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확률형 아이템 논란, 왜 산으로 가나
2015.04.09 19:25게임메카 허새롬 기자
지난 3월,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이 ‘확률형 아이템 규제안’을 내놓은 후 게임업계와 유저 간 감정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만 있다. 발의안 검토는 고사하고 업계가 주장하는 자율 규제 안건도 요원하다. 오히려, 개발자와 게이머의 의견 충돌만 심해지는 형국이다. 분명 출발은 ‘과도한 사행성은 지양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었는데, 왜 이해관계자들은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점점 대립각만 세우게 되는 걸까.
‘확률’의 태생적 문제
본래 확률은 게임의 재미를 구성하는 필수 요소다. 윷놀이나 포커처럼 랜덤성을 기반에 둔 놀이는 물론, 하물며 최신 게임을 할 때도 그렇다. 몇 시간씩 진행되는 레이드에서 유니크 아이템을 운 좋게 얻는 것이나, TCG 플레이 중 운 좋게 귀한 카드를 얻었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런 랜덤성에 돈, 곧 현금 구매라는 개념이 접목되면 달라진다. 통상적으로 소비자들은 어떠한 상품을 구매했을 때, 자신이 지불한 금액에 합당한 가치를 얻기를 원한다. 그런데 이 가치가 랜덤으로 변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업체들은 확률형 아이템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세트 아이템을 조각조각 나누어 랜덤상자에 넣거나, 확률적으로 등장하는 아이템을 모두 모아야만 교환이 가능한 상품을 게임 속에 삽입하는 등의 방식을 고안해냈다. 그 탓에, 과거보다 평균적으로 많은 아이템을 사야 ‘최종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됐다.
.jpg)
▲ '마비노기 영웅전' 확률형 아이템에 관련된 사건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 시점부터 게이머와 업체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기 시작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확률 조작으로 의심되는 사건들이 하나둘 터져 나왔다. 당연하게도 게임사에 대한 유저들의 불신은 극에 달했다. 이제 아이템이 나올 확률이 실제로 몇 퍼센트이든, 확률 조작이 사실이든 아니든 유저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 이미 게임업체는 확률 조작으로 유저를 조롱한 주체가 되었으니까. 그래서 유저들은 확률형 아이템 정부 규제안에 힘을 싣는다.
정부 규제가 가지는 문제
그 소용돌이 속에서 게임사들은 난색을 표한다. 대부분 게임이 부분유료화로 서비스되는 지금, 확률형 아이템이 주요 매출원이기에 섣불리 손대기가 힘들다. 그리고, 확률형 아이템 규제안에 명시된 확률 고지의 범위가 분명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현재 발의된 법안은 해석에 따라 게임 내 모든 아이템에 대한 확률을 공개하게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법안 범위가 모호하기에,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진다. 예를 들어 실제 선수가 등장하는 축구 게임의 경우 몇만 명에 달하는 선수 카드의 획득 확률을 고지해야 하는데, 화면 안에 숫자를 어떻게 표기해야 할까. 또, 던전 클리어 보상의 확률을 다 알고 있다면 상자를 여는 두근거림도 덜 할 것이다.
게다가, 이번 발의안이 통과되면 게임산업에 관련한 규제안이 지금보다 더 활발하게 발의되는 분위기가 조성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매출징수법과 게임중독법으로 홍역을 치른 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에 더욱더. 그 탓에 게임업계는 자율 규제를 원한다.
자율 규제가 가지는 문제
업계에서는 자율 규제를 대안으로 내놓지만, 자율 규제도 논란의 중심에 있다.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이하 협회)가 가이드라인을 내놨지만 회원사들은 교묘히 기준을 빠져나가고, 비회원사들은 이를 따를 의무가 없다. 오히려 자율 규제 선언 이후 확률형 아이템을 이용한 상술은 더욱 고도화되기만 했다.
.jpg)
▲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강신철 회장
협회가 구심력이 없다는 점도 한몫한다. 특히 정작 확률형 아이템 논란이 많은 모바일게임 업계에는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고, 그렇다고 한국모바일게임협회와 협력하려는 움직임도 없다. 이런 분위기에서, 협회가 자율 규제를 시행한다고 해서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막상 자율 규제를 통해 업체들이 확률을 공개하거나 보상 하한선을 정한다고 해서, 유저들이 믿을 수 있을까? 이미 몇 차례 사건으로 신뢰를 잃은 마당에, 공개된 수치를 그대로 믿어줄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정리를 해보면,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논의가 갈 길을 잃고 논란만 커지는 이유는 두 가지 대안 모두 한계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 규제와 자율 규제 중 일부 저항은 있겠지만 먼저 실행되는 쪽이 주도권을 가져갈 것이다. 도가 지나친 확률형 아이템에 규제가 필요한 건 사실이니까. 때문에 업계가 자율 규제를 원한다면 이제는 심각성을 인지하고 빨리 해결책을 내놔야 할 시기다.
