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게임 리소스 재활용센터 오픈합니다
2020.08.14 16:39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메카만평

한 번 발매되면 영원히 남는 패키지게임과 달리,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온라인게임은 서비스가 종료되면 더 이상 만나볼 수 없습니다. 게임 플레이는 물론, 그 게임에서 만났던 다양한 캐릭터, 몬스터, 무기, 아이템, 배경, 사운드, 이펙트 등도 영원히 안녕이죠. 이는 유저 입장에서만 아쉬운 것이 아니라, 개발자 입장에서도 아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공과 시간, 자금이 들어간 귀중한 리소스들이 흥행 여부에 따라 영원히 빛을 못 보는 것은 비극에 가깝습니다. 매번 이러한 리소스를 새로 제작하고 폐기하는 것은 산업 전체적으로 봐도 낭비입니다.
이에 정부가 나섰습니다. 서비스 종료 등을 이유로 폐기되는 리소스를 구매해, 이를 필요로 하는 중소 게임사나 예비 창업자 등에 무상으로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제대로 운영된다면 게임 서비스를 접은 업체 입장에서도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소규모 개발사는 리소스를 개발할 수고를 덜 수 있죠. 흡사 게임업계 리소스 재활용센터 같은 느낌입니다.
일단 취지는 좋습니다. 게이머들의 반응도 대체로 호평입니다. 게임메카 ID 바람의나라연도적 “황금같은 기회를 잘 이용해 대박나는 게임사들이 많아져서 갓겜들이 많이 출시됐으면 좋겠다”, ID 무협객 "인디게임사들한테 좋은 소식일듯.. 무상이니 개발비도 그만큼 부담이 줄어들테니 말이죠”, 네이버 ID 커피훼인 "솔직히 인디게임 잘만 지원해주면 갓겜 수없이 나온다" 등이 대표적입니다. 개발자 환경이 좋아지면 자연스레 좋은 게임이 나오니 게이머들에게도 이득이니까요.
다만, 운영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어떤 게임 리소스를 구매할 것인가, 구매 금액은 충분할 것인가 등입니다. 게임메카 ID DIVINITY "캐릭터나 일러스트처럼 뚜렷한 것 말고, 배경이나 오브젝트 등 돌려쓸 수 있는 것 위주로 제공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ID funkpop "단가 후려치기 아닌 판매측에 도움도 되게 하기 위해서 적정선으로 구매한다면 몇 개 못 살텐데" 같은 의견들이 이를 반영합니다. 다만 해당 사업은 현재 본격 진행을 앞두고 의견 수렴과 정책 수립 중이기에, 향후 얼마만큼의 예산이 더 투입되고 어떻게 운영하는지가 관건입니다.
소규모 개발사일수록 무료 리소스에 대한 수요가 큽니다. 실제로 유니티 에셋스토어나 에픽게임즈 언리얼 마켓스토어 등에서 양질의 리소스를 무료 혹은 싼 값에 구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인디게임 품질이 확연히 달라진 바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을 정부에서 직접 운영한다면, 국내 게임사들의 글로벌 경쟁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남은 건 누구나 납득할 만한 운영 정책 및 기준을 설립하고 충분한 예산을 투자하는 것인데요, 부디 잘 운영돼 해외에서도 참고할 모범 사례로 남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DIVINITY 님 (증정상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부서지는 세계: 대격변의 전조, 크리스티 골든 지음)
이번 주 우수 댓글: DIVINITY 님 (증정상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부서지는 세계: 대격변의 전조, 크리스티 골든 지음)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6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7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8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9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10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귀무자검의길2020-08-15 15:32
신고삭제이 정책은 오랜만에 굉장히 반가운 정책인 것 같습니다. 이런 소규모 개발사들에게 리소스를 개발할 수고를 덜 수 있게 리소스를 지원해준다면 확실히 게임강국이라 할수있는 한국에서 좋은 게임들이 많이 나올것같네요. 더더욱 지금 한국은 NC, 넥슨, 넷마블 등 대기업 게임사들이 게임계를 거의 장악하다시피하고있는데 은근히 스팀에서 나오는 한국 인디 게임들 보면 굉장히 소규모나 1인 개발사들이 만들었는데 웬만한 대기업 게임들보다 갓겜들이 많죠. 우리나라에서 소규모 게임사들이 발전해서 PC게임이나 콘솔게임을 많이 출시하면 게임시장이 엄청나게 발전할것같습니다.
아이쿠루2020.08.15 10:42
신고삭제잘 정착하면 서로 괜찮겠어요
게이머협회2020.08.15 11:19
신고삭제진짜 잘 생각한것 같아요. 앞으로도 계속 잘 정창된다면 서비스 종료한 회사입장에서도, 이용자입장에서도, 개발자입장에서도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좋은시스템이 될 것 같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귀무자검의길2020.08.15 15:32
신고삭제이 정책은 오랜만에 굉장히 반가운 정책인 것 같습니다. 이런 소규모 개발사들에게 리소스를 개발할 수고를 덜 수 있게 리소스를 지원해준다면 확실히 게임강국이라 할수있는 한국에서 좋은 게임들이 많이 나올것같네요. 더더욱 지금 한국은 NC, 넥슨, 넷마블 등 대기업 게임사들이 게임계를 거의 장악하다시피하고있는데 은근히 스팀에서 나오는 한국 인디 게임들 보면 굉장히 소규모나 1인 개발사들이 만들었는데 웬만한 대기업 게임들보다 갓겜들이 많죠. 우리나라에서 소규모 게임사들이 발전해서 PC게임이나 콘솔게임을 많이 출시하면 게임시장이 엄청나게 발전할것같습니다.
시월2020.08.15 21:16
신고삭제잘 진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이니 뭐니해서 못하고 있는 게임을 비롯하여, 온라인지만 오프라인으로도 얼마든지 즐길 만한 게임들이 있었는데, 그런 변환 등도 이루어 질 수 있다면 좋겠네요. 사업이란 것이 다른 사람이 필요한 것을 제공해 주고 이익을 얻으면 좋잖아요 ㅎㅎ
라스무드2020.08.17 21:39
신고삭제와 대박인데요 아이디어.. 어렸을때 pc온라인 황금기 시절에 무더기로 쏟아졌던 장르불문 명작들 운영으로 말아먹어서 서비스종료된게 진짜 한두개가 아닌데 요즘 인디게임사들이 요즘감각으로 다시개발해주는게 게임업계 새로운 대세가 된다면 정말 바랄게 없을거같아요
루파파랍2020.08.18 10:56
신고삭제정말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의 첫 인상은 그래픽과 시스템이 되겠지만, 플레이 도중에는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이 사운드가 될겁니다.
개인이 만들기 어려운 사운드 리소스에 대한 부분을 더욱 강화해 준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달빛이머무는꽃2020.08.18 17:06
신고삭제일단 괜찮은 정책 같습니다. 해보고 부작용이 생기면 조금씩 고쳐나가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