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온라인게임의 운명이 달렸다, 나는 블레스다
2016.01.29 18:13게임메카 김영훈 기자

메카만평
.jpg)
[관련기사]
지난 27일(수), 네오위즈게임즈 야심작 ‘블레스’가 공개서비스에 돌입했습니다. 정통 MMORPG 재림을 모토로 광활한 세계와 짜임새 있는 콘텐츠, ‘신성제국’과 ‘종족연합’이라는 양대 세력의 RvR을 앞세운 게임이죠. 무려 7년 동안 700억 가량이 투입된, 근래에 보기 드문 대작임에 틀림없습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기나긴 산통을 보상해줄 성과가 나올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강력한 경쟁자가 많진 않지만, 온라인게임 시장 전체에 짙게 드리운 침체의 암운이 문제입니다. 지난해 국산 온라인게임 신작은 총 33종에 달했는데, 이 중 대부분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사그라졌죠. 모두가 한마음으로 누군가 분위기를 반전시켜주길 고대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블레스’의 선전을 바라는 것이 비단 네오위즈게임즈뿐만은 아닌 셈이죠.
이제 중요한 것은 기나긴 산통을 보상해줄 성과가 나올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강력한 경쟁자가 많진 않지만, 온라인게임 시장 전체에 짙게 드리운 침체의 암운이 문제입니다. 지난해 국산 온라인게임 신작은 총 33종에 달했는데, 이 중 대부분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사그라졌죠. 모두가 한마음으로 누군가 분위기를 반전시켜주길 고대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블레스’의 선전을 바라는 것이 비단 네오위즈게임즈뿐만은 아닌 셈이죠.
게임메카 ID 베노메론님은 “모처럼 정통 MMO라니까 반갑긴 한데ㅋㅋㅋ 군단 나오기 전까진 이거다”라며 ‘블레스’를 환영했습니다. 여기에 게임메카 ID ZZizil님 또한 “솔직히 초반 젭라 지루.. 일단 쟁할 때까진 참아본다. RvR 강조한 게임이 근래에 있었던가?”라며 RvR이 반가운 눈치죠. 아예 온라인게임 진흥을 위해 잘되었으면 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게임메카 ID 루까성은과학님은 “그 놈의 700억ㅋㅋ 이거도 망하면 모바게로 나오겠지. 제발 잘되라”라며 응원을 보내는군요.
반면에 또 하나의 시대착오적인 게임이 나왔다며 고개를 젖는 누리꾼도 적잖습니다. 정통 MMORPG란 콘셉이 고리타분하다는 의견부터, 온라인게임 자체가 모바일게임에 비해 매력이 떨어진다는 시선도 있죠. 게임메카 ID 쇼타로군님이 “흠 7년간 개발하는게 아니라 7년 전에 바로 나왔어야 승산이 있었을 텐데 이젠 시대가 바뀌었죠”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게임메카 ID 다나와님도 “요새 응팔이 유행하니까 진짜 쌍팔년도.. 아니 2000년대 초 MMO가 나왔네. 이거 하느니 세븐나이츠함”라며 혀를 찼습니다.
‘블레스’를 지지하는 누리꾼들도 대부분 정통 MMORPG가 과거만큼 경쟁력이 없음은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더 이상 주류 장르가 아니기에, 되려 틈새시장을 공략할 여지도 충분하다고 지적했죠. 게임메카 ID ㅍㅍㅅㅅ님이 “타이밍 잘 잡은 듯ㅇㅇ 나무도 불타고 심심했는데 와우 초창기스러움ㅋ”이라며 반가움을 표했고, 게임메카 ID 소유진님도 “한 5년 전에 정말 흔하디 흔한 게임이 이런건데, 이젠 희소가치가 됐네요”라며 동의를 표했습니다.
