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정액제가 아냐? ‘검은사막’ 커밍아웃에 게이머들 깜짝
2014.12.05 18:28게임메카 허새롬 기자

메카만평
.jpg)
이번 주 월요일, ‘검은사막’ 공개 서비스 기자간담회가 열렸습니다. 특히 예상과 달리 부분유료화로 서비스된다는 소식에 게이머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죠.
발표에 따르면, ‘검은사막’의 부분유료화 정책은 유료로 충전할 수 있는 포인트 ‘펄’로 게임 속에서 사용되는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을 주로 합니다. 좀 더 편하게 게임을 즐기도록 도와주는 아이템을 유료로 판매하겠다는 것이 핵심이죠.
유저들이 놀란 이유는 ‘검은사막’ 정도의 대형 MMORPG가 시작부터 부분유료화를 선택했다는 점입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서비스 10년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정액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블레이드앤소울’이나 ‘아이온’ 도 정액제를 고수하고 있죠.
'검은사막'의 예상치 못한 행보는 유저들 사이에서도 화제로 떠올랐죠. 우선, 찬성 쪽은 오랜만에 출시되는 대형 MMORPG를 무료로 즐길 수 있어 기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게임메카 레이무님은 “정액제인 줄 알고 안 하려고 했지만… 부분유료화면 일단 한번 해봐야겠네요. 몇 달 해보고 재미없으면 빠지고, 재미있으면 지르는 거죠”라고 반가움을 표시했습니다. 게임메카ID 참신한소재 “30레벨은 찍어야 한다고 하니, 일단 찍어보겠습니다”라며 우선 게임을 해보겠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반면, 부분유료화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유저도 상당합니다. ‘검은사막’은 하드코어 유저들이 좋아할 요소들이 많은데, 라이트 유저를 잡기보다는 정액제로 핵심 유저층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맞지 않냐는 지적이죠. 게임메카ID 요크셔님은 “많이 고민해서 부분유료화 선택한거겠지만 괜한 무리수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금액만 조금 낮추고, 다른 게임들처럼 월정액제로 가면 더 좋았을 텐데요”라며 걱정 섞인 댓글을 남겼습니다. 게임메카ID 소여님은 “어쩔 수 없이 대부분의 게임이 부분 유료 테크를 타는구나”라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검은사막’의 행보는 ‘아키에이지’를 떠오르게 합니다. 정액제를 앞세워 당당히 출발한 ‘아키에이지’는 결국 부분유료화로 돌아서며 한풀 꺾인 모습을 보였죠. 이와 달리 처음부터 부분유료화로 서비스하되, 정성 어린 운영으로 ‘장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검은사막’은 성적은 어떨지 궁금해집니다. ‘검은사막’의 행보, 좀 더 지켜봐야겠는데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우수 댓글로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실제 사용하시는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은 매주 목요일 배송됩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당첨자는 없습니다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오늘의 스팀] 테라리아 만난 팰월드, 반응 ‘미지근’
-
3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4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5
AI를 TRPG '게임 마스터'로 만들어보자
-
6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7
'압긍' 오리 탐정 추리게임, 한국어 패치 배포
-
8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9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10
최대 96% 할인, 다이렉트 게임즈 여름 프로모션 시작
엔마-아이2014-12-05 19:18
신고삭제온라인 게임은 일정 수 이상의 접속자가 필요하니까 어쩔수 없겠죠. 특히 맵이 넓을수록 더 중요한게 동접자니...
wlw2014.12.05 19:07
신고삭제적절ㅋㅋ
엔마-아이2014.12.05 19:18
신고삭제온라인 게임은 일정 수 이상의 접속자가 필요하니까 어쩔수 없겠죠. 특히 맵이 넓을수록 더 중요한게 동접자니...
기기유2014.12.05 20:56
신고삭제굿~
DnsAud2014.12.05 21:09
신고삭제부분 유료화의 핵심은 운영이라고 생각함...캐쉬템으로 유저들 뒤통수를 빠악 후려갈기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점점 떨어져나가는 유저들... 운영 잘하시길;
발업질럿2014.12.05 22:01
신고삭제현명한 선택인듯...
주물2014.12.05 22:51
신고삭제공감이요. 정액제로 망한 게임들이 부분 유료화로 돌아서도 회복을 못하는 이유가 접속해 봐야 사람이 없어서 무료라도 할 맛이 안남... 무료라도 사람만 유지시키면 결국 자기 캐릭터에 애착을 갖기 때문에 꾸미기를 사게 됨. 만랩 캐릭을 전부 무채색으로 만들어도 좋고, 밸런스랑 상관 없으니까, 그러면 아이템에 바르는 색깔 잉크만 팔아도 충분히 수익 나옴. 아이템들은 몇달 간격으로 상위 템을 풀면 되고...
