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플랫폼 변화는 LTE인데 정책은 2G 라니
2014.03.21 16:54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jpg)
메카만평
[관련기사]
플랫폼 구분이 무의미해지는 시대가 왔습니다. 과거에는 온라인게임, PC 패키지게임, 비디오게임, 아케이드게임 등으로 명확히 구분지어지던 게임들이, 최근에는 여러 하드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을 넘나들고 있습니다. 사실상 플랫폼의 경계가 무너진 셈입니다.
현재 게임물관리위원회는 게임물의 등급을 PC/온라인게임, 비디오게임, 모바일게임, 아케이드게임의 4분류로 나누고 있습니다. PC게임과 온라인게임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나눈 것은 2006년도부터였는데요, 당시 쇠퇴해 있던 PC패키지 게임을 온라인게임과 합침으로써 업무 효율화를 노린 것입니다. 당시에만 해도 ‘온라인게임은 PC에서 즐기는 것’ 이라는 공식이 성립했으니, 나쁜 판단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분류 기준이 개정된 지 8년, 시대는 바뀌었습니다. 거치형 콘솔 기기의 온라인기능 확대, Wi-Fi와 LTE 보급으로 인한 모바일 온라인접속 증가 등으로 인해 온라인게임은 PC라는 굴레를 벗어난 지 오래입니다. PS3나 Xbox360으로도 온라인게임을 즐길 수 있고, PC로 출시되는 소위 '패키지게임' 들도 온라인 접속을 필수화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심지어는 아케이드게임에서도 온라인에 접속해 멀리 떨어진 유저와 대결을 펼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한편에서는 아예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플랫폼 간의 경계 자체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PC, 타블릿 기기 간의 구분도 명확치 않고, 콘솔과 PC 간의 경계도 무너졌습니다. '윈도우 8' 의 경우 PC와 모바일을 아우르고 있으며, 구글 역시 크로스플랫폼을 필두로 한 SDK를 발표했습니다. 이번엔 ‘타이탄폴’ 등 일부 게임만 플랫폼 시비에 휩싸였으나, 앞으로 이러한 사례가 더욱 많아질 것은 명약관화합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현실에 맞는 새로운 플랫폼 구분법입니다. 현재 게임위는 기존 플랫폼 구분법을 적용하되, 문제가 생길 경우 사후처리를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못 될뿐더러 효율도 낮습니다. 시대에 맞는 플랫폼 구분법이 하루빨리 마련되지 않는다면 ‘타이탄폴’ 처럼 본의 아닌 오해를 사는 게임이 속속 생길 것이고, 국내 게임들과의 형평성 문제에서도 벗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게임메카 ID DrakeCOW 님도 이러한 점을 지적했습니다. “가만 보면 EA가 고의적으로 온라인게임 등록을 피해간 것이 아니라,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처음부터 제대로 관리를 못한 것이 맞네요. 국내 게임들은 그렇게 칼같이 관리하면서 EA나 밸브 등 해외 게임들에는 최소한의 기준도 못 제시하니... 법 지키는 국내게임만 억울한 듯. 참 한국에서 게임사업하기 쉽지 않네요” 라는 말처럼, 현재 게임위의 플랫폼 분류 기준은 국내 및 해외 업체 모두에게 악영향을 줍니다.
사실 게임위도 난감한 상황이긴 합니다. 플랫폼 변화라는 게 특정 계기나 사건으로 한번에 바뀌는 것이 아니고 시장 변화에 따라 서서히 이루어지다 보니, 이를 알아차릴 때 쯤 되면 이미 현재진행형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변화의 조짐이 보이더라도 시장 정세를 변화시킬 만큼 파급력을 가질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다 보니 향후 몇 년을 내다봐야 할 규정을 섣불리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탈 하드웨어 시대를 지나 OS에 맞춰 가는 추세이지만, 당장 1~2년 후에는 어떻게 변할 지 모릅니다. 어쩌면 VR 기기들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인정받을 수도, 혹은 아예 게임과 일반 어플리케이션의 경계 자체가 모호해질지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게임메카 독자분들도 게임위의 낡은 규정에 대한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ID 실키하트 님은 “핵심은 바뀌는 현실을 제도가 못 따라잡고 있다는 뜻이네요. 결론은 제도를 만드는 인간들이 일을 안 한다는 건 확실함”, ID 뿅뿅 님은 “요즘은 콘솔게임도 다들 온라인 베이스로 많이 나오니까 등급체계를 다시 한 번 점검해볼 필요가 있을 듯. 규정을 바꾸거나” 라며 한시라도 빨리 현행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시대는 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플랫폼이라는 개념 자체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요? 불확정한 기준으로 게임을 일일이 분류하기보다, 게임산업 전체를 아우를 만한 시대 맞춤형 제도가 필요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우수 댓글로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오는 3월 26일(수)까지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실제 사용하시는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은 매주 목요일 배송됩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DrakeCOW (증정 상품: 디아블로 3 케인의 기록)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출판사로 돌아온 서적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4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5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6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7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8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9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10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죠니워커2014-03-21 23:29
신고삭제요즘 같은 세상에 게임물의 등급을 단정지어 판단하기에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시대가 변하는 만큼 관련 규제나 법도 그에 발맞춰 바뀌어야 할꺼 같네요.
wlw2014.03.21 18:35
신고삭제샤달빠 근데 요새 싸인안하네여 쌰달빠가 그린게 아닌가여?
그리고 오늘도 만평은 진리!!! 애기 표정 대박 귀요미 ㅠ우리 타이탄퐁
죠니워커2014.03.21 23:29
신고삭제요즘 같은 세상에 게임물의 등급을 단정지어 판단하기에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시대가 변하는 만큼 관련 규제나 법도 그에 발맞춰 바뀌어야 할꺼 같네요.
Ji Hun Bae2014.03.21 23:31
신고삭제이러고 나서도 다음 변화에 늦장대응할 게 뻔해서 할 말이 없다.
Memphis Belle2014.03.22 03:59
신고삭제이거 안 바뀐다. 어제 규제개혁 공개토론할 때 게임 얘기는 하나도 없드만.
용감한녀석2014.03.22 11:33
신고삭제게로몬왕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우리나라 게임시장은 갈수록 퇴보하는듯
슬프다 ㅠ.ㅠ
라르프2014.03.22 12:12
신고삭제올ㅋ 당첨되면 책주네요
스팀2014.03.22 20:40
신고삭제시대는 변하고 있죠. 스팀이 최고라는 방향으로.
울나라에서도 스팀같은 플랫폼을 만들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다 망했다죠.
연쇄할인마를 그 누가 막을소냐
콰쿰2014.03.23 15:28
신고삭제법이 현실을 앞질러 만들어질 순 없지만, 뒤쳐지지 않기 위해 노력이라도 해야 하는데
콘솔 온라인게임이 본격적으로 나온 지 3~4년은 된 것 같은데 아직도 노력이 없네요
alucard2014.03.24 11:24
신고삭제어차피 관리하는 사람들이 게임과는 별 상관도 없는 사람들이 하고 있으니 그게 문제지....
아니 다른 산업계는 저런 위원회 있으면 다 경력자들 모시고 그러는거 아닌가?
왜 게임만 상관없는 사람들 불러다 이래라 저래라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거야?
개념있는십덕충2014.03.25 18:07
신고삭제차도 하이브리드가 처음나왔을때 실제연비로 말이많았던것처럼 게임계도 그런때가 온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