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심의, 게임위에서 민간으로 완전히 넘긴다
2024.01.30 15:01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정부가 게임 심의를 민간으로 완전히 넘기는 것을 추진한다.
관련 내용은 30일 판교 제2테크로밸리 기업지원허브 창업존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현장에서 발표됐다. 이번 토론회는 상생의 디지털, 국민 권익 보호를 주제로 하며,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측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어떠한 개선사항을 준비 중인지 설명했다.
게임 분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게임 등급분류 권한을 정부에서 민간으로 이양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법에서는 연령등급을 받아야 게임을 출시할 수 있다.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대부분은 구글, 애플, 닌텐도 등 플랫폼 사업자가 심의하지만, 이들은 게임위로부터 권한을 일부 위임받은 것이기에 완전한 민간 심의라 보기 어렵다. 아울러 청소년이용불가 게임은 여전히 게임위가 심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스팀 등 자율심의 사업자가 아닌 글로벌 플랫폼이 회색지대로 남아 시장에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는 사행적인 운영이 우려되는 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하고, 청소년이용불가까지 단계적으로 민간으로 이관해 글로벌 기준에 맞는 등급분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양 단계는 3단계다. 게임 민간심의기관인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GCRB)’에 모바일게임을 우선 넘기고, 이후 청소년이용불가를 추가로 넘긴다. 마지막으로 게임 심의를 완전히 자율화한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게임법을 추가로 개정하고, GCRB를 별도 법인으로 만들어 미국, 유럽 등 다른 국가처럼 민간 심의 체계를 실현한다는 입장이다. 이후 게임위는 불법사항 등을 감시하는 사후관리 기관으로 활동한다.
이 외에도 오는 3월 시행되는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 서비스 종료 전 최소 30일 간 환불절차를 이행하도록 표준약관을 개정하는 ‘먹튀게임’ 방지, 해외 게임사도 국내 게임법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 부여, 전자상거래법 위반 등으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개별 소송 이전에 피해금액을 신속히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의의결제도 도입, 게임 소액사기 전담수사관 지정 등이 발표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게임 소비자 보호에 대해 “국민의 63%가 게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각종 게임 아이템이 거래되는 등 게임은 단순한 여가나 취미활동 이상이다. 연간 매출 22조 원을 넘어서며 어떠한 콘텐츠보다 막대한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라며 “소비자를 보호해야 이들이 게임 시장에 많이 참여하며 규모를 키울 수 있다. 먼저 확률형 아이템으로 인해 소비자가 피해를 보며 게임에서 멀어져서는 안 된다.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를 시작으로, 불공정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 등 소비자 보호 공약을 지켜왔다. 소액사기 근절, 먹튀게임 등에 국가가 철저히 대응하여 권익을 보호하겠다”라고 밝혔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는 확률 정보 공개를 앞두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중이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은 “게임은 이제 남녀노소 모두가 즐기는 대표 여가문화로 성장한 만큼 게이머 권익 보호가 곧 민생정책”이라며, “게임산업 내 불공정으로 인해 게이머들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정부가 게이머들을 적극 보호하겠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대작 제치고 1위, 깜짝 신작 '스케줄 1'
-
2
유저 모드 위해, 크래프톤 ‘인조이’ 데누보 적용 취소
-
3
[오늘의 스팀] 인조이, 출시와 함께 전세계 판매 1위
-
4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5
인조이, 게임 초반 놓치기 쉬운 ‘꿀팁’ 7선
-
6
‘사이버펑크 고’ 나오나? CDPR-스코플리 협력 발표
-
7
축구공으로 때린다, 호날두 '아랑전설' 캐릭터로 등장
-
8
[오늘의 스팀] 폴아웃 풍 신작 아톰폴, 평가 ‘매긍’
-
9
어크 섀도우스, 유비식 오픈월드는 버려야만 한다
-
10
마비노기 모바일, 할머니가 떠먹여주는 RPG
레제비츠2024-01-31 12:54
신고삭제아니 ㅋㅋㅋ님들 이걸 믿음?? 게임은 질병이라고 하면서 게임산업 조져놓은게 바로 MB랑 근혜임. 근데 지금 저런말을 믿는다고?? ㅋㅋㅋㅋ 몇번 당해야함??
악마이2024.01.30 15:47
신고삭제진작에 해줄 것이지 총선 직전에 이걸 푸네
동네백수2024.01.30 15:48
신고삭제드디어 쟤들이 등급분류 손 뗀다니 이제 일을 하긴 하는 곳에서 분류하게 되나요
밤늑대2024.01.31 00:40
신고삭제국힘 찍으면 지금 말한것 법안 개정부분 진행가능한거고 민주당이 총선 이기면 지금 말한거 나가리 된다는 소리네요.
오우2024.01.31 00:49
신고삭제사실 이게 맞는건데 대기업 잇속 챙겨준다고 인디게임들 죽이는 정책 폈었지. 정작 그 대기업들이 사내정치 하느라 자꾸 죽쓰다보니 결국 중국게임에 털리고서야 정책이 바뀌는구나
레제비츠2024.01.31 12:54
신고삭제아니 ㅋㅋㅋ님들 이걸 믿음?? 게임은 질병이라고 하면서 게임산업 조져놓은게 바로 MB랑 근혜임. 근데 지금 저런말을 믿는다고?? ㅋㅋㅋㅋ 몇번 당해야함??
미르후2024.01.31 20:24
신고삭제근데 단점이 많이 생길것 같다.. 예로 들어서 뒷돈 받아서 심의 통과 시키기, 힘 있는 자가 게임사는 힘 없는 게임사나 인디게임사들 입김과 권력 남용도 생길것이고 사행성 통과도 있을 것이다..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아 질것 같다.. 민간이 더 문제가 될것 같은데.. 벌써 걱정이 된다..
hogog2024.02.01 08:20
신고삭제이걸 선동하네 4대 중독법이 그네때인건 맞지만 게임중독이 가장 강하게 추진되던게 문통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