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라이엇게임즈가 해외에서 환수한 우리 문화재 ‘척암선생문집 책판’ 언론공개회를 열었습니다. 국가적 의미가 있는 외국 유출 문화재 환수를 외국 기업인 라이엇게임즈가 진행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소소한 화제를 모았습니다.
사실 라이엇게임즈는 2012년부터 7년 간 한국 문화재 보호 활동을 꾸준히 진행해 왔습니다. 2014년 ‘석가삼존도’, 2018년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에 이어 환수한 문화재만 이번이 세 건 째고, 이외에도 문화재지킴이 행사를 통해 청소년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문화재 교육과 환경정화, 디지털 원형기록 남기기, 문화재 복원 등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진행해왔습니다. 그간 한국 문화재 보호에 기부한 금액만 50억 원이 넘고, 문화재 보호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4,000여 명에 달합니다.
이번 라이엇게임즈 문화재 보호 활동이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올해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3.1 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 어느 때보다 국민적 역사의식이 고취되고 있는 와중, 문화재에 초점을 맞춘 라이엇게임즈 사회공헌활동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간 라이엇게임즈 자체적으로도 외국 회사답지 않게 한국 문화에 대한 애착을 꾸준히 보여 왔기에, 국가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앞장서서 지킨다는 행위에 대한 설득력도 충분한 상황입니다.
유저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내가 산 스킨값이 저기에 사용됐구나”, “돈 쓴 보람 있네”, “리그 오브 레전드는 안 하지만 칭찬한다” 같이 뿌듯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죠. 그러나 일각에서는 “국내기업보다 낫다”, “외국 회사가 이렇게 하는데 한국 기업들은 뭐 하는가”라는 비판적인 댓글도 보였습니다.
사실 라이엇게임즈가 유독 주목받고 있기는 하지만, 국내 게임사들도 사회공헌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3N으로 불리는 국내 대표 게임사들만 해도 어린이재단이나 문화재단 등을 설립해 매년 대규모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고, 중견 게임사들 중에서도 사내 봉사활동과 전사적인 사회공헌 운동이 문화로 자리잡은 곳들이 많습니다.
게임사들의 사회공헌 활동은 아동과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 복지, 교육 분야, 게임인식 개선, 개발도상국 지원, 스포츠/문화활동 후원, 지역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우열을 가릴 수 없는, 하나같이 중요한 활동들이죠. 이번 라이엇게임즈 사례처럼 유저들이 보다 게임사들의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응원해 준다면, 이러한 공헌 문화가 조금 더 확산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1주일 내에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사회공헌은 3n같은데에선 대부분 하긴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들을 아예 내팽겨 치고 보여주기식으로만 사회공헌활동을 하니 욕을 쳐먹는거임. 그 반대로 라이엇은 그래도 자기들이 지금 뭔가를 하고있다는것을 항상 보여주죠 특히 큰 패치때마다 "우리는 이런것을 하고있다. 다음은 이런것을 패치할것이다."라는걸 보여주지만 우리나라게임회사들은 그런거 없이 약 한달전에 테스트 서버에 공지를 하고 테스트서버에서 테스트를 한다음에 공식서버에 내놓으면서 이거 사라고 캐쉬를 비싸게 내놓아서 돈만 먹을라하죠. 게임의 본질은 재미인데 그 재미를 가져다 버린 국내 게임사들은 앞으로 도태될게 뻔합니다. 스팀이라는 대체제가 있으니 말이죠. 재미를 버리고 돈만 추구하면 어떻게되는지 몇몇 대형 게임사들이 보여줫습니다. 앞으로 이제 기성세대의 시대가 가면 한국 게임사들은 위기가 찾아올것이 뻔합니다. 제발 이제부터라도 정신차리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줫으면 좋겟습니다.
