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위, 등급분류·사후관리에 게이머 참여시킨다
2024.11.06 17:42게임메카 신재연 기자

게임물관리위원회(이하 게임위)는 6일, 광화문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게임위 현장기자단 소통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용자 및 사업자 민간단체, 주요 기업 및 학회 의견을 청취하며 소통한 내용에 대해 언급하고 앞으로의 사업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크게 '소통, 신뢰, 변화'로 정의된 게임위의 핵심 사업목표가 제시됐다. 서태건 위원장은 이 중 소통에 대해 언급하며 게임위 업무에 게임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하고, 등급분류기준 수립 시 게임 이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 수립하겠다 밝혔다. 현재 게임위 등급분류기준 혹은 위원회 규정 상으로는 이용자 혹은 이용자 단체가 위원회 업무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가 구비돼 있지 않다.
서태건 위원장은 "현재 진행 중인 용역 사업이 있다. 게임물 등급 기준 등의 개선 방안을 위한 용역이다. 해당 사업부터 시행 후 위원회 규정을 개정해 등급 재분류 자문 위원단 등, 이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게임물 사후 관리에도 이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해, 직원 등급 재분류 시 사전에 이용자들의 등급 적정성에 대한 자문 과정을 거치도록 할 계획"이라 밝혔다.

게임위 김세중 게임물관리본부장은 간담회 현장에서 "올해 연구 용역을 통해 이용자 단체를 추천 받아 이용자가 등급분류 기준규정 개정 시 혹은 재분류 자문회를 구성할 때 참여할 수 있도록 명문 규정을 만들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게임위 김범수 자율지원본부장이 "사후 관리 부문에도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현재는 준비 단계로, 크게 이용자 참여와 개발자 참여로 나뉜다"며 이용자 및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듣고 검토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 말했다.
한편, 게임위는 앞으로 '게임이용자 소통 토론회'를 반기마다 개최할 예정이다. 더해 게임 전문가들을 게임위에 초청해 전 사원이 게임 산업과 이용자의 트렌드를 정기적으로 듣고 업무에 반영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게끔 노력한다.
많이 본 뉴스
-
1
마비노기 모바일 홈페이지에 정체불명 팝업이 띄워졌다
-
2
어쩌다 카드사가 스팀 성인게임을 심의하게 되었나?
-
3
다크 소울 3 리마스터? 프롬 신작 'FMC' 제작 중
-
4
[오늘의 스팀] 업데이트 두 번에 나락 간 '레디 오어 낫'
-
5
카드사 심의 결과? 스팀서 '야겜' 100여개 일괄 삭제
-
6
마법소녀들의 단간론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출시
-
7
드디어, '사펑' 나이트 시티에 자율주행이 상용화됐다
-
8
[순위분석] 마비노기, 온라인은 '방긋' 모바일은 '우울'
-
9
[오늘의 스팀] 10주년 DLC가 아크: 서바이벌을 망쳤다
-
10
[오늘의 스팀] 역대 최고치, 림버스 컴퍼니 동접 급증
그레이시스2024-11-07 13:08
신고삭제걍 40대 이상은 게등위에 앉히면 안된다고 본다.
meath2024.11.06 17:54
신고삭제게임 유저들의 목소리가 유입될수 있다는 점에서 반길만한 소식이군요
진지보이2024.11.07 10:37
신고삭제과연.. 말뿐이 아니기를..
flap****2024.11.07 12:14
신고삭제사전심의 자체가 위헌 이라는 청원에 대한
답변이 게이머 참여? 이게 맞는 대응인지 의문이네요
바라기2024.11.07 12:34
신고삭제사회 생활 안해 봤나
윗대가리가 게임에 비관적이면 아래 사람이 따라야지
저런 말장난 하지 말고
게임위를 없애고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 위주로 구성을 다시해야 힌다
그레이시스2024.11.07 13:08
신고삭제걍 40대 이상은 게등위에 앉히면 안된다고 본다.
GREAT2024.11.07 23:09
신고삭제그러면 김성회씨도 커트인데?
노란먹구름2024.11.08 00:53
신고삭제나이가 기준이면 안됨 전문성이나 경력을봐야지 게임관련경력 하나도없는 30대나 60대나 전문성없는건 그게그거지
lqssfourloo2024.11.07 14:32
신고삭제이용자와 개발자의 목소리를 등급분류에 넣을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죠. 누구냐가 계속 문제이긴 할텐데 중국과 다를 바 없었던 규제가 발전하는 것 같아 기쁩니다.
검은나무2024.11.07 18:02
신고삭제명목상의 병풍으로 세워두는거겠지 뭐. 지금도 검열은 철저하게 진행중인거 보면 듣는 시늉만 하는거 같고 기대도 안함. 그냥 다음에야말로 끌어 내려야겠다는 생각만 들지
js2024.11.07 18:12
신고삭제보나마나 형식상 참여고 반영은 ㅈ도안하겠지 ㅋㅋ
쿠루9742024.11.07 19:24
신고삭제게이머 대표로 스팀 런처에 플탐 총합 1000시간 이상인 사람 앉히는 거 아니면 신뢰 못함
희대의간지남2024.11.07 19:53
신고삭제걍 참여시켜서 일하고 있어요 이 ㅈㄹ하려고 세워두는거지 뭔
Haret2024.11.07 23:18
신고삭제이래고래놓고 게이머랍시고 남성은 단 하나없이 여성유저만 빽빽채운 이전 자문단 같은거 나오는거지? ㅋㅋㅋㅋ
챠드2024.11.08 11:22
신고삭제???:게이머를 참여 시켜주지만 의견반영 안하면 그만이야!
kimhu****2024.11.08 15:26
신고삭제게임 전문가는 대체 누굴 말하는 걸까 진짜 궁금하다
강아지9372024.11.08 16:04
신고삭제자문을 구하는게 아니라 결정에 참여하도록 하고,
장르와 성향 별로, 깊은 경험을 증명 가능한 사람들로 고루고루 모집해라 제발
아무2024.11.09 13:19
신고삭제그냥 게임위를 없애라 세금낭비에 자리차지, 무능력한것들이 경력쌓을려고 해먹는거 아니냐? 다른나라는 검열 안하는데 왜 우리만 검열 쳐먹어야되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