론아민2014.12.06 03:56
신고삭제참 똑똑하다 똑똑해... 테라 블소 아키 검은사막 전부 1차 CBT부터 했지만 검은사막이 제일 잘한다 사실 엄밀히 말하면 앞의 세작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서 게임 내부에 반영한 티가 팍팍 난다
검은사막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앞의 작품들과 소소하게 흥했던 캐주얼 게임들의 시체들이 전부 들어가있다. 마치 죽은 동료들의 시체를 먹고 자란 언데드 로드 같은 느낌
그냥 자존심 안세우고 부분유료화로 간것도 참 잘했다... 괜히 정액제 걸어놔서 진입장벽 높여봐야 결국 GG치고 부분유료화로 돌리게 되고 이 상황이 되면 괜히 망겜이라는 주홍글씨만 새겨져서 유저들이 피하거든... 걍 애초부터 부분유료하면 적어도 초기 이탈 유저들이 적어서 망할일은 없다
tjb06952014.12.06 09:37
신고삭제헉 대박 부분유료면 한달에 2만원씩 쓸께 엔씨 블소 개사키들은 한 5만원써야 겜을 할수 있음
노래강사2014.12.06 09:45
신고삭제이겜 때문에 그픽카드 사야 겠다
꿈의사자2014.12.06 11:02
신고삭제풋.. 부분유료화게임에 한달에 2만원으로 할 수 있을것같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면 넌 계속 하층민에서 못 올라간다 ㅋㅋㅋㅋㅋㅋㅋ
SS2014.12.06 14:17
신고삭제아키라는 온라인겜 원래 정액제 였는데 버그와 핵 그런거 전여 고치거나 잡거나 하지도 않아서
사람이들이떠나니깐 부분유료화 해대는꼬라지보고 접었는데..
검은사막은 그래도 버그와 핵쓰는유저좀 잡으면좋겠네.. 정액제는 부분유료화든..
버그와 핵쓰는 사람들을 걍 냅두니깐 겜이 망하는거지...
미르후2014.12.06 17:08
신고삭제정액제이든 부분유료화이든 이러한 결정을 한것은 우리 유저들의 탓이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공짜 좋아하는 유저들 때문이죠! 막말로 정액제가 높으면 뭐라하고 또 부분유료화에서 이것저것 캐쉬템이 쏟아지면 뭐라하고... 유저들은 과연.... 검사의 회사 입장에서 유저수를 확보 하면서 이익을 많이 창출을 해야 하기엔... 초반부터 무리수를 둘수도.... 유저들은 일부는 반기는 분위기이지만.. 과연 이것은 게임의 질과 컨턴츠를 제대로 나올지 의문!! 제 기준에서 애기를 한다면 정액제가 빠른것이라 고 할수 있습니다. 이유는 부분유료화는 유저들의 심리를 이용한 이익을 창출 할려고 하니... 하나부터 열까지 다 캐쉬템을 지르게 된다면.. 정액제보다 적게는 2만원 많게는 10만원 가까이 할수 있는 분들이 나올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오히러 게임의 경제 밸런싱이나 질이 우려가 됩니다. 정액제이든 부분이든 유저들의 재미할 요소 혹은 컨턴츠인데.. 검사가 과연 ? 정말 부분유료로 장난이나 안 칠련지... 유저 뒷통수만 안치면 다행이지만 ㅋㅋㅋ 걱정이 앞서네요 ㅎㅎ
K_SUNG2014.12.06 18:00
신고삭제정액제라고 게임의 질과 컨텐츠가 제대로 나오는건 아니잔아요 ㅎㅎ 예는안들겠습니다.(그게임을 비난하는거같아서..ㅎㅎ)
오히려 부분유료화가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꽁짜를 좋아하기보다는 부담이 되는 부분을 줄여줘서 오히려 더 잘되지않을까 싶어요 정액제로하면 직장인들이나 바쁜스케줄을 소화하시는분들은 정액을 결제해놓고 많이 즐기질 못하는 부분에서 부담도되고 애정이 식어 접는 경우가 많을거라 봅니다. 저역시 직장생활로 정액제를 소화해내지 못했지요 ㅠㅠ 하지만 부분유료화는 필요한부분에서 결제가 가능하고 즐기고 싶을때 즐길수있고 여튼.. 말이 많아졌네요
아무레도 운영자들이 봤을때 유저의 타겟을 어떤 부류로 잡았냐에 따라 앞으로가 달리지 않았나 합니다.