사회공헌은 3n같은데에선 대부분 하긴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들을 아예 내팽겨 치고 보여주기식으로만 사회공헌활동을 하니 욕을 쳐먹는거임. 그 반대로 라이엇은 그래도 자기들이 지금 뭔가를 하고있다는것을 항상 보여주죠 특히 큰 패치때마다 "우리는 이런것을 하고있다. 다음은 이런것을 패치할것이다."라는걸 보여주지만 우리나라게임회사들은 그런거 없이 약 한달전에 테스트 서버에 공지를 하고 테스트서버에서 테스트를 한다음에 공식서버에 내놓으면서 이거 사라고 캐쉬를 비싸게 내놓아서 돈만 먹을라하죠. 게임의 본질은 재미인데 그 재미를 가져다 버린 국내 게임사들은 앞으로 도태될게 뻔합니다. 스팀이라는 대체제가 있으니 말이죠. 재미를 버리고 돈만 추구하면 어떻게되는지 몇몇 대형 게임사들이 보여줫습니다. 앞으로 이제 기성세대의 시대가 가면 한국 게임사들은 위기가 찾아올것이 뻔합니다. 제발 이제부터라도 정신차리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줫으면 좋겟습니다.
전부 '행사'뿐입니다. 행사의 특징이 [보여주기]인 만큼 여론 눈총에 화살을 피하려고 억지로 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그에 비해 라이엇 문화재 보호 사업은 누가 알아주는것도 아니고 돈을 주는것도 아닌 진짜 이 회사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직접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가' 에 대한 사실을 이번 기회에 알 수 있게 됐죠. 8년이나 됐는데 이제서야 알려진 것(솔직히 저도 몰랐습니다)이라도 다행이라고 생각 합니다.
라이엇의 문화재환수사업은 칭찬받을 일이고 좋은 사업입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이라고 해서 사회공헌을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은 아닌데, 기업이 하는 모든 사회공헌활동이 언론에 주목을 받고 이슈가 되는 것은 아니다보니 다소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 넥슨은 사회공헌으로 어린이재활병원, 넥슨작은책방 건립 등에 600억원을 사용했고 또 추가로 기금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 엔씨는 사회공헌으로 장애인 및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후원 등을 하고 있으며 매년 2~30억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라이엇의 문화재지킴이 사업은 매년 5~10억원정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넥슨이나 엔씨가 문화재 환수를 메인 사회공헌 사업으로 정해서 진행한다면 분명 더 많은 문화재를 환수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언론에 이슈가 되는 문화재 환수사업만 진행한다면 기업의 사회공헌을 통해 도움을 받고자 하는 다른 시설이나 분야는 어떻게 될까요?
국내 게임업체들이 게임관련 각종 이슈로 욕 듣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그래도 사회공헌과 같이 칭찬해야 할 부분에서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욕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되어 넥슨재단과 엔씨문화재단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고 댓글을 작성합니다.
matt****2019-04-12 18:51
신고삭제사회공헌은 3n같은데에선 대부분 하긴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들을 아예 내팽겨 치고 보여주기식으로만 사회공헌활동을 하니 욕을 쳐먹는거임. 그 반대로 라이엇은 그래도 자기들이 지금 뭔가를 하고있다는것을 항상 보여주죠 특히 큰 패치때마다 "우리는 이런것을 하고있다. 다음은 이런것을 패치할것이다."라는걸 보여주지만 우리나라게임회사들은 그런거 없이 약 한달전에 테스트 서버에 공지를 하고 테스트서버에서 테스트를 한다음에 공식서버에 내놓으면서 이거 사라고 캐쉬를 비싸게 내놓아서 돈만 먹을라하죠. 게임의 본질은 재미인데 그 재미를 가져다 버린 국내 게임사들은 앞으로 도태될게 뻔합니다. 스팀이라는 대체제가 있으니 말이죠. 재미를 버리고 돈만 추구하면 어떻게되는지 몇몇 대형 게임사들이 보여줫습니다. 앞으로 이제 기성세대의 시대가 가면 한국 게임사들은 위기가 찾아올것이 뻔합니다. 제발 이제부터라도 정신차리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줫으면 좋겟습니다.
