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심의 문제로 큰 곤혹을 치르고, 결국 게이머가 접근할 수 없게 격리가 된 게임이 있습니다. 스마트조이가 개발한 수집형 RPG ‘라스트 오리진’ 입니다.
이 게임은 출시 5일 만에 구글로부터 과도한 선정성을 이유로 다운로드 및 추가 결제가 금지됐습니다. 구글 플레이 자체 심의에 의해, 게임 내 일러스트 일부가 성행위를 연상시킨다고 결론지어진 것이죠. 그런데 여기서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이 게임은 이미 성인용으로 게임물관리위원회에 심의 등급을 받고 적법하게 출시된 게임이라는 점입니다.
국내에서 구글은 자율심의 사업자로 지정돼 있으나, 청소년이용불가 게임물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게임위가 직접 관리하게 돼 있습니다. 여기서 게임위는 ‘라스트 오리진’이 청소년 이용불가로 국내 서비스되기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구글은 이 게임이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으로도 불가할 정도로 선정성이 높다고 판단, 마켓에서 게임을 내린 것입니다.
이에 대해 게이머들은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먼저 "스토어마다 정책이 있기 마련이다" 라며 구글 측 입장을 옹호하는 댓글이 있었습니다. 별도 플랫폼을 운영하는 구글 플레이 개별 약관도 존중돼야 한다는 것이죠. 사실 이 말도 맞습니다. 게임위와 구글은 국제등급분류연합(IARC) 등급을 동시 적용받긴 하지만, 심의 기준이 같진 않습니다. 따라서 등급은 일원화했어도 심의 기준은 게임위와 구글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 논리대로라면 개발사 입장에서는 여전히 이중 심의를 적용받을 수밖에 없기에 억울할 따름입니다. 실제로 많은 게이머들이 이 부분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이번 건은 '게임위 등급 인정 못한다'라고 해석해야 하나?”, “청소년 이용불가 게임에 선정성으로 태클 걸면 어쩌자는 건지”, “구글 갑질 또 한 번 나왔네” 같은 의견들입니다. 결국 ‘라스트 오리진’ 처럼 양쪽 결과가 갈리는 상황에선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 지 모르게 됩니다.
결국 ‘라스트 오리진’은 ‘완전판’이라는 이름으로 원스토어에 새롭게 게임을 출시하기로 결정했으며, 현재 막혀 있는 구글의 경우 최대한 구글 측의 기준에 맞게 이미지를 수정해서 별도의 버전으로 내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니까 게임위 측 등급평가 기준에 맞춘 ‘완전판’과 구글 측 기준에 맞춘 ‘구글판’이 별개로 서비스되는 셈입니다. 이를 본 한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구글로는 청소년 이용불가 게임 출시 못 할 듯” 이라고 하소연 섞인 발언을 했습니다.
국내만의 별도 심의기준을 고집하는 게임위가 문제인지, 국내 심의체계를 무시한 채 자신만의 기준을 내세우는 구글이 문제인지, 아니면 이 둘을 잘 융합시킬 제도의 부재가 문제인지. 마땅히 답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제 2의 ‘라스트 오리진’ 같은 피해자는 속속 발생할 것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1주일 내에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번 이슈는 성인물 게임의 선정성을 두고 발생한 문제라 대중적인 이슈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이슈는 구글이라는 기업이 한국의 문화나 정서보다 자신들의 기준을 우선시 한 사례로 보입니다.
한 번 생각을 해보죠.
저 라스트 오리진이라는 게임물의 선정성 여부를 검토한 직원은 한국인일까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한국의 문화와 생활, 전통에 대해서 이해가 있는 사람일까요?
이번 사례는 선정성이지만 이 후에 욱일문양이 들어있거나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에서는 문제가 되는 내용이 포함된 게임이 등장했을 때 저들이 그걸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때 가서 구글이 자신들의 기준에서는 서비스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구글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
전 이런 부분 때문에라도 이번 문제를 단순히 선정성에 대한 기준의 차이로만 여기지 않고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앱들은 한국의 기준이 구글의 기준보다 우선이 될 수 있는 분위기와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이번 이슈는 성인물 게임의 선정성을 두고 발생한 문제라 대중적인 이슈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이슈는 구글이라는 기업이 한국의 문화나 정서보다 자신들의 기준을 우선시 한 사례로 보입니다.
한 번 생각을 해보죠.
저 라스트 오리진이라는 게임물의 선정성 여부를 검토한 직원은 한국인일까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한국의 문화와 생활, 전통에 대해서 이해가 있는 사람일까요?
이번 사례는 선정성이지만 이 후에 욱일문양이 들어있거나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에서는 문제가 되는 내용이 포함된 게임이 등장했을 때 저들이 그걸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때 가서 구글이 자신들의 기준에서는 서비스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구글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
전 이런 부분 때문에라도 이번 문제를 단순히 선정성에 대한 기준의 차이로만 여기지 않고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앱들은 한국의 기준이 구글의 기준보다 우선이 될 수 있는 분위기와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슈퍼까꿍2019-03-10 22:42
신고삭제이번 이슈는 성인물 게임의 선정성을 두고 발생한 문제라 대중적인 이슈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이슈는 구글이라는 기업이 한국의 문화나 정서보다 자신들의 기준을 우선시 한 사례로 보입니다.
한 번 생각을 해보죠.
저 라스트 오리진이라는 게임물의 선정성 여부를 검토한 직원은 한국인일까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한국의 문화와 생활, 전통에 대해서 이해가 있는 사람일까요?
이번 사례는 선정성이지만 이 후에 욱일문양이 들어있거나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에서는 문제가 되는 내용이 포함된 게임이 등장했을 때 저들이 그걸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때 가서 구글이 자신들의 기준에서는 서비스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구글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
전 이런 부분 때문에라도 이번 문제를 단순히 선정성에 대한 기준의 차이로만 여기지 않고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앱들은 한국의 기준이 구글의 기준보다 우선이 될 수 있는 분위기와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검은13월2019.03.08 18:53
신고삭제웃긴게 구글은 대기업은 냅두고 중소기업만 저럼
슈퍼까꿍2019.03.10 22:42
신고삭제이번 이슈는 성인물 게임의 선정성을 두고 발생한 문제라 대중적인 이슈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이슈는 구글이라는 기업이 한국의 문화나 정서보다 자신들의 기준을 우선시 한 사례로 보입니다.
한 번 생각을 해보죠.
저 라스트 오리진이라는 게임물의 선정성 여부를 검토한 직원은 한국인일까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한국의 문화와 생활, 전통에 대해서 이해가 있는 사람일까요?
이번 사례는 선정성이지만 이 후에 욱일문양이 들어있거나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에서는 문제가 되는 내용이 포함된 게임이 등장했을 때 저들이 그걸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때 가서 구글이 자신들의 기준에서는 서비스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의사를 구글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
전 이런 부분 때문에라도 이번 문제를 단순히 선정성에 대한 기준의 차이로만 여기지 않고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앱들은 한국의 기준이 구글의 기준보다 우선이 될 수 있는 분위기와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된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