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020년 새해가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이쯤에서 국내 게임업계의 현실을 돌이켜 보면, 아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그 중 하나가 정체된 모바일 MMORPG 업계입니다. 올해 출시된 게임들을 살펴보면 게임성 면에서는 2년 전부터 전혀 발전이 없습니다. 아, 발전이 없다는 말 취소하겠습니다. 적어도 돈벌이 요소인 BM(비즈니스 모델) 부문만큼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머리 좋기로 유명한 게임 개발자와 사업 PM들이 밤낮으로 고민해 BM을 강화해 온 결과, 이제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에 과금이 붙어있고 이를 부추기는 요소들이 가득합니다. 오죽하면 몇 년 있다간 게임 설치하고 가입하고 시작하는 데도 과금 뽑기를 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죠. 일각에서는 국내 게임회사들이 고급 인력 데려다가 게임성은 제쳐놓고 BM 개발에 총력을 쏟아붓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오가고 있습니다. 즉, 위 만평은 풍자가 아니라 실제 일어나고 있을, 실제 일어날 일입니다.
이 같은 과금 요소 강화가 돈을 쓴 만큼 강해지는 것을 넘어 돈을 쓰지 않으면 게임 진행이 사실상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자연스레 유저 반응도 좋지만은 않습니다. 게임메카 독자분들의 반응만 봐도 페이스북 ID 박건희 님 “한국게임은 거르는 게…”, ID 이상엽 님 “아직도 한국 게임 하는 블랙말랑카우?”, 네이버 ID 다사다난 님 “주변에 보면 한국게임은 아예 안한다는 사람들과 매달 100만원 가까이 지르는 호구로 나뉨. 물론 전자가 압도적으로 많음” 등이 여론을 반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과금투성이 MMORPG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 것은 일단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전까지 매달 1~2만원씩 써오던 유저 100명이 빠져나가도, 100~200만원씩 쓰는 유저 두세 명만 새로 유입되면 회사로서는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지금 국내 게임업계 상황이 딱 이 단계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조금 더 지나면 이탈 유저 수가 점점 늘어나고, 돈을 많이 쓰는 고과금 유저들도 상대적 우월감을 느끼기 어려워지는 시점이 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한국 게임업계 전체가 침체에 빠질 것은 자명합니다.
독자분들의 댓글에서도 이러한 시선들을 볼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ID 도학성 님 “그동안 뽑아먹었는데 그냥 망하면 된다. 일단 초기화가 돼야 판을 바꾸지” 등이 이를 대변합니다. 한편에서는 페이스북 ID 고경하 님 “그래도 다들 하시니 당분간 바뀌지 않을 듯… 씁쓸” 처럼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것을 걱정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과연 이 같은 국내 게임업계 흐름이 2020년에는 좀 나아질까요? 아니면 계속 게임성 면에서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BM만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까요? 정답은 알 수 없지만, 앞서 이야기한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게임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투자도 계속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1980년대 미국에서 온 ‘아타리 쇼크’처럼 국내 게임시장이 붕괴에 이르는 ‘모바일 MMORPG 쇼크’가 올 수도 있습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메카 답지 않은 안타까운 기사네요... 그럼 한국 게임 회사들 시장에서 빠지면 좋아질까요? 다른 회사가 대체할 뿐입니다. 결국 누군가는 먹을 시장입니다. 왜냐하면 유저들이 돈을 쓰거든요... 애초에 이런 곳에서 글쓰던 유저층이 더 이상 시장의 메인스트림이 아니라는것을 눈치 채야합니다.. 메카도 오래되긴 했나봅니다 기자님 기사도 오래봤는데 이젠 수준이 떨어지네요 그냥 디시나 게임커뮤에 돌던 유저들과 시야가 1도 다르지 않습니다
어떤 게임들에서도 게임내 형성된 유저 생태계를 과도한 BM이 망가트리고 밑의 기반층이 빠져나가 결국 위의 최상위 몇몇의 과금러로 가사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지마저 안되어 망한 게임을 너무도 많이 봐왔습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더 확장되어 나간게 '한국 게임사'라는 하나의 거대한 유저생태계가 조금씩 파괴되고 기반층은 점점 랑그릿사 등 상대적으로 좋은조건의 '중국게임사'로 흡수되는 중인데 점점 기반을 뺏기는 현상을 눈감고 귀막고 '어차피 누군가 먹을 시장, 벌어갈 돈' 외치는데 지금 당장 좋다고 다 짜내다가 나중에 '국산 모바일게임 시장'이 정말로 없어지면 그땐 이번엔 뭘 만들건가요?
그런데 문제가 이 기사에서 지적하는 과금 게임의 마지막 단계인 핵과금 고객도 우월감을 못느끼는 단계, 이게 생각보다 늦게 온다, 혹은 안온다는 거가 문제인듯...
정말 게임이 문닫을정도, 핵과금 유저들이 떠나가는 속도는 저희들은 기하급수적이고 극단적으로는 1만, 1천, 500, 250 같은 속도로 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1만, 9990, 9980, 같은 속도로 완만하게 줄어나가고 있는게 아닌가 합니다. 그러니 기업도 마지막까지 뽑을만하다고 생각하는거고 BM을 중시하는거 아닐까요
사실 이정도면 고인물을 넘어 고여썩은물 수준인데 이정도면 이때까지 해온게 아깝거나 아니면 그냥 타성에 젖어서 게임을 하든 그냥 다른게임으로 자기가 갈아탄다는 생각을 하지못하는 단계가 아닐까하는데요...
