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다무쌍 체험기, 링크의 일기당천 액션만으로도 흐뭇하다
2014.08.15 06:22게임메카 독일 특별취재팀

▲ 닌텐도와 코에이테크모의 콜라보레이션 '젤다무쌍'
'젤다무쌍(북미명 Hyrule Warriors)’이 지난해 12월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처음 발표되었을 때, 많은 게이머들은 기대감을 표했다. 기존 ‘젤다의 전설’ 시리즈는 어드벤처 및 퍼즐이 주 콘텐츠가 되는 게임이라 통쾌한 액션보다는 아기자기한 재미가 강했는데, ‘젤다무쌍’을 통해 비로소 통쾌한 액션을 펼치는 링크를 만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일기당천 액션을 하나의 장르로 정립한 개발팀, 코에이테크모의 오메가포스가 공동으로 작업을 진행해 완성도는 보장된 것이나 다름 없었다.
이후 닌텐도는 몇 차례의 다이렉트를 통해 ‘젤다무쌍’의 모습을 공개하고, E3 2014에서 처음으로 게임 시연을 진행했다. 이번 ‘게임스컴 2014’에서 공개된 데모 버전도 당시 시연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공주 ‘젤다’와 주인공 ‘링크’, ‘미드나’까지 총 세 가지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해 ‘킹 도돈고’가 등장하는 스테이지를 플레이 해볼 수 있었다.

▲ 게임스컴 닌텐도 부스에서 만난 '젤다무쌍'
10분 남짓 진행된 시연에서는 ‘젤다무쌍’이 지닌 매력이 한껏 발산됐다. ‘젤다의 전설’의 아기자기함과 ‘진 삼국무쌍’ 시리즈의 호쾌한 액션을 그대로 담아냈다. 더불어 맵 곳곳에 숨겨진 퍼즐과 보물까지 더해져 액션과 어드벤처의 재미를 한 번에 효과적으로 잡은 타이틀이었다.
단순히 스킨만 입힌 ‘진 삼국무쌍’이 아니다
‘무쌍’ 시리즈의 핵심 재미는 다름 아닌 액션이다. 그래서 화면을 가득 채우는 스윙과 공격 효과, 효과음, 캐릭터 모션 등 많은 요소가 잘 맞아떨어져야 한다. 특히 ‘젤다무쌍’은 기존에 확실한 이미지를 구축한 캐릭터를 등장시키기 때문에 그들의 특성과 성향까지 액션 속에 잘 녹여내야 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젤다무쌍’의 액션은 ‘젤다의 전설’과 ‘진 삼국무쌍’의 팬 모두를 아우를 수 있을 만큼 두 작품을 단단히 결합했다. 특히 액션의 완성도가 돋보인다. 기존 ‘진 삼국무쌍’ 작품들처럼 ‘젤다무쌍’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는 한 개 이상의 고유 무기를 사용할 수 있어 액션의 종류도 다채로워졌다.

▲ 검으로 적을 밀어내고

▲ 특수 기술을 사용하면 링크가 높게 뽑아든 검에 빛이 마구 반사됩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링크는 장검과 요술봉 두 가지를 사용하는데, 선택하는 무기에 따라 발동되는 기술이나 공격 모션이 상이하게 다르다. 검은 방패와 함께 베고 밀어내는 액션에 중점을 뒀고, 요술봉으로는 불꽃을 쏘거나 적을 후려치는 식이다. 전체적으로 ‘진 삼국무쌍’ 시리즈의 액션 공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여기에 맵 곳곳에 숨겨진 보물상자와 퍼즐을 더해 ‘젤다의 전설’만의 매력도 빼놓지 않았다. 특히 폭탄처럼 기존 무기 이외의 도구를 사용해 보스를 공략하는 시스템 덕분에 이 게임이 ‘진 삼국무쌍’이 아니라 ‘젤다무쌍’이라는 사실이 다시금 각인된다. 처음 패드를 잡고 무수한 적을 쓸어버릴 때는 강력해진 링크에게 감탄이 나오지만, 킹 도돈고의 몸통박치기에 맥도 못 추리는 모습을 보면 역시나 싶은 생각이 든다.
굳이 Wii U로 출시되어야만 했나
‘젤다무쌍’ 자체는 ‘젤다의 전설’과 ‘진 삼국무쌍’ 사이에서 적절한 밸런스를 맞춘 작품이다. 그래서 양쪽 팬 모두 나름의 재미 요소를 찾아내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화제성도 게임성도 충분하다.

