 또 한번 거쳐야 쓸만한 등급을 먹을 수 있도록 할 듯...
여치여우곰2016.10.26 16:15
신고삭제어떻게 그런 생각을 천잰데??
역장타마2016.10.26 17:04
신고삭제앞으로 바뀔 모바일 게임 과금 모델 :
89.9% : 싸구려 잡템
10.1% : 무기 교환권
무기교환권 1장 -> B등급
무기교환권 10장 -> A등급
무기교환권 100장 -> S등급
무기교환권 1000장 -> SS등급
그런데 교환해서 받는 아이템이 동일 등급 내에서 랜덤.
그리고 동일 등급내의 아이템 성능차가 천차만별.
dork****2016.10.26 18:45
신고삭제급식충 ㅂㄷㅂㄷ하는소리 저만 들림?ㅋ
아프리카타조세자2016.10.26 19:00
신고삭제또 청소년 혐오 아니냐고 신나게 떠들지 않을지 ㅋㅋ
아프리카타조세자2016.10.26 19:01
신고삭제어차피 게임사들은 지갑 두둑한 아재들 믿고 가기 때문에 그닥 신경 안 쓸 듯
불안나2016.10.26 19:31
신고삭제사실 이런 규제법이 나오면 게임사들도 '앗 우리가 좀 너무했나'라며 반성하는 기미가 보여야 되는데
왠지 진짜 '10%' 안에서 최대한 수익낼 꼼수만 찾을 거 같아서 너무나 걱정된다
윗 분들이 말한대로 10%짜리 아이템 여러개 모아가지고 새 아이템 만드는 방식처럼 ㅠㅠ
성공의학2016.10.26 19:47
신고삭제좋은일이라 생각이 들지만 한편으로는 어떻게든 빠져나올 궁리로 게임성은 더 시궁창으로 빠지겠죠
스윗배로우2016.10.26 21:09
신고삭제헬조센은 법으로 규제 안 하면 스스로 못 고치나?
삐뚤빼뚤2016.10.26 21:50
신고삭제못고치는게 아니라 안고침.
개발사들도, 유저의식도 여전히.
나는 아니다, 내주변은 아니다라고 해도, 모바일 게임의 수익성 구조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캐시카우를 키워주고 있음.
또한 기업들은 자정작용을 커녕 말하기 입아플 정도로 태세를 악화시킴.
법으로 규제를 하고 또 해야됨.
베르2016.10.27 01:10
신고삭제근데 게임메카 좋은 기사들은 다 이분 기사
디리띰독2016.10.27 14:02
신고삭제dfs
미르후2016.10.27 19:28
신고삭제ㅋㅋㅋㅋ 정말 이런것 보면 대한민국 웃기는 개그쇼를 하는것 같아 보임!! 어떤것은 규제가 필요 하다고 보여지지만 그 규제를 보면... 필요성의 의미와 문제점? 기업이 먼저 손선수범을 해야 하는데.. 꼭 규제를 해야만이 하는 기업두 문제이고 정부는 규제를 하더라도 필요하는 부분에서는 인정하지만.. 어떨때 규제 아닌 규제를 볼때 난감하고 뭐라고 웃음이 나올뿐~~ 한편의 개그쑈 보는 느낌 ㅋㅋ
빛나무2016.12.09 10:58
신고삭제... 윗분들 그래서 일본에는 가챠로 모은거 끼리 합쳐서 뭔가 효과를 주거나 얻는게 원칙적으로는 금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