ff2014.12.06 23:14
신고삭제파이널 테스트때까지 버그도 못잡고...ㅋㅋ 왠지 테스트 전부 해본유저 입장에서 말하자면 분수를 안 듯
lshow2014.12.07 10:34
신고삭제확실한건 블소같은 정액+캐쉬탬팔이 쓰레기 정책보단 수억만배 낫다는거다.
tjb06952014.12.07 13:04
신고삭제꿈의사자 너는 상층민이라 ○같겠다 ㅄ아
Sayo91472014.12.07 15:48
신고삭제보고있냐 송재경
sprautom2014.12.07 18:51
신고삭제10년전쯤엔 mmo가 대세일거라 생각한적이 있지만 지금은 외면받는 장르다싶다.예전엔 맵도 작고 오베가 많아서 그런지 엠엠오 기분이 낫는데 지금은 솔로잉하는 패키지겜스럽다,거기다가 매달 비싼 정액료내는게 이제는 이해불가다. 부분유료화든 말든간에 요즘 관심사항은 조작감이다. 양손 올려 키보드 마우스로 하는게 영 싫증난다. 그래서 겜은 앞으로 콘솔로 할 생각이다.
러브기수2014.12.07 20:46
신고삭제음...부분유료가 좋은거 같은데 정액제 선호하는분들도 만군요.
좋네2014.12.08 02:57
신고삭제뭔가 다르네 ㅎㅎ
땅콩버터미니쉘2014.12.08 11:44
신고삭제팀쿡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그나저나 컴 업그레이드 해야되나. 부분유료화라니까 땡기긴 하는데-_-a
NO_NICKNAME2014.12.08 18:45
신고삭제반대급부라는것이 있는대 게임에서 최상위층이 댈려면 현실에서 그만큼 무엇가를 희생해야한다 .게임이 나쁘다고 생각안하지만 그최상위라는것을 가질려고 얼마나 많은것을 희생해야 하면서까지 할만한 가치가 있냐고한다면 게임하는사람들도 거의 회의적일걸? 게임에 꼭 돈만이 낭비가 아니다 시간도 낭비가 댈수있다 ....각자 게임은 그냥 즐길수 수준에서만 하기를 ...솔직본인들도 게임 그냥 즐기는것지 끝나고 나면 그렇게 남는것없다는것 알지않나? 그냥 그순간을 즐기는것다 ,,,,,,그순간에 너무 목숨걸지는 말자라는이야기
Sayo91472014.12.09 20:22
신고삭제블소는 왜 부분 유료화 게임도 아닌데 하층민에서 올라가질 못하죠 ?
공포의지배자2014.12.09 20:39
신고삭제검은사막 신의 한수가 될지...
내구단가치2014.12.10 02:20
신고삭제기사 내용에 하드코어적 요소가 많아서 그 사람들을 잡기위해 정액제가 더 낫지 않냐는 글이 있는데. 이건 좀 잘못된 생각인것이 회사 입장에서는 하드코어 유저의 소수보단 라이트 유저를 많이 잡는게 더 이익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부분유료화를 선택했다고보네요. 라이트 유저라고 게임 짧게 하는 유저만 있는것도 아닐것이고, 돈 쓰는 유저도 있을것이기 때문이죠. 정액제로 꾸준한 수입도 좋지만 게임도 많은 유저에게 게임을 제공하고 돈을 버는게 목적이니깐요.
시라2014.12.14 01:54
신고삭제잘생각했음 하드코어 유저 보다 라이트 유저에 돈 뺴먹기 쉬움.
그리고 BJ들 어떻게 해봐라. 정말 짜증난다.
미르후2014.12.14 16:34
신고삭제문제는 운영과 캐쉬템에 영향이 크겠군 ㅎㅎ
토끼긔2015.06.24 10:48
신고삭제아키에이지는 정액제였다가 현재 정액제 + 부분유료화를 동시에 하고 있는데 차라리 검사처럼 애초에 부분유료화로 시작하는게 게이머 입장에서는 차라리 낫습니다
아키같은경우(정액제 + 부분유료화)게임들에 들어가는 돈은 정액권 + 필수상품 + 선택상품 + 이벤트 한시 상품+정액제 유지시 얻을수 있는 토큰등의 3차 화폐들로 인해서 최소 2중과금 에서 평균 3~4중과금은 거뜬히 넘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