▲ 휴대용이라기에도, 패드로도 무거운 Wii U
그런데 ‘젤다무쌍’을 시연하는 내내 ‘왜 Wii U인가’라는 질문을 지울 수 없었다. 게임스컴 닌텐도 부스에서는 ‘젤다무쌍’ 외에도 WIi U로 출시되는 다양한 타이틀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저마다 기기의 특성을 잘 활용해 게임 속 기능으로 삽입한 부분을 한 가지 이상은 보유했다. 하지만 ‘젤다무쌍’에는 그런 기능이 없다. 행여 존재했더라도, 시연 내내 단 한번도 Wii U는 패드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
물론 닌텐도는 ‘젤다무쌍’과 같은 Wii U 전용 킬러 타이틀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Wii U 판매량과 보급율을 끌어올리겠다는 공산이다. 그렇지만 Wii U가 패드 이상의 몫은 감당하지 않는데, 굳이 이를 강행한 것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다. 게다가 기기 자체의 면적이 넓고 일단 패드처럼 잡을 수 없다 보니, 오히려 플레이 시 불편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차라리 패드를 사용하는 다양한 콘솔로 출시된다면 ‘젤다무쌍’의 재미가 더욱 증폭될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많이 본 뉴스
-
1
스팀 압긍 받은 ’알리야‘ 유저 한국어 패치 배포
-
2
엔씨소프트, 언리얼 엔진5로 차세대 리니지 만든다
-
3
윙 건담 메르시? 오버워치 2 X 건담 W 티저 공개
-
4
[오늘의 스팀] 그저 사진 찍을 뿐인 게임, 호평 이어져
-
5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6
[순정남] 이쯤 되면 핵 아냐? 논란의 하드웨어 TOP 5
-
7
[이구동성] 외양간 고치는 철권 8
-
8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9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10
배틀필드 신작, 건물 파괴한 후 잔해에 엄폐한다
Hellmaster2014-08-18 15:53
신고삭제닌텐도 게임이니 당연히 WiiU죠.
마리오는 왜 닌텐도 게임으로만 나오거죠? 하실 기세
Hellmaster2014.08.18 15:53
신고삭제닌텐도 게임이니 당연히 WiiU죠.
마리오는 왜 닌텐도 게임으로만 나오거죠? 하실 기세
s234212014.08.19 19:17
신고삭제버...번역 좀...
젤다의 전설2014.08.21 12:30
신고삭제한국판 wii 리모콘, 눈챠크, 바, 구동박스가 있는데 일본판 wii u의 디스트가 구동 (호환)이 되는지요? 아니면 별도의 장비를 사야되는지요?
112014.12.22 22:30
신고삭제초록색옷입은애가 젤다죠?
김링크2015.03.21 22:54
신고삭제아니요 초록옷은 젤다가 아니라 링크입니다. 많은분들이 오해하는데 공주가 젤다에요.왼쪽 노란머리가 젤다입니다.
김링크2015.03.21 22:54
신고삭제링크의 저자세는.....스카이워드....?????
김링크2015.03.21 23:00
신고삭제캐릭터는 위에서부터 링크(젤다의전설 주인공이죠 신전 마스터 되십니다.),젤다(공주가 무쌍이라니 거참 신기한나라일세.),미드나(젤다의 전설-황혼의공주에 등장하는 링크의 조력자 입니다. 쓰고있는 투구는 고대일족의 마력이 담긴 투구인데 저거 레전드 템이에요.진짜 무쌍이 돼요. 자세한건 황혼의 공주 영상을보면 마지막 던전에 들어갈떄 어떻게 되나 보시면 알겁니다. 트라이포스의 힘부분을 가진녀석이 만든 결계를 가볍게 뚫죠.한마디로 신의 힘을 능가하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