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게임업계 대변은 아무나 하나
2014.04.11 17:32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jpg)
메카만평
※ 이번 주 메카만평은 와우메카 `노동8호`님의 특집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관련기사]
지난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문화융성위원회 제 3차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콘텐츠업계 종사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는데요, 게임업계를 대표하는 인물로는 선데이토즈 이정웅 대표가 참석해 게임업계에 가해지는 규제가 지나치다는 의견을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토론회 내용과는 별개로, 이정웅 대표가 게임업계의 어려움을 전달하는 데에 대한 적절성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정웅 대표는 선데이토즈를 창립, ‘애니팡’ 과 ‘애니팡 2’ 를 출시해 엄청난 흥행을 거둔 인물로 모바일게임 천만 다운로드 시대를 연 주역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작품의 영향력과 흥행적인 면만 봐서는 분명 성공한 사업가죠.
하지만 그 이면에는 표절 논란과 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한 부끄러운 모습이 감춰져 있습니다. 실제로 선데이토즈는 첫 히트작 ‘애니팡’ 부터 표절 논란에 휩싸여 왔고, 그 후속작인 ‘애니팡 2’ 는 게임 디자인에서부터 특수블록 효과 및 사용법, 조합, 소셜 요소 등이 킹의 ‘캔디크러시사가’ 와 거의 흡사해 재차 논란이 되었습니다.
선데이토즈가 ‘애니팡’ 시리즈를 통해 천억 단위의 수익을 기록하는 가운데, 많은 이들이 표절 논란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지만, 이정웅 대표는 끝내 입을 다물었습니다. 이후 이 대표는 지난 3월, 자신 외 2인이 보유한 선데이토즈 주식을 스마일게이트홀딩스에 매각해 1,206억 원의 수익을 챙겨 ‘먹튀’ 논란까지 불렀습니다.
‘애니팡’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해, 이전에도 다소 카오스 상태였던 모바일 게임업계의 도덕성은 바닥까지 떨어졌습니다. 선데이토즈의 상장 이후 메이저 개발사부터 인디 개발자까지 너도 나도 기존 인기작을 ‘벤치마킹’ 이라는 이름으로 갖다 쓰기 시작했고, 이제는 표절 아닌 게임을 찾기가 더 힘들다는 푸념 섞인 소리가 나올 정도로 게임업계의 도덕적 해이는 심각해졌습니다. 아니 오히려 도를 넘어 고의로 표절 시비를 불러 노이즈 마케팅을 하는 곳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만든 일등공신인 이정웅 대표가 게임업계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대표자로 나서자, 게임메카 독자들 역시 이를 곱게만 바라보진 않았습니다. ID 클라크중위 님은 “이정웅 대표도 왠지 정치인 같은 느낌이네요. 논란 있을 땐 철면피 깔고 입 딱 다물고 지내더니, 이제 돈도 챙기고 잃을게 없으니 슬슬 여기저기 나와서 이름값 쌓겠다 그건가 봅니다”, ID 우어어어추어메퀘줴 님은 “박통 말만 들어보면, 창의성 없는 선데이토즈는 발전시킬 필요가 없다는 거네” 라며 이정웅 대표에 대한 비판의 소리를 높였습니다.
한편, Chulkyu Park 님은 “게임업계의 자부심이나 원동력, 명분은 예술 내지 창의성인데, 요즘은 다른 것과 구별되는 독자적 시도와 그에 따른 실패가 두려워 공장마냥 정해진 규격(성공한 롤모델)대로만 조립&가공해 내놓는 일반 생산 업종처럼 보입니다. 이런 게 반박의 명분을 약화시키는 요소로 알게 모르게 작용하리라 봅니다” 라며 게임업계에 만연해 있는 창의성 결핍 문제를 꼬집었습니다.