이 기사랑 비슷한글이 중국산게임들이 한국에 정식 출시 될때 부터 보이고 심한기사는 내년이면 한국게임은 멸망할것같은 분석도 내놓았지만... 안그랬거든요. 벌써 2년, 3년 다되가는데.
물론 유저들도 호구는 아니니까 제작진이나 운영진이 정말 삽질하면 떠납니다. 그건 요몇년간 있던 크고작은 사건이 있었을때 그 영향으로 인한 스토어 순위변동만 봐도 증명됩니다.
루루/우주산 개복치2019-12-20 18:16
신고삭제이나라 게임계는 그냥 뒤지는 게 답이다
루루/우주산 개복치2019.12.20 18:16
신고삭제이나라 게임계는 그냥 뒤지는 게 답이다
론아민2019.12.21 14:34
신고삭제메카 답지 않은 안타까운 기사네요... 그럼 한국 게임 회사들 시장에서 빠지면 좋아질까요? 다른 회사가 대체할 뿐입니다. 결국 누군가는 먹을 시장입니다. 왜냐하면 유저들이 돈을 쓰거든요... 애초에 이런 곳에서 글쓰던 유저층이 더 이상 시장의 메인스트림이 아니라는것을 눈치 채야합니다.. 메카도 오래되긴 했나봅니다 기자님 기사도 오래봤는데 이젠 수준이 떨어지네요 그냥 디시나 게임커뮤에 돌던 유저들과 시야가 1도 다르지 않습니다
라할2019.12.22 01:46
신고삭제게임사 직원 어서오고
미르후2019.12.22 16:13
신고삭제영병하고 자빠젔다... 이 바보야 게임을 잘 만들고 재미 있어봐라.. 그럼 유저들 스스로 지갑 연다.
egm****2019.12.23 09:25
신고삭제다른 외국 게임 회사가 대체하면 좋은건데 왜 안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제국2019.12.21 15:15
신고삭제어떤 게임들에서도 게임내 형성된 유저 생태계를 과도한 BM이 망가트리고 밑의 기반층이 빠져나가 결국 위의 최상위 몇몇의 과금러로 가사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지마저 안되어 망한 게임을 너무도 많이 봐왔습니다.
그런데 하필이면 더 확장되어 나간게 '한국 게임사'라는 하나의 거대한 유저생태계가 조금씩 파괴되고 기반층은 점점 랑그릿사 등 상대적으로 좋은조건의 '중국게임사'로 흡수되는 중인데 점점 기반을 뺏기는 현상을 눈감고 귀막고 '어차피 누군가 먹을 시장, 벌어갈 돈' 외치는데 지금 당장 좋다고 다 짜내다가 나중에 '국산 모바일게임 시장'이 정말로 없어지면 그땐 이번엔 뭘 만들건가요?
키드2019.12.21 22:43
신고삭제답글 인용 엄청해놓고 우수 댓글은 없다니... 신기하네
정말화난행성2019.12.22 13:29
신고삭제차라리 김성회의 G식백과의 컨텐츠들이 이런 자국혐오 조장기사보다 나을 듯 하네요.
미르후2019.12.22 16:11
신고삭제영병하네!! 게임성이 우선이지.. 게임이 잘 만들고 재미 있으면 자연이 수익은 뒤따라 오는 것인데... 저런 마인드 기업들은 망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국내게임사는 믿거사입니다.
정말화난행성2019.12.22 21:23
신고삭제프리코네, 페그오 등 일본 모바일게임:???
운부천부2019.12.23 07:02
신고삭제여기 기자님은 [모바일 MMORPG 쇼크’가 올 수도 있습니다.]라고 적어주셧는데요.
이 쇼크가 오면 안되는게 아니라 와야합니다.
...
한번 개판이 되서 망해보고나서 새롭게 시작해야죠.
개발사든. 흑우든 뭐가 중요한지 뼈에 새겨야죠
애니뷰윗치2019.12.24 08:23
신고삭제문제는 그대로 놓아두어도 지금의현상태라면 해외기업보다
생존력이 떨어져 망한다는거죠? 그리고 뒤지는게 답이라고
했는데 그말도 일리는 있습니다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때나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뇌명낙안2019.12.24 13:10
신고삭제그런데 문제가 이 기사에서 지적하는 과금 게임의 마지막 단계인 핵과금 고객도 우월감을 못느끼는 단계, 이게 생각보다 늦게 온다, 혹은 안온다는 거가 문제인듯...
정말 게임이 문닫을정도, 핵과금 유저들이 떠나가는 속도는 저희들은 기하급수적이고 극단적으로는 1만, 1천, 500, 250 같은 속도로 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1만, 9990, 9980, 같은 속도로 완만하게 줄어나가고 있는게 아닌가 합니다. 그러니 기업도 마지막까지 뽑을만하다고 생각하는거고 BM을 중시하는거 아닐까요
사실 이정도면 고인물을 넘어 고여썩은물 수준인데 이정도면 이때까지 해온게 아깝거나 아니면 그냥 타성에 젖어서 게임을 하든 그냥 다른게임으로 자기가 갈아탄다는 생각을 하지못하는 단계가 아닐까하는데요...
이 기사랑 비슷한글이 중국산게임들이 한국에 정식 출시 될때 부터 보이고 심한기사는 내년이면 한국게임은 멸망할것같은 분석도 내놓았지만... 안그랬거든요. 벌써 2년, 3년 다되가는데.
물론 유저들도 호구는 아니니까 제작진이나 운영진이 정말 삽질하면 떠납니다. 그건 요몇년간 있던 크고작은 사건이 있었을때 그 영향으로 인한 스토어 순위변동만 봐도 증명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