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의 멤버십이다, 카카오톡에 뜬 '게임별'
2017.02.27 13:40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관련기사]
![]() (사진제공: 카카오) |
카카오톡에 새로운 ‘게임탭’이 열렸다. 카카오톡 설정에서 노출을 선택하면 메인 화면에 뜨는 네 번째 탭은 카카오의 ‘게임 전용 공간’이다. 지난 12월에는 안드로이드, 1월에는 iOS 버전에 추가된 ‘게임별’은 작년 지스타에서 남궁훈 부사장이 직접 소개했을 정도로 카카오 내에서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신규 사업이다. 지스타 당시 남궁 부사장은 ‘게임별’에 대해 “게임사 입장에서 게임을 지우고 떠난 유저에게 재방문을 요구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하다. 게임별은 이러한 유저를 불러들일 수 있는 도구가 되리라 생각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카카오게임하기’가 게임을 출시하는 공간이라면 ‘게임별’은 출시한 게임이 일정 수준 이상의 유저를 꾸준히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는 것이다. |
지난 12월에 열린 ‘게임별’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이 방문하고 있을까? 게임메카는 카카오 주성연 게임플랫폼기획 파트장과의 인터뷰에서 이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주성연 파트장은 “현재 ‘게임별’의 일 평균 이용자는 300만이며 재방문율은 80% 수준이다”라고 말했다.
즉, 하루에 평균 300만 명이 ‘게임별’이 방문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홍보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주성연 파트장은 “1월 말에 iOS 버전까지 오픈하고 정식 서비스를 진행한 지 한 달째를 맞이하고 있다. 아직 API를 공개하지 않고 카카오가 퍼블리싱하는 모바일게임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서비스 중인데, 기존 다른 채널보다 5배에서 10배 이상 노출 효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카카오 주성연 파트장(하단 정중앙)과 카카오 게임별 TF
(사진제공: 카카오)
그렇다면 어떠한 것을 이용할 수 있기에 하루에 300만 명이 ‘게임별’에 방문하고 있는 것일까? 주성연 파트장은 이를 사용자와 게임사,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우선 이용자에 대해 그는 “일종의 ‘카카오게임 멤버십’과 같다. 게임을 즐기며 쌓는 경험치로 ‘한정판 이모티콘’과 같은 보상을 얻을 수 있으며, 내가 했던 게임이나 새로 출시된 게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별도 보상과 함께 전달된다”라고 말했다. 게임 플레이 자체를 일종의 ‘마일리지’처럼 쌓아서 추가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유저들이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 게임별 및 각 게임에서의 활동이 일종의 '마일리지'처럼 쌓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이어서 게임사에 대해서는 “게임별의 유저 트래픽을 바탕으로 사전예약부터 출시, 업데이트에 이르기까지 유저들의 유입과 잔존, 복귀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출시 및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보상을 설정해 ‘게임별’에 노출함으로써 프로모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출시 직전은 물론 그 이후까지 유저 유입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쓸 수 있다.


▲ 게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여기에 ‘게임별’에는 추가 효과를 노리는 요소가 있다.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에서 바로 즐길 수 있는 ‘스넥게임’이다. 카카오가 노리는 점은 ‘새로운 유저 발굴’이다. 모바일게임 경험이 없는 사람이 ‘스넥게임’을 통해 게임을 경험하고, 이후 다른 게임까지 즐기게 되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주성연 파트장은 “스넥게임은 별도의 앱 설치나 삭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카카오톡 이용자를 ‘게임별’ 안에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유저를 카카오가 서비스하는 다른 게임까지 연결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말했다.
‘스넥게임’의 현재 일 평균 이용자는 150만 명이다. 즉, 하루 평균 150만 명이 ‘스넥게임’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제공되는 게임은 11종이며, 모두 카카오가 자체적으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후에는 더 다양한 게임이 추가될 예정이다. 주성연 파트장은 “앞으로 1주 단위로 신작을 선보일 계획이며, 다른 회사와의 파트너십 역시 고려 중이다. 특히 ‘스넥게임’을 다른 모바일게임과 연동하는 것도 의미 있다고 본다.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는 게임사가 있다고 해보자. 이 때 ‘스넥게임’으로 게임을 미리 출시해 유저들을 모으고, 이를 정식 버전 다운로드로 유도하는 식이다”라고 전했다.

▲ '게임별'에서 즐길 수 있는 '미니게임' (사진출처: 게임메카 촬영)
많이 본 뉴스
-
1
[이구동성] 옛날에 산 게임을 전액 환불해준다고?
