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배, 확률형 아이템 징벌적 손해배상법 국회 통과
2025.01.01 10:04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확률형 아이템에 관련해 법원에서 인정된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액으로 정할 수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31일 2024년 마지막 본회의를 열고 여러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 중에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도 포함되어 있다. 이 법은 김승수 의원, 이기헌 의원, 강유정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 3건을 병합해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본회의로 올린 것이다. 본회의에서 이 법은 재석 288인 중 찬성 277인, 기권 5인으로 통과됐다. 찬성율은 98.23%다.
법의 주요 내용은 세 가지다. ▲ 게임사가 확률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표시해 유저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한다. ▲ 게임사 고의에 의한 유저 손해를 3배까지 배상하도록 한다. ▲ 게임사의 고의·과실이 없었다는 사실을 게임사가 증명하도록 입증책임을 전환한다.
앞서 이야기한 부분은 '유저 손해를 3배까지 배상한다'는 것은 법원에서 인정된 손해액을 기준으로 한다. 법원은 배상액을 정할 때 ▲ 게임사가 고의 또는 손해 발생 우려를 인식한 정도 ▲위반행위로 인해 유저가 입은 피해 규모 ▲위반행위로 인해 게임사가 취득한 경제적 이익 ▲위반행위 기간 및 횟수 ▲위반행위에 따른 벌금 ▲게임사의 피해구제 노력 정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법원에서 게임사 고의로 피해가 발생했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손해액을 입증하기 어려울 경우, 변론 전체 취지와 증거조사 결과에 의해 인정된 모든 사정을 종합해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는 내용도 명시됐다.
이 법으로 전반적으로 확률형 아이템 관련 사건에서 게임사의 입증책임과 배상책임이 강화됐다. 확률형 아이템 확률 정보 공개 제도가 작년에 시행된 가운데, 관련 소송과 배상에 대한 법도 보강되며 유저의 권익보호는 더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게임업계 입장에서는 게임시장 메인 상품으로 자리한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며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관련 법안을 대표발의한 김승수 의원은 "일부 게임사의 기만행위와 불투명한 정보 공개로 게임이용자가 피해를 보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해서는 안 된다. 많은 게임 이용자가 바라던 게임산업법이 이제라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다행"이라며 "앞으로도 유관부처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게임 이 용자 권익 보호에 앞장서겠다. 아울러 게임산업 내 투명하고 공정한 문화가 정착되어 게임산업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6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7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8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9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10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gam2025-01-01 11:32
신고삭제게임개발을 1번이라도 제대로 해본 사람이라면 지금 한국의 게임 규제를 납득 못할거다
그래서 반대로 생각해봤다
한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 게임 산업을 죽이고 중국 게임 산업을 밀어주기 위해서다
이걸로 보니까 모든게 앞뒤가 다 맞음
해외 게임사 대리인 지정 -> 계속 미뤄지는 중
확률형 아이템 규제 -> 국내 게임 산업만 터트리고 중국 게임은 모르쇠로 일관
렉카와 언론과 정치인들과 게이머들 -> 국내 게임사는 죽일려고 작정했으면서 중국 게임사들 상대론 스윗 586
다시말하지만
한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 게임 산업을 죽이고 중국 게임 산업을 밀어주기 위해서다
이걸로 보니까 모든게 앞뒤가 다 맞음
진지보이2025.01.01 10:43
신고삭제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gam2025.01.01 11:32
신고삭제게임개발을 1번이라도 제대로 해본 사람이라면 지금 한국의 게임 규제를 납득 못할거다
그래서 반대로 생각해봤다
한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 게임 산업을 죽이고 중국 게임 산업을 밀어주기 위해서다
이걸로 보니까 모든게 앞뒤가 다 맞음
해외 게임사 대리인 지정 -> 계속 미뤄지는 중
확률형 아이템 규제 -> 국내 게임 산업만 터트리고 중국 게임은 모르쇠로 일관
렉카와 언론과 정치인들과 게이머들 -> 국내 게임사는 죽일려고 작정했으면서 중국 게임사들 상대론 스윗 586
다시말하지만
한국 게임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 게임 산업을 죽이고 중국 게임 산업을 밀어주기 위해서다
이걸로 보니까 모든게 앞뒤가 다 맞음
meath2025.01.01 17:32
신고삭제지금까지 누적되온 게임사들의 유저들에 대한 행태가 거꾸로 화살이 되어 돌아간 셈으로 보여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