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시장 한 손에 쥔 텐센트, 다른 한 손엔 e스포츠까지
2015.04.15 19:07게임메카 허새롬 기자

▲ 텐센트 CI
텐센트의 기세가 매섭다. 국내 온라인과 모바일 시장에 이어 이제는 e스포츠 판까지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e스포츠 루키 ‘스마이트’가 가세하며 상금 규모 2, 3위 e스포츠 종목을 텐센트가 모두 쥐었기 때문이다.
‘스마이트’는 북미 개발사 하이레즈스튜디오가 개발한 3D AOS게임으로, 쿼터뷰 대신 3인칭 시점을 사용해 일반적인 AOS보다 액션성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본래 자체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었지만, 2013년 텐센트에게 글로벌 퍼블리싱 권한을 넘겼다.

▲ '스마이트' 세계대회 참가자 모집 이미지 (사진출처: '스마이트' 공식 홈페이지)
‘스마이트’ 정식 서비스는 2014년 3월에 시작됐다. 첫 세계대회 참가자 모집을 2014년 12월에 시작했으니, 불과 9개월 만에 e스포츠 개최가 가능할 만큼 게임을 안착시켰다는 이야기가 된다. 게다가 첫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총상금을 214만 5,807달러로 잡았다. 한화로 23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고, 역대 e스포츠 상금 규모 중 두 번째다.
현재 단일 게임으로 대규모 e스포츠 경기 개최가 가능한 게임은 몇 없다. 대규모 경기가 가능할 정도로 다양한 프로팀이 존재하는 종목은 ‘도타 2’와 ‘리그 오브 레전드’,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2’ 정도다. 이 중 상금 규모는 ‘도타 2’가 최대 1,093만 달러(한화 약 120억 원)로 가장 크다. 그 뒤를 따르는 것이 ‘리그 오브 레전드’인데, 지난해 개최됐던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의 총상금 규모는 213만 달러(한화 약 23억 원)였다. 이 중 ‘리그 오브 레전드’는 텐센트의 자회사 라이엇게임즈의 작품이다.

▲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는 2011년 텐센트에 인수됐다
이로 인해 텐센트는 현재 e스포츠판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게임 중 두 종을 서비스하는 업체가 됐다. 더불어 텐센트는 ‘콜 오브 듀티 온라인’의 서비스 권한도 지녔다. 현재 ‘콜 오브 듀티’는 PC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북미에서 e스포츠 종목으로 인정받고 있는 프랜차이즈이기에 온라인으로 출시된다면 더욱 그 영향력이 커질 것이다.
e스포츠는 특정 게임의 코어 유저층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작품의 수명을 늘리는 역할을 톡톡히 한다. 더불어 트위치와 유튜브 등 주요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들이 e스포츠를 중요한 콘텐츠로 지목하기 시작하면서, 문화적 위상도 높아졌다. 이렇듯 e스포츠는 게임 산업에서 서서히 독보적인 부문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특히, e스포츠는 지역에 상관없이 단일 게임으로도 전 세계 유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로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대회인 '롤드컵'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독일 등 매년 국가를 달리하며 개최되는 데다, 해를 거듭할 때마다 관객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런 영역까지 텐센트가 점령했다는 것에 대해, 조금 더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많이 본 뉴스
-
1
[이구동성] 옛날에 산 게임을 전액 환불해준다고?
-
2
15일, 발더스 게이트 3에 서브 클래스 12종 추가
-
3
인조이, 모드보다 쉽게 만드는 유저 콘텐츠 봇물
-
4
둠 한정판 패키지 '박스'에서 둠이 돌아간다
-
5
[순위분석] 1년 새 최하위, 이터널 리턴 '위기’
-
6
블루아카 라멘 팝업에서 '시바세키 라멘' 팝니다
-
7
부정행위 남발에, 몬헌 와일즈 ‘순위보상’ 폐지한다
-
8
'청불 게임' 심의 완전 민간이양, 예상 시기는 2027년
-
9
스팀 할인에 대한 게이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
10
출시 15주년 ‘메트로 2033 리덕스’ 17일까지 무료 배포
구글번역이냐2015-04-16 00:02
신고삭제헐 리그오브레전드가 텐센트꺼엿음??? 사스가 ㄷㄷ
구글번역이냐2015.04.16 00:02
신고삭제헐 리그오브레전드가 텐센트꺼엿음??? 사스가 ㄷㄷ
텐센트2015.04.16 00:58
신고삭제롤에 중국 모바일에 e스포츠에 모든 걸 가졌네
텐센트2015.04.16 01:00
신고삭제온라인 모바일 e스포츠 세 개의 손을 가진 탠센트
텐센트2015.04.16 01:02
신고삭제텐센트가 e스포츠에 손을 뻗는다는 건 돈이 된다는 판단이 있어서 일텐데 e스포츠가 사실 한국에서 먼저 나왔는데 우리도 안 뺏기려면 미리미리 좀 밀어주는게 좋지 않나
어잌후2015.04.16 09:11
신고삭제텐센트의 이름이 나돈지 이제 겨우 3년? 2년? 무서울 정도의 성장세다.. 결국 중국이 이렇게 되는군..
어잌후2015.04.16 09:11
신고삭제텐센트님이 살아돌아오셨다!!!!!!!!!!!!!!!!!
나온그린나래2015.04.16 09:54
신고삭제역시 중국을 잡아야~
CULTIST0012015.04.16 10:40
신고삭제사실 나도 중국에 대해서 별로 관심 없는 편인데,
텐센트의 기세는 정말 무서울 정도다.
요즘 뉴스 검색해봐라, 텐센트가 서비스하는 게임이 몇개고, 우리나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그것만 봐도 이제 중국 게임시장과 텐센트를 무시할 시대는 이미 지났다고 봐야한다.
코맥2015.04.16 10:41
신고삭제왠지 이 기세라면 e스포츠든 게임이든 다 중국으로 넘어갈 듯?
사실 저번에 소오강호 온라인이였나? 그것도 좀 소름돋았다
던갤흑천2015.04.16 22:34
신고삭제역시 물량공세
게임하는곰도리2016.06.21 23:54
신고삭제텐센트.. 무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