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PC방 국내 서비스 1년 3개월, 초기 성과 기대 이하
2022.08.18 18:33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작년 5월에 국내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스팀 PC방’은 스팀에 출시된 게임을 구매하지 않아도 PC방에서 즐길 수 있다는 강점을 앞세워 출시 전부터 게이머들의 눈길을 모았다. 서비스 시작 당시 게임 45종으로 출발해 전국 가맹점 2,000여 곳을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서비스 1년 3개월이 흐른 현재 PC방 이용량, 가맹점 수, 라인업 등을 살펴보면 초기 성과가 만족스러운 수준이라 평가하기는 어렵다.
우선 PC방 이용량을 살펴보면 게임트릭스 기준 올해 8월 1일부터 8월 17일까지 상위 150개 게임 중 스팀 PC방 입점작은 7개뿐이다. 가장 높은 것이 66위를 기록한 데스티니 가디언즈이며, 레프트 4 데드 2(68위), 러스트(83위), 더 포레스트(109위),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113위), 나라카: 블레이드포인트(114위), 테라리아(145위) 순이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봐도 데스티니 가디언즈가 4~50위 사이에 이름을 올렸고, 그 외 게임은 50위 내에 입성한 적이 없다.
스팀 PC방 가맹점 수는 플레이위드 측에 확인한 결과 8월 17일 기준으로 3,000여 곳이다. 작년 5월과 비교해 약 1,000곳 정도 증가한 것이다. 올해 5월 기준 국세청이 발표한 100대 생활업종현황에 따르면 전국 PC방 수는 9,312곳으로, 스팀 PC방 전국 점유율은 30% 초반대를 기록 중이다. 아주 적진 않지만, 3곳 중 2곳은 스팀 PC방 미가입 업소라 PC방에서 무료로 스팀 게임을 하려면 가맹점을 찾아가야 한다.
라인업의 경우 작년 5월 6일 기준 45종에서, 오는 8월 24일에 추가되는 마블스 스파이더맨 리마스터를 더해 53종이다. 스팀 PC방 국내 서비스를 맡고 있는 플레이위드는 출시 전 게임메카와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이용량이 적은 일부 게임은 내리고, 신규 게임을 3개월에 15종을 추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작년 5월~7월에는 기존 게임 7종 제외, 신규 게임 7종 추가에 그쳤고, 8월~10월에 1종,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에는 고작 4종이 더해졌다. 당초 목표보다 게임 추가가 많이 더딘 것이다.

전반적인 부분을 보면 스팀 PC방은 사전 기대감에 비해 성과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대해 플레이위드 측은 “코로나 19 발발 및 장기화로 인하여 PC방 업계는 물론 스팀 PC방 영업에 있어서 목표했던 바와 달리 성적이 미미하다”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2020년 말부터 올해 4월까지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게이머에게 PC방 방문을 유도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어려웠다. 실제로 넥슨 등 주요 게임사 역시 거리두기 기간에는 PC방 프로모션을 기존보다 축소했고, 플레이위드도 마찬가지였다. 이 부분은 라인업 추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플레이위드는 작년 8월부터 현재까지 근 1년간 전체 게임 중 절반에 해당하는 23종을 이용료를 받지 않고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플레이위드 측은 “이미 사업에 발을 들인 이상 PC방과 상생을 목적으로 23종 게임을 무료로 전환했다”라고 밝혔다. 따라서 스팀 PC방이 플레이위드 매출에 미친 영향도 미비했다. 올해 상반기 플레이위드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8.9% 감소한 61억 6,178억 원이며, 스팀 PC방이 포함된 기타매출은 전체의 1.86%인 1억 1,479억 원이다.
플레이위드는 올해 하반기 스팀 PC방 서비스 계획에 대해 “PC방 환경에 보다 적합한 멀티플레이 및 실시간 대전이 가능한 다양한 타이틀을 서비스해 유저 분들이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 중이다. 신규 라인업 및 선택과 집중을 통한 라인업 배치 등을 준비 중이다”라고 밝혔다. 스팀 PC방 라인업 중 가장 높은 이용량을 기록한 데스티니 가디언즈는 주요 업데이트를 토대로 지속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는 장기 서비스 게임이다. 이처럼 인지도가 높으면서도 유저들이 자주 방문해 오래 머물만한 타이틀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PC방 가맹률과 게이머 대상 마케팅을 확대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업주와 게이머 모두에게 부담으로 다가왔던 개별 게임 설치 부분에 대해서도 다방면으로 논의 중이라 덧붙였다. 실제로 현재 스팀 PC방에서 관련 게임을 즐기려면 각각의 게임을 설치해야 하는데, 수십 기가바이트씩 하는 AAA급 게임은 인터넷 속도에 따라 설치에만 한 시간이 넘게 걸리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노하드 업체나 스팀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등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연 올 하반기 마케팅 확대와 함께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많이 본 뉴스
-
1
"서버 내려도 게임은 유지하라" 서명 120만 명 돌파
-
2
우왁굳 “유튜브 활동 중단, 왁타버스 문제 해결하겠다”
-
3
쿼터뷰 시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발표
-
4
닌텐도 스위치 2, 발매 한 달 만에 일반 판매 전환됐다
-
5
락스타게임즈, 레드 데드 리뎀션 3 개발 돌입
-
6
부정적 여론 의식했나? 몬헌 와일즈 최적화 강연 중지
-
7
[겜ㅊㅊ] 최근 한국어 패치 나온 스팀 추천게임 10선
-
8
GS25와 블루 아카이브, 두 번째 컬래버 시작한다
-
9
스텔라 블레이드, 6월 스팀 신작 중 매출액 '1위'
-
10
마비노기 모바일이 특허 낸 '우연한 만남' 차별점은?