-
2
15일, 발더스 게이트 3에 서브 클래스 12종 추가
-
3
인조이, 모드보다 쉽게 만드는 유저 콘텐츠 봇물
-
4
둠 한정판 패키지 '박스'에서 둠이 돌아간다
-
5
[순위분석] 1년 새 최하위, 이터널 리턴 '위기’
-
6
블루아카 라멘 팝업에서 '시바세키 라멘' 팝니다
-
7
부정행위 남발에, 몬헌 와일즈 ‘순위보상’ 폐지한다
-
8
'청불 게임' 심의 완전 민간이양, 예상 시기는 2027년
-
9
스팀 할인에 대한 게이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
10
출시 15주년 ‘메트로 2033 리덕스’ 17일까지 무료 배포
코맥2017-02-27 16:45
신고삭제나쁘지는 않은데 과연 "게임별"이 뭔가 큰 영향을 줄거라는 생각이 안듬
솔직히 국내 유저들에게 카톡은 메세지 주고 받는 그 이상의 메리트는 없다고 봄
안그래도 메시지로 게임 초대 알림이라도 오면 난리 피는 사람들이 태반인데
이게 하나의 문화로 작용하거나, 게임을 잘하는 방식으로 잡히기에는 멀어보임
코맥2017.02.27 16:45
신고삭제나쁘지는 않은데 과연 "게임별"이 뭔가 큰 영향을 줄거라는 생각이 안듬
솔직히 국내 유저들에게 카톡은 메세지 주고 받는 그 이상의 메리트는 없다고 봄
안그래도 메시지로 게임 초대 알림이라도 오면 난리 피는 사람들이 태반인데
이게 하나의 문화로 작용하거나, 게임을 잘하는 방식으로 잡히기에는 멀어보임
여치여우곰2017.02.27 16:45
신고삭제허헝 인터뷰에 인터뷰이랑 같이 팀 사진이 있는 거는 신기하네요
보통 인터뷰 한 사람만 있던데
그런데 게임별 오픈되고 사실 가장 많이 한게 스낵게임밖에...
그 활쏘기? 그거 옛날에 플래시게임으로 있어서 재미있게 했는데 그거 생각나더라구요
페이스북도 자체 게임 서비스하던데 카카오쪽도 게임 좀 다양해졌으면
Deceiver122017.02.27 16:46
신고삭제스낵게임 하도 얘기가 많길래 한 번 해봤는데 의외로 재밌네요. 친구들이랑 심심할 때 가끔 주고 결과 주고 받다 보니 계속 하게 됩니다. 근데 게임별 등록된 카카오게임이 아직 너무 적어서 제대로 혜택을 못 받네요. 왜 제가 하는 게임은 다 혜택 안 주는 건가요? 카카오 빨리 바쁘게 일 많이 해서 게임별 등록 게임 좀 늘리면 좋겠습니다. 저보다 월급도 더 많이 많는 분들이실 테니 일 더 많이 했으면 좋겠네요.
PentaF2017.02.27 16:46
신고삭제역시 카카오는 게임이 많아서 그런지
이런 제휴 콘텐츠도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이 부럽.
잘 키워나가서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발걸음이 되면 좋겠음
불안나2017.02.27 16:48
신고삭제다 좋은데 예전에 초대하기처럼 지나치게 상업적인 서비스로만 안 변했으면 좋겠네요
사실 하트 보내기도 '애니팡'에서 시작되서 원래는 아는 사람에게 '하트'를 보낸다라는 의미였는데
너무 남발하다보니 거부감이 심해지면서 차단하기 기능이 생기고 말았죠
게임별도 정도를 아는 서비스가 됐으면...
폴스타트2017.02.27 17:06
신고삭제다른 건 몰라도 스낵게임은 재미있음 사실 간단하게 하기도 좋고 나름 빠져드는 맛이 있어서 계속 하게됨
그런데 재미있다 말고는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아 스낵게임으로 다른 게임 홍보하거나 그런것도 가능할 수 있겠구나.. 그런데 그렇게 되면 너무 광고 같아서 거부감이 들 거 같은데
미르후2017.02.27 20:46
신고삭제카카오 게임 이젠 별로라서 안함 ㅎㅎ
아프리카타조세자2017.02.27 23:15
신고삭제나처럼 이모티콘 안 쓰는 사람한테는 카카오 멤버십이라는 제도 자체가 아무런 힘을 가지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