참고로 이정웅 대표의 이야기를 들은 박근혜 대통령은 “콘텐츠의 생명은 창의성이다. 이것이 낡은 규제의 틀에 갇히면 발전할 수 없다.” 라는 답변을 했습니다. 과연 이 말을 듣고 이 대표가 무슨 생각을 했을 지 궁금하네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우수 댓글로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오는 4월 16일(수)까지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실제 사용하시는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은 매주 목요일 배송됩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Chulkyu Park (증정 상품: 아키에이지 원작소설 '전나무와 매')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출판사로 돌아온 서적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2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3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6
쿼터뷰 시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발표
-
7
[겜ㅊㅊ] 스팀 여름 축제, 역대 최대 할인 중인 ‘갓겜’ 5선
-
8
스팀 게임 SSD 설치, 권장에서 필수로
-
9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10
스트리트 파이터 6와 에스파 컬래버, 주리 신의상 추가
달빛로망2014-04-12 12:31
신고삭제그렇게 대변인으로 나올 놈이 없었나...헥사랑 다를게 없는 애니팡과 캔디 복사판 애니팡2 따위나 운영하는 회사가 뭘 안다고...넥슨 정도되는 회사가 나왔으면 그래도 빠워가 좀 있으니 그러려니 했을텐데...아 하긴 더럽다고 일본으로 건너갔으니 걔들은 신경도 안 쓰겠구나
라르프2014.04.11 19:14
신고삭제영혼흡수하는거봨ㅋㅋㅋㅋ
생마2014.04.11 19:32
신고삭제나쁜X
greatzombi2014.04.11 21:17
신고삭제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했나..고구려,고려,백제,신라,조선등 한반도의 거의 모든나라가 외침에 의해서 망했나????정치인의 권력싸움((구)당파싸움)으로 다 망했다.게임이라는 단편적인 면이긴하지만 과거 만화라는 문화가 그러했고 게임또한 별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뭐 사회적으로도 따지고 보면 셀수 도 없다는걸 다 아실듯..아무튼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는 집단만 아니면 참 좋은나라일건데..안타깝습니다.
greatzombi2014.04.11 21:19
신고삭제그리고 정치인이 정치를 하고 국회에서 법제정을 합니다 그런데 왜....왜...게임의 ㄱ자도 모르고 테트리스나 겔러그 조차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이 무엇을 안다고 게임을 제재하는지 이해가 안가는군요.단지 겉으로 삐져나온 부분만 보고 포장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취하는 모습이 의학드라마 자주보시는 분들이 직접 병원에서 수술 집도를 하는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달빛로망2014.04.12 12:31
신고삭제그렇게 대변인으로 나올 놈이 없었나...헥사랑 다를게 없는 애니팡과 캔디 복사판 애니팡2 따위나 운영하는 회사가 뭘 안다고...넥슨 정도되는 회사가 나왔으면 그래도 빠워가 좀 있으니 그러려니 했을텐데...아 하긴 더럽다고 일본으로 건너갔으니 걔들은 신경도 안 쓰겠구나
골룸2014.04.12 16:31
신고삭제역시 메카 ㅋ
똔똔2014.04.12 21:48
신고삭제넥슨도 뭐...ㅎㅎㅎ 그밥에 그나물이쥐
죠니워커2014.04.12 23:06
신고삭제누구하나 소신발언하기엔 어려운 세상입니다. 창조경제가 왜 퇴보경제로 보일까요..
얼렁뚱땅님2014.04.13 05:00
신고삭제둘다 도찐개찐이지 뭐...
흑인아저씨2014.04.14 16:37
신고삭제오늘은 만평만 보고 이해하진 못했다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4.04.14 23:27
신고삭제어차피 돈만 잘벌면 사람 왕창 죽여도 떵떵거리며 사는 전두환이 있는 나라 아니던가? 웃음밖에 안나온다. 늙어서도 그러겠지. 돈이 최고라고.
악마이2014.04.16 10:12
신고삭제베꼈다면, 멀 베껴야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 아는 것도 능력인듯, 능력 두번 발휘해 1200억이라 ㅋㅋ 시기적인부분, 네임류부분을 잘 본듯. 근데, 투고에서 꿀 다 빨았다고 판단하고 스톱했는데~ 저기에 뭔 꿀이 있다고 나가신걸까.. 궁금~ 아직 저런 부분에 대해서는 잘 몰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