Mir2022-08-19 08:31
신고삭제PC방 문화를 모르고 서비스하니 이모양이지. PC방에서 하는 게임들이 뭐 AAA급 게임이 아니라 대중적이고 친구들이랑 모여서 같이할수있는 온라인 or 멀티플레이어게임들이 대부분인데 혼자하는 AAA급 내지 AA급 싱글게임을 라인업에 올리고있으니 유저수가 늘리가 없지. PC방 유저를 스팀으로 유입시키겠다는 부분은 이해하겠지만 스팀 내지 에픽게임즈를 이용하는 매니악,코어한 게이머들과 PC방에서 플레이하는 대중적이고 라이트한 게이머들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망할 가능성이 높다
귀무자검의길2022.08.18 20:55
신고삭제스팀 PC방을 전국에 확실히 다 보급화를 시켜야지 있는 도시들에만 있고 없는 도시들에는 없으니까 더 그러는듯.
PC방의 장점이자 생명은 전국의 모든 도시들이나 마을들에 다 있기에 쉽게 가서 게임할수있다는건데 너무 멀리있으면 어떻게 가
진지보이2022.08.18 21:11
신고삭제코로나때문에 그런건가? 흐음..
Mir2022.08.19 08:31
신고삭제PC방 문화를 모르고 서비스하니 이모양이지. PC방에서 하는 게임들이 뭐 AAA급 게임이 아니라 대중적이고 친구들이랑 모여서 같이할수있는 온라인 or 멀티플레이어게임들이 대부분인데 혼자하는 AAA급 내지 AA급 싱글게임을 라인업에 올리고있으니 유저수가 늘리가 없지. PC방 유저를 스팀으로 유입시키겠다는 부분은 이해하겠지만 스팀 내지 에픽게임즈를 이용하는 매니악,코어한 게이머들과 PC방에서 플레이하는 대중적이고 라이트한 게이머들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망할 가능성이 높다
달빛이머무는꽃2022.08.20 16:34
신고삭제배그 태생이 스팀이었고 게임 리스트를 보면 온리 멀티 게임인것도 있습니다.
Dmncl2022.08.19 09:08
신고삭제스팀에서 겜하는 사람들은 자기 라이브러리에 좋아하는 겜 다 넣어놓고 컴까지 맞췄을텐데 굳이 피방 가서 할 이유가...
동네백수2022.08.19 09:24
신고삭제간단히 생각을 해보면... 그거 하는 분들은 이미 다 집에 자기 취향에 맞춰서 갖춰놨다 봐야죠.
게다가... 그 피방 하루이틀 갈 돈이면 그 게임 사요... 하루이틀로 깨질 게임들도 아닌데 그럴거면 그냥 게임 사고말죠.
슈도모나2022.08.19 10:49
신고삭제PC방 보다 대단위 접속 가능한 안정적인 서버 확장과 콘덴츠가 먼저 아닌가. 막연하게 PC방부터 생각하는건 노땅의 상식이지.
나히다2022.08.19 15:46
신고삭제접근성이 떨어지다보니 아무래도 미진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싶네요
미친소2022.08.19 17:26
신고삭제꾸준한 투자가 있으면 수요가 있을듯한데 단기적인 성과는 힘들듯
skyrim182022.08.19 18:02
신고삭제트랜드에 맞지 않아요. 이제 게임패스 하면 폰으로도 클라우드 게임을 할수 있는 시대인대.... 오히려 조이스틱 패드를 대여해주는 대여 시스템이 있다면 모를까.... 저건 메리트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스팀덱도 곧 풀리니 경쟁력이 정말 없는거 같아요. 그리고 누군가 핵을 쓰고 그자리에서 다른사람이 하여도 계정에 미치는 영향이 생길테고요. Vac벤이 찍히면 어지간하면 진짜로 안 풀어줍니다.
bbcd2022.08.19 19:54
신고삭제월정액 시스템이 맞다고 봅니다.
싼 가격에 많은 량의 게임을 무료로 풀면, 필요가 없더라도 피시방을 가서 하지 않을까요.
(1티어 월정액 5000정도)
드림캐스트2022.08.20 14:52
신고삭제스팀 전용 PC방도 있었군요.
초코초코2022.08.21 09:03
신고삭제스팀pc방이라고 가도, 컴퓨터 용량문제라면서 게임은 설치 안되있고 라이브러리에 [스팀pc방게임] 목록만 보이는데 그걸 어느새 설치해보며 친구랑 플레이하고 있습니까...
pc방이라는 문화를 모른다는 이야기를 내기 전에 애시당초 pc방에 게임이 설치가 안되있는데 라이브러리에 없는 게임 즐겨보겠다고 가서 설치만 해보고는 돌아가는 상황을 즐깁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