많이 본 뉴스
-
1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2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3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4
쿼터뷰 시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발표
-
5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6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7
우왁굳 “유튜브 활동 중단, 왁타버스 문제 해결하겠다”
-
8
[겜ㅊㅊ] 스팀 여름 축제, 역대 최대 할인 중인 ‘갓겜’ 5선
-
9
스팀 게임 SSD 설치, 권장에서 필수로
-
10
"서버 내려도 게임은 유지하라" 서명 120만 명 돌파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04-09 21:05
신고삭제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이 생긴다면 이는 게임중독법이나 매출징수법과 맥이 같다 라는 것이 요즘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기사의 새로운 관점인가요? 게임중독법이나 매출징수법은 가정이나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는 것을 오직 게임사에 그 책임을 몰아붙여서 날치기한 법안이고, 확률형 아이템 규제에 대한 법안은 앞서 말했던 것처럼 게임사의 폭리가 그 정도를 뛰어 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근데 요즘 나오는 기사들을 가만히 읽어보면 포커스 자체를 바꾸려는 움직임이 보이는군요. 제 기우인지 아니면 정말 그런 모종의 움직임인지는 알 도리가 없습니다만, 부디 그냥 제 생각이고 기우이길 바랍니다.
진서뀽2015.04.09 20:27
신고삭제확실히 최근 이것 때문에 너무 뒤숭숭했네요 공감합니다 ㅇㅅㅇ!
어잌후2015.04.09 20:30
신고삭제핵심을 잘 짚었다 논란을 위한 논란이 양상되는 형국이었지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더니..
아풴젤러2015.04.09 20:35
신고삭제자율 규제는 갬 소리죠 솔직히 정부 규제 가야합니다 지금의 잡음은 뭐 그만해야겠지만여ㅑ
Creaby2015.04.09 20:38
신고삭제기자님 메인기사 한복판에 얼굴을 대문짝만하게.. 패기 넘치시네요 ㅋㅋㅋㅋ
부운사2015.04.09 20:48
신고삭제그렇죠 정부 규제가 가지는문제 글구 업체들이 하는 규제 둘다 문제가 많아요. 하나 더 붙이자면 업체들 입장에서도 당장 먹고살 돈줄이 달린거고, 게이머 입장도 자기가 막상 지출해야할 돈이니까 더 민감하죠. 둘다 문제가 있는데 민감하기는 하니 답이 안나오죠. 거기다 자율규제니 뭐니 하지만 막상 하는건 아무것도 없고
쟈크리2015.04.09 20:55
신고삭제데인 경험때문에 확률을 공개해도 믿을까말깐데 그것 조차 공개 못 하겠다고하니
더 의심이 갈 수 밖에..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04.09 21:05
신고삭제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이 생긴다면 이는 게임중독법이나 매출징수법과 맥이 같다 라는 것이 요즘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기사의 새로운 관점인가요? 게임중독법이나 매출징수법은 가정이나 교육이 선행되어야하는 것을 오직 게임사에 그 책임을 몰아붙여서 날치기한 법안이고, 확률형 아이템 규제에 대한 법안은 앞서 말했던 것처럼 게임사의 폭리가 그 정도를 뛰어 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것입니다. 근데 요즘 나오는 기사들을 가만히 읽어보면 포커스 자체를 바꾸려는 움직임이 보이는군요. 제 기우인지 아니면 정말 그런 모종의 움직임인지는 알 도리가 없습니다만, 부디 그냥 제 생각이고 기우이길 바랍니다.
DnsAud2015.04.09 22:08
신고삭제게임의 질을 높여 충성도 높은 유저층을 확보하세요 ^^
던갤흑천2015.04.09 22:40
신고삭제이것도 안되고 저것도 안되고......난제로다.......
구글번역이냐2015.04.09 23:17
신고삭제결국 문제만 실컷 만들어놓고 움직임이 없어서 이지경된거아님? 아니 뭘 솔직하게 이야기라도 하던가 이래서안된다저래서안된다 ㅋㅋㅋ 대담 자리라도 가져라 뭐 좀 해결하려면
Hyuns2015.04.10 09:25
신고삭제당당해서 멋지다! 슈퍼우먼~
foriris2015.04.10 14:42
신고삭제던전에서 드랍되는 아이템이 몇%다 이런걸 공개하라는게 아니죠.
확률형 캐시 아이템의 확률을 의미하는거고 몇만장을 일일히 적으라는식으로 키우지 마세요.
몇 등급의 아이템이 몇%이고, 해당 등급중 1개가 나옵니다. 정도만 되도 됩니다.
그것이 고시된대로만 나온다면 말이죠.
