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큰 틀 잡혔지만 게임사 참여가 열쇠
2017.02.15 21:18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강화안 발표 질의응답 시간
왼쪽부터 협회 김문환 연구원, 강신철 협회장, 한양대학교 황성기 교수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관련기사]
개별 공개가 원칙,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틀부터 새로 짰다
10% 이하는 청소년에게 못판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 또 등장
확률형 아이템 이대로는 안 된다, 여·야 모두 규제 법안 발의
개별 공개가 원칙,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틀부터 새로 짰다
10% 이하는 청소년에게 못판다,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 또 등장
확률형 아이템 이대로는 안 된다, 여·야 모두 규제 법안 발의
게임업계가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강화에 칼을 뽑았다. 미준수 업체 공개, 희귀 아이템 확률 개별 공개와 같은 기존보다 강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틀’을 다시 잡으며 스스로 ‘확률형 아이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문제는 현실화다. 작년에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이번에 마련된 강화안에 대해 “기존보다는 진일보했지만 실질적인 규제가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학부모단체나 시민단체에서 반신반의할 것 같다. 무엇보다 큰 과제는 게임업계가 자율규제를 얼마나 잘 지키는냐다”라고 말했다.

▲ 자율규제 강화안 발표 현장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는 2월 15일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강화안’을 발표했다. 일단 협회의 목표는 오는 7월 1일부터 강화안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번에 발표된 강화안의 핵심은 3가지다. 미준수 업체 리스트 공개, 희귀 아이템 확률 별도 발표, 게임 진행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 아이템’은 확률형 아이템에 넣지 말 것과 같은 금기사항 마련이다.
그러나 현재 마련된 것은 ‘큰 틀’만 있을 뿐이다. 이를 현실로 옮길 자세한 사항이 미정으로 남아 있다. 즉, ‘자율규제 강화안’을 실제로 진행하기 위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첩첩산중이다. 예를 들어 ‘일정 금액 이상 결제하면 희귀 아이템을 100% 제공한다’고 했는데, 이 금액을 얼마로 설정할 것인지도 정해져 있지 않다. 여기에 자율규제 강화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게임사가 이에 맞춰 사업모델을 뜯어 고쳐야 되는데 인력이 많은 대기업에 비해 중소 게임사는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
이 외에도 ‘확률형 아이템에 넣지 말아야 할 필수 아이템의 종류는 무엇인지’,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적용 범위 재평가를 얼마에 한 번씩 진행할 것인지’ 등, 자율규제 현실화를 위한 자세한 내용은 지금부터 만들어야 한다. 새로운 자율규제 시행까지는 앞으로 5개월 남았다. 즉, 다섯 달 동안 ‘세부적인 규칙’을 얼마나 정교하게 완성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 강신철 협회장은 자율규제를 통해 이용자와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또 다른 과제는 게임사의 참여의지다. 이번 규제는 말 그대로 ‘자율’이기에 게임사가 스스로 참여해야 한다. 여기에 ‘미준수 업체’ 공개에 대해 황성기 교수는 “우선은 협회 회원사를 기준으로 삼는다. 해외 게임사까지 포함하기에는 ‘자율규제’이기에 한계가 있다”라고 말했다. 즉, 국내 게임사 입장에서 ‘자율규제로 법을 막아보겠다’는 강력한 참여 의지가 없다면 ‘자율규제’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유명무실’하게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
앞서 말했듯이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공개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3개나 발의되어 있다. 즉, 이번에 게입업계가 ‘자율규제’를 안착시키지 못한다면 ‘자율규제로 법적규제를 막는다’는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만약 법으로 ‘확률 공개’가 의무화된다면 말 그대로 ‘법적규제’이기에 시장 환경에 맞춰서 유연하게 ‘규제’를 개선해나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과연 게임업계가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자율규제’를 제대로 안착시켜 ‘법적규제’로 돌아선 게이머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많이 본 뉴스
-
1
[이구동성] 옛날에 산 게임을 전액 환불해준다고?