Sayo91472019.04.12 18:38
신고삭제롤도 비록 중국한테 먹혔지만, 블리자드처럼 변질은 안돼서 좋습니다.
matt****2019.04.12 18:51
신고삭제사회공헌은 3n같은데에선 대부분 하긴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들을 아예 내팽겨 치고 보여주기식으로만 사회공헌활동을 하니 욕을 쳐먹는거임. 그 반대로 라이엇은 그래도 자기들이 지금 뭔가를 하고있다는것을 항상 보여주죠 특히 큰 패치때마다 "우리는 이런것을 하고있다. 다음은 이런것을 패치할것이다."라는걸 보여주지만 우리나라게임회사들은 그런거 없이 약 한달전에 테스트 서버에 공지를 하고 테스트서버에서 테스트를 한다음에 공식서버에 내놓으면서 이거 사라고 캐쉬를 비싸게 내놓아서 돈만 먹을라하죠. 게임의 본질은 재미인데 그 재미를 가져다 버린 국내 게임사들은 앞으로 도태될게 뻔합니다. 스팀이라는 대체제가 있으니 말이죠. 재미를 버리고 돈만 추구하면 어떻게되는지 몇몇 대형 게임사들이 보여줫습니다. 앞으로 이제 기성세대의 시대가 가면 한국 게임사들은 위기가 찾아올것이 뻔합니다. 제발 이제부터라도 정신차리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어줫으면 좋겟습니다.
드론심2019.04.15 21:42
신고삭제동감합니다. 한국에서 하는 기업들 사회공헌은 딱 정해져 있더군요.
1. 연탄나눔 행사
2. 어려운 아동/장애 복지 행사
3. XX제단 혹은 대학 기부 행사
전부 '행사'뿐입니다. 행사의 특징이 [보여주기]인 만큼 여론 눈총에 화살을 피하려고 억지로 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그에 비해 라이엇 문화재 보호 사업은 누가 알아주는것도 아니고 돈을 주는것도 아닌 진짜 이 회사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직접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가' 에 대한 사실을 이번 기회에 알 수 있게 됐죠. 8년이나 됐는데 이제서야 알려진 것(솔직히 저도 몰랐습니다)이라도 다행이라고 생각 합니다.
일단 저건 누가 시킨게 아니잖아요. 정말 의도가 순수한거죠.
드론심2019.04.15 21:55
신고삭제추가로 국내기업 사회공헌 사업의 또다른 악질적인 내용을 하나만 더 적자면 거의 대부분(아닌것을 찾기 힘듬)이 1회성 행사 뿐입니다. 지속성이 없습니다. 이게 가장 욕먹는거죠. 그냥 보여주기 위해서 한거잖아요. 도와주려고 한게 아니라...
분명 해줘도 X랄이라는 분들도 있을테지만 일단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규모가 어느정도 되는 기업은 기부나 사회공헌을 통한 세금 환급 목적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이런것들을 위해 공헌활동 하는것이 제일 큰 문제 입니다. 순수성이 그래서 의심되는 거죠.
정말 공헌을 하고 싶은 생각이 있으면 지속성을 갖춰야 하는데 라이엇은 일단 이 문제는 해당이 안되니 정말 칭찬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슈퍼까꿍2019.04.17 01:00
신고삭제라이엇의 문화재환수사업은 칭찬받을 일이고 좋은 사업입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이라고 해서 사회공헌을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은 아닌데, 기업이 하는 모든 사회공헌활동이 언론에 주목을 받고 이슈가 되는 것은 아니다보니 다소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 넥슨은 사회공헌으로 어린이재활병원, 넥슨작은책방 건립 등에 600억원을 사용했고 또 추가로 기금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 엔씨는 사회공헌으로 장애인 및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소프트웨어 개발이나 후원 등을 하고 있으며 매년 2~30억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라이엇의 문화재지킴이 사업은 매년 5~10억원정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넥슨이나 엔씨가 문화재 환수를 메인 사회공헌 사업으로 정해서 진행한다면 분명 더 많은 문화재를 환수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언론에 이슈가 되는 문화재 환수사업만 진행한다면 기업의 사회공헌을 통해 도움을 받고자 하는 다른 시설이나 분야는 어떻게 될까요?
국내 게임업체들이 게임관련 각종 이슈로 욕 듣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그래도 사회공헌과 같이 칭찬해야 할 부분에서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욕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되어 넥슨재단과 엔씨문화재단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고 댓글을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