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은 국내 최초 게임업계 준대기업 지정을 비롯해 ‘최초’ 타이틀을 여럿 보유하고 있죠. 최근 또 다른 ‘최초’를 추가하게 됐는데, 바로 국내 게임사 중에는 처음으로 연 매출 3조를 달성한 것입니다.
넥슨은 2017년 연 매출 2조 클럽 입성 후 많은 내우외환을 겪었습니다. 특히 2019년에는 회사 매각 본입찰까지 갔다가 무산됐죠. 페리아 연대기, 드래곤하운드 같은 굵직굵직한 신작 프로젝트 폐기 및 어센던트 원, 니드포스피드 엣지 서비스 중단, 수뇌부 교체, 스튜디오 폐쇄 등으로 조용할 날이 없었습니다. 여기에 던전앤파이터 부진으로 인한 중국 매출 급락이라는 외부적 악재도 넥슨을 음습했습니다. 실제로 넥슨의 2019년 매출은 2018년에 비해 소폭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한 보 전진을 위한 반 보 후퇴였습니다. 체질 개선이 한창이던 2020년 초, 넥슨 이정헌 대표는 온라인게임 라이브 서비스 역량을 회사의 강점으로 꼽으며 이에 집중 투자해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죠. 이 같은 전략은 적중해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피파 온라인 4 등 기존 온라인게임과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바람의 나라: 연 등 기존 IP 기반 모바일 신작들의 국내 매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 매출이 전년 대비 28%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연 매출 3조 원 고지 달성에 성공한 것이죠.
넥슨의 연 매출 3조원 달성 소식을 들은 게이머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는 “저렇게 돈 많이 버는데 굳이 대형 신작을 내려고 할까”, “콘솔이나 패키지 게임은 절대 안 만들 듯” 같은 부정적 의견도 있죠. 그러나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AAA급 대작에 도전하길 바란다”, “매출만 높은 것이 아니라 직원들 연봉도 잘 챙겨준다” 등의 긍정적 반응도 상당합니다.
넥슨의 연 매출 3조 클럽 가입은 ‘국내 최초’라는 상징성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중국 게임시장은 규모가 큰 대신 한치 앞을 바라볼 수 없다는 리스크도 함께 안고 있는데요, 넥슨은 이러한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더라도 다른 돌파구를 찾을 수 있는 역량을 갖췄음을 입증했습니다. 국내 게임업계 1위인 넥슨의 이 같은 행보가 향후 어떤 움직임을 불러올지 기대가 됩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대표 게임사인 넥슨의 연 매출 3조 달성은 넥슨 게임의 완성도 및 상술 등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논란이 있다는 사실 여하를 막론하고 반가운 소식 같습니다.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게임 시장을 전 세계 게임사들이 눈치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내 매출을 기반으로하여 이 같은 놀라운 실적을 거뒀다는 사실이 기쁩니다. 미래형 산업으로 손색없는 대한민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내 게임사들의 건승을 기원해봅니다.
우리나라 대표 게임사인 넥슨의 연 매출 3조 달성은 넥슨 게임의 완성도 및 상술 등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논란이 있다는 사실 여하를 막론하고 반가운 소식 같습니다.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게임 시장을 전 세계 게임사들이 눈치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내 매출을 기반으로하여 이 같은 놀라운 실적을 거뒀다는 사실이 기쁩니다. 미래형 산업으로 손색없는 대한민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내 게임사들의 건승을 기원해봅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 게임계는 건강하고 건전하고 다양한 게임이 공존하는 시대는 아닌것 같습니다.
물론 게임사 입장에서는 돈많이 벌어야 새로운 게임도 개발하고 발전을 할수있겠지만
게임성이 좋은편도 아닌데 뽑기도박요소로 매출만 TOP을 달성하면 되는 그런 양산게임들만으로
덕지덕지 도배된거같아 한편으로는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로써 좀 안타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이상 도박게임에 그래픽만 입힌게임이 아니라 높은게임성에 그래픽을 입힌 게임이 많이 나왔으면 하네요
잠자는사람2021-02-16 00:01
신고삭제우리나라 대표 게임사인 넥슨의 연 매출 3조 달성은 넥슨 게임의 완성도 및 상술 등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논란이 있다는 사실 여하를 막론하고 반가운 소식 같습니다.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게임 시장을 전 세계 게임사들이 눈치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내 매출을 기반으로하여 이 같은 놀라운 실적을 거뒀다는 사실이 기쁩니다. 미래형 산업으로 손색없는 대한민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내 게임사들의 건승을 기원해봅니다.
잠자는사람2021.02.16 00:01
신고삭제우리나라 대표 게임사인 넥슨의 연 매출 3조 달성은 넥슨 게임의 완성도 및 상술 등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논란이 있다는 사실 여하를 막론하고 반가운 소식 같습니다.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게임 시장을 전 세계 게임사들이 눈치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국내 매출을 기반으로하여 이 같은 놀라운 실적을 거뒀다는 사실이 기쁩니다. 미래형 산업으로 손색없는 대한민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내 게임사들의 건승을 기원해봅니다.
rpdlaapzk2021.02.16 00:53
신고삭제어떻게 보면 지금 게임계는 건강하고 건전하고 다양한 게임이 공존하는 시대는 아닌것 같습니다.
물론 게임사 입장에서는 돈많이 벌어야 새로운 게임도 개발하고 발전을 할수있겠지만
게임성이 좋은편도 아닌데 뽑기도박요소로 매출만 TOP을 달성하면 되는 그런 양산게임들만으로
덕지덕지 도배된거같아 한편으로는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로써 좀 안타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이상 도박게임에 그래픽만 입힌게임이 아니라 높은게임성에 그래픽을 입힌 게임이 많이 나왔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