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 국민 10명 중 7명이 게임한다
2020.08.07 10:23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게임이용자 실태를 분석한 2020년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콘진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만 10~65세 일반인 3,084명을 대상으로 게임이용 실태 및 현황, 게임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진행했으며, 향후 게임산업 육성과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 2019년 6월 이후부터 최근까지 국민 70.5%가 게임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9년보다 4.8%p 증가한 수치다.
플랫폼별 이용률(중복응답 가능)을 살펴보면 ▲모바일 게임이 91.1%로 가장 높으며 ▲PC 게임(59.1%) ▲콘솔 게임(20.8%) ▲아케이드 게임 (10.0%) 순으로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여성(67.3%)보다 남성(73.6%)의 게임 이용률이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가 30대 이상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게임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2020년 1월 이전 게임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에 한해 코로나19로 인해 게임이용 행태에 변화가 있는지 파악했으며, 실제로 이용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별로는 ▲모바일 게임(47.1%) ▲PC 게임(45.6%) ▲콘솔 게임(41.4%)에서 이용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40%대 이상으로 조사된 반면, 직접 게임장을 방문해서 즐겨야 하는 ▲아케이드 게임은 32.3%가 이용 시간이 감소했다고 응답해 게임 플랫폼별 차이를 보였다.
이용 시간이 늘어난 플랫폼에서는 지불 비용도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분야별로 ▲모바일 게임(40.8%) ▲PC게임(38.7%)으로 비용이 증가했으며, 콘솔 게임 분야에서는 ▲콘솔 게임기(40.5%) ▲콘솔 게임타이틀(41.6%)에서 구매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아케이드 게임은 이용자 38.3%가 비용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게임 이용 행태 변화는 가상현실(VR) 분야에서도 확인됐다. PC, 스마트폰, 콘솔 게임기, 독립형 VR 기기와 같은 장비로 가상현실 게임을 경험한 이용자 중 26.6%가 코로나19 이후 게임 이용 시간이 증가했고,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중 45.7%는 게임 구매 비용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직접 방문해야만 즐길 수 있는 가상현실 게임장은 코로나19 이후 이용 시간이 감소한 편이라는 응답이 40.7%로 나타났다.

많이 본 뉴스
-
1
"서버 내려도 게임은 유지하라" 서명 120만 명 돌파
-
2
우왁굳 “유튜브 활동 중단, 왁타버스 문제 해결하겠다”
-
3
쿼터뷰 시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발표
-
4
락스타게임즈, 레드 데드 리뎀션 3 개발 돌입
-
5
부정적 여론 의식했나? 몬헌 와일즈 최적화 강연 중지
-
6
[겜ㅊㅊ] 최근 한국어 패치 나온 스팀 추천게임 10선
-
7
닌텐도 스위치 2, 발매 한 달 만에 일반 판매 전환됐다
-
8
GS25와 블루 아카이브, 두 번째 컬래버 시작한다
-
9
스텔라 블레이드, 6월 스팀 신작 중 매출액 '1위'
-
10
마비노기 모바일이 특허 낸 '우연한 만남' 차별점은?
귀무자검의길2020-08-07 17:22
신고삭제그걸 이제야 안 건가;; 한국인은 옛부터 거의 전국민이 게임하는 자랑스러운 게임강국인데..
그걸 아직도 모르는 사람들이 있나..
바람의나라는 초딩들의 대통령인 초통령 액션 RPG게임이었고
리니지는 어른들이 하던 어른 RPG게임이었고.. 전세대가 그냥 게임을 하는 게임강국임..
항상 TV에서나 연예인들이 사용하는 유행어도 온라인게임 갤러리 등에서 가장 먼저 나와서 퍼지는거고..
외국인들은 한국하면 생각나는 이미지가 프로게이머 이미지임. 그래서 미국이나 외국에서 만든 영화나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나오는 일본인은 항상 사무라이나 닌자, 중국인은 격투가나 군인이나 장군, 그리고 한국인은 프로게이머나 해커로 많이 나옴.
그냥 한국 그 자체가 온라인 RPG게임이자 IT강국인데
귀무자검의길2020.08.07 17:22
신고삭제그걸 이제야 안 건가;; 한국인은 옛부터 거의 전국민이 게임하는 자랑스러운 게임강국인데..
그걸 아직도 모르는 사람들이 있나..
바람의나라는 초딩들의 대통령인 초통령 액션 RPG게임이었고
리니지는 어른들이 하던 어른 RPG게임이었고.. 전세대가 그냥 게임을 하는 게임강국임..
항상 TV에서나 연예인들이 사용하는 유행어도 온라인게임 갤러리 등에서 가장 먼저 나와서 퍼지는거고..
외국인들은 한국하면 생각나는 이미지가 프로게이머 이미지임. 그래서 미국이나 외국에서 만든 영화나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나오는 일본인은 항상 사무라이나 닌자, 중국인은 격투가나 군인이나 장군, 그리고 한국인은 프로게이머나 해커로 많이 나옴.
그냥 한국 그 자체가 온라인 RPG게임이자 IT강국인데
귀무자검의길2020.08.07 17:23
신고삭제그리고 지금 코로나 사태 때문에 바깥에 못나가니까 집에서 고스트 오브 쓰시마, 젤다의전설 야생의 숨결, 세키로, 블레이드앤소울, 인왕2, 모여봐요 동물의숲, 바람의나라:연, 바람의나라 구버전 같은 닌텐도 스위치, PC, 온라인, 플스4 할것없이 갓겜들을 많이하면서 보내잖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