-
2
15일, 발더스 게이트 3에 서브 클래스 12종 추가
-
3
인조이, 모드보다 쉽게 만드는 유저 콘텐츠 봇물
-
4
[순위분석] 1년 새 최하위, 이터널 리턴 '위기’
-
5
둠 한정판 패키지 '박스'에서 둠이 돌아간다
-
6
블루아카 라멘 팝업에서 '시바세키 라멘' 팝니다
-
7
부정행위 남발에, 몬헌 와일즈 ‘순위보상’ 폐지한다
-
8
'청불 게임' 심의 완전 민간이양, 예상 시기는 2027년
-
9
스팀 할인에 대한 게이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
10
출시 15주년 ‘메트로 2033 리덕스’ 17일까지 무료 배포
v123321v2017-02-16 11:25
신고삭제싫어 임마 이렇게 하면 자율규제 인정해준다
객관적이고 통일된, 정확한 수치로 모든 확률성 컨텐츠의 정보를 해당 확률성 컨텐츠 실행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공개
미준수 기업에 대해 해당 게임 오프닝 화면에서 3개월간 사과문 공지, 재적발시 뽑기컨텐츠 화면에서 영구 사과문 공지
게임 런칭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뽑기 로그와 통계 공개
v123321v2017.02.16 11:25
신고삭제싫어 임마 이렇게 하면 자율규제 인정해준다
객관적이고 통일된, 정확한 수치로 모든 확률성 컨텐츠의 정보를 해당 확률성 컨텐츠 실행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공개
미준수 기업에 대해 해당 게임 오프닝 화면에서 3개월간 사과문 공지, 재적발시 뽑기컨텐츠 화면에서 영구 사과문 공지
게임 런칭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뽑기 로그와 통계 공개
nr21cgm2017.02.16 12:20
신고삭제우리나라 현실에서 자율규제란 말이 가당키나 한가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서 온갖폐단에 찌들어 있는데 자율규제는 무슨
뜬구름 잡는 소리 그만하시고 그냥 법적규제로 바로 가는것이 답이예요
그리고 무슨 세부적으로 일일이 정하나요 원칙과 기준만 세워놓으면 돼는것을....원칙과 기준에 대한 적용범위에
대한 보완이면 모를까 뭘 개별적으로 정한다니......그럼 새로이 생성돼는 정하지 않은 것들 나올떄마다 일일이 새로 ..
인력낭비 시간낭비...
적마도사2017.02.16 15:32
신고삭제참여하는 곳이 있을지 모르겠다. 난 부정적임.,
Maridethos2017.02.16 19:01
신고삭제애초에 강화해봤자 과연 누가 참여할련지
그냥 이미 그 단계는 넘어간 거 아닌가 싶음 ㅎ
PentaF2017.02.16 19:01
신고삭제협회가 열심히해봤자
언제나 참여 안하는 게임업계
그래놓고 규제 통과될라면 빼애애애애액!!
어휴
코맥2017.02.17 14:24
신고삭제솔직히 대형 개발사가 참여해서,
소형 개발사 참여도 이끌어야 하는데...
제일 중요한 대형 개발사도 미진한 마당에 ㅎㅎ
좀 지키는 모습 좀 보입시다
미르후2017.02.17 18:56
신고삭제큰 틀 같은 소리 한다... 아이고 의미 없다.... 과연~~
ProTech2017.02.18 01:52
신고삭제그냥 정부가 나서서 확률형 아이템 강화, 확률형 캐시 뽑기 아이템 다 없애버렸으면 좋겠다.
애초에 우리나라 게임 판 망친게 이 두 가지잖아요?
도대체 얼마나 컨텐츠 만들 능력을 잃었으면 아이템 강화, 뽑기를 주력 컨텐츠로 밀고 있는지..
솔직히 말해서 우리나라 게임 판 보고 있으면 바다 이야기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무기나 마법 가지고 싸우는거 보여주는거? 모바일 게임은 그것 마저도 방치형이니..
핏빛파란2017.03.06 03:14
신고삭제애초에 패키지게임 시장이 망해서 유독 우리나라만 부분유료화가 대세로 정착하게 된 탓이 더 크다고 봅니다만... 사실 만드는 게임 보면 차별화는 괜찮은 것도 많은데 (재미는 모르겠고...) 거기에 부분유료화를 끼얹어버리니 게임을 계속 유지하고 업데이트 해야해서 게임이 점점 산으로 가는듯
월군2017.02.18 11:33
신고삭제자율규제가 지켜질 것 같으면 우리나라에 교통사고가 안 일어나겠지
핏빛파란2017.03.06 03:15
신고삭제그래도 게임업계가 바보는 아니겠죠. 이번에도 안 지키면 정말 법적규제인데, 자율규제 선에서 더 이상 말 안 나오도록 하는게 자기들 돈 지키는거라는 걸 알텐데...
핏빛파란2017.03.26 20:33
신고삭제대형 게임사, 넥슨만 봐도 잘 지키는 게임도 있고, 잘 안 지키는 게임도 있음. 공개는 하지만 형식이 통일되있지 않다보니 편법으로 다 빠져나가지. 3n은 사실상 여론이 무서워서라도 자율 규제는 한다.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중소 게임사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