Werewolf2015.04.10 18:39
신고삭제확률성 아이템을 팔지말라는 문제가 아니라 확률을 건드리는 사기꾼 같은 것들이 문제아닌가
방향부터 잘잡아야할듯
공포의지배자2015.04.10 21:36
신고삭제난 한국 게임은 현질을 안하지... 계정비라면 모를까...
mobi2015.04.11 12:05
신고삭제요즘 기사들이 정부규제를 비판하는데
던전보상확률이 공개되는게 왜 문제가 되며
(실제로 공개한 게임도 있죠)
수만개의 카드를 범주화해서 공개하면 되는데 왜 그걸 지적하는지 모르겠음.
마지막으로 신뢰가 없는 상태에서 공개는 무의미하다는데, 신뢰가 없으니 제 3자의 개입이 오게된 원죄를 생각 안 하니 ...
NowLoading2015.04.11 12:27
신고삭제해당 법안을 독자들에게 쉽게 이해시키려고 여러 예시를 꺼내셨는데.
그러지 마세요. 그것때문에 오히려 기사의 내용이 산으로 가고 있다는걸 느낍니다. A 규제를 하면 이런 문제점이 있긴한데 A 규제를 시행해도 결국 다른 문제가 생길거야. 그리고 B도 마찬가지야. 라면서 결국 이러든 저러든 게임사들은 전부 병x이야. 라는 글이 되어버립니다.
그리고 정부규제의 문제로 모호한 법안을 이야기 하셨는데. 오히려 그 부분을 이용해 유저들이 무엇때문에 이번 확률형 아이템에 분노를 표했는지에 관해서는 두리뭉실 넘어가네요. 해당 법안이 왜 화제가 되었고 핵심이 무엇이길래 현 상황이 산으로 간다고 표현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닌가 싶은데요.
몇만 개에 달하는 아이템의 획득 확률을 반드시 해당 화면 안에 표기해야 하는건 전혀 문제가 아닙니다. 꼭 그렇게 해야 할 필요도 없구요. 해당 확률에 관한 메세지를 흘러간 패치노트든, 웹사이트든, 인게임이든 회사에서 이를 공개했다는 부분에 의미를 두어야지요.
Bruce Donniejk2015.04.11 12:34
신고삭제일단 타게임은모르겠으나 돈슨 카운터스트라이크라던지 일부 fps의 확률형은 규제를해야한다고 봅니다 무슨 빠칭코도아니고.. 특히 돈슨카스는 해독기하나까면 고작 한개템이나오는..모게임은 못해도 기능성아이템이랑 게임머니까진 주는데 확실한건 돈슨 카스가 사행성 제일 높다는거
확률은쓰렉이지 돈은 돈대로나가고 딱한번하고 이후 돈쓴적없으니 뭐 무튼 규제는 fps쪽을겨냥해야 맞을듯 총쏘는게임이 뭔 그런게 필요하나..
주하나2015.04.11 14:00
신고삭제닥치고, 법률로 강제 확률 공개 가자. 이미 늦었다.
제대로 된 게임이라면 확률이 공개되더라도 문제될 게 전혀 없다.
주사위 놀이, 트럼프 카드 게임 등 전통적인 게임들은 모두가 확률을 알고 있지만 여전히 재밌습니다.
이제 컴퓨터 게임(확률 연산을 기기가 대신하는 게임)은 그 발상의 최초로 돌아가서, 무분별한 확률의 사용과 이를 조정하는 것을 없애야 합니다.
김아흥2015.04.11 15:14
신고삭제핵심을 짚으면서 교묘한 물타기 이게 무슨 게임회사 대변하는 기사인듯
ㅋㅋㅋ2015.04.11 16:27
신고삭제물타기보소.
심지어 월정액 게임에서조차 빠칭코를 시행하고 있는 셈인데 솔직히 정말 도가 지나치지않나
이정도면 ㅋㅋㅋㅋ 어떤게임은 한달에 2만원이면 추가로 돈을 쓸일이 없고 어떤게임은
월정액따로 기간제 공격력과 방어력 상승 버프 따로, 이속버프 따로, 팔고ㅋㅋㅋㅋㅋㅋ
솔직히 게임 업계가 힘든이유는 전부다 알잖아.
한반도 땅이 생긴이래로 기술자들을 천시하는 아름다운 펜대굴리는 문과출신님들이
이나라를 잡고 있으니 이모양 아니겠어? ㅋㅋㅋㅋ
해본적은 없고 입만 나불나불, 직접해본적이 없으면, 경험자의 의견을 참고하고 수긍할줄도 알아야지 무조건 닥치고 이렇게 만들어와 하니까 게임을 몇십억씩 박으면 뭐하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히트를 못치는데
으샤2015.04.12 23:43
신고삭제ㅋㅋ 와우하면 한달 15800원이면 끝나는데 반도형들이 부분유료화에 빠져서 참 골아프게들 산다
핑크2015.04.13 08:26
신고삭제확률형을 전면폐지하는게 답
확률 들어가면 성인용으로
Georuden2015.04.22 21:59
신고삭제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이 생긴다면 이는 게임중독법이나 매출징수법과 맥이 같다는 어디서 튀어나온 문장인지 모르겠는데, 본문을 똥구멍으로 읽은 건가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