‘블레스’를 보면 소설 ‘나는 전설이다’가 떠오릅니다. 흡혈귀가 창궐한 LA에서 인류 최후의 생존자 ‘네빌’이 각종 욕구에 번민하며 어떻게든 삶을 이어가는 이야기죠. 이 소설의 결말이 굉장히 섬뜩한데 결국 네빌은 흡혈귀를 신인류로 인정하고 쓸쓸히 죽음을 맞습니다. 과연 ‘블레스’는 MMORPG의 ‘네빌’이 될까요?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반면에 또 하나의 시대착오적인 게임이 나왔다며 고개를 젖는 누리꾼도 적잖습니다. 정통 MMORPG란 콘셉이 고리타분하다는 의견부터, 온라인게임 자체가 모바일게임에 비해 매력이 떨어진다는 시선도 있죠. 게임메카 ID 쇼타로군님이 “흠 7년간 개발하는게 아니라 7년 전에 바로 나왔어야 승산이 있었을 텐데 이젠 시대가 바뀌었죠”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게임메카 ID 다나와님도 “요새 응팔이 유행하니까 진짜 쌍팔년도.. 아니 2000년대 초 MMO가 나왔네. 이거 하느니 세븐나이츠함”라며 혀를 찼습니다.
‘블레스’를 지지하는 누리꾼들도 대부분 정통 MMORPG가 과거만큼 경쟁력이 없음은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더 이상 주류 장르가 아니기에, 되려 틈새시장을 공략할 여지도 충분하다고 지적했죠. 게임메카 ID ㅍㅍㅅㅅ님이 “타이밍 잘 잡은 듯ㅇㅇ 나무도 불타고 심심했는데 와우 초창기스러움ㅋ”이라며 반가움을 표했고, 게임메카 ID 소유진님도 “한 5년 전에 정말 흔하디 흔한 게임이 이런건데, 이젠 희소가치가 됐네요”라며 동의를 표했습니다.
‘블레스’를 보면 소설 ‘나는 전설이다’가 떠오릅니다. 흡혈귀가 창궐한 LA에서 인류 최후의 생존자 ‘네빌’이 각종 욕구에 번민하며 어떻게든 삶을 이어가는 이야기죠. 이 소설의 결말이 굉장히 섬뜩한데 결국 네빌은 흡혈귀를 신인류로 인정하고 쓸쓸히 죽음을 맞습니다. 과연 ‘블레스’는 MMORPG의 ‘네빌’이 될까요? 독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스팀 압긍 받은 ’알리야‘ 유저 한국어 패치 배포
-
2
윙 건담 메르시? 오버워치 2 X 건담 W 티저 공개
-
3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만 지역 제한, 왜?
-
5
[오늘의 스팀] 한국 따돌린 오블리비언, 스팀서 ‘훨훨’
-
6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7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8
[이구동성] 외양간 고치는 철권 8
-
9
배틀필드 신작, 건물 파괴한 후 잔해에 엄폐한다
-
10
가츠가 성역에, 디아블로 4 '베르세르크'와 컬래버
새얀나래2016-01-30 10:53
신고삭제나는 전설이다 소설 아직 안봤는데 기자님한테 스포당함 ㅠ
특공대2016.01.29 18:29
신고삭제엘린의 뒤를 이을 수 있을지..
특공대2016.01.29 18:35
신고삭제○○년 블록버스터가 핵심인가
ㅋㅋㅋ2016.01.29 23:16
신고삭제캐릭도 안 귀여워서 룩덕질도 별로 생활컨텐츠는 갖다버렸고 최적화도 안 됐고 그래픽은 무슨 화질구린 영화 억지로 전체화면으로 늘려놓은 듯함
미란2016.01.30 10:42
신고삭제온라인게임이 너무 없어서 이제는 나오는 것만으로 뭔가 주목이 되네요...그런데 블레스도 초반 분위기가 썩 좋지는 않던데;;;
미란2016.01.30 10:43
신고삭제옛날에 기사 봤을 때 리니지 하던 아재들 노리고 만든 거라는 것을 봤는데...요새 아재들도 복잡한 거 싫어해서 잘 안 하려고 하는데...모바일 rpg 자동이나 돌리고 돈 써서 아이템 뽑는 거 열심히 하실 듯
새얀나래2016.01.30 10:53
신고삭제나는 전설이다 소설 아직 안봤는데 기자님한테 스포당함 ㅠ
CULTIST0012016.01.30 11:48
신고삭제○○년 블락박스터! 예ㅒ아!!!!
부레옥잠2016.01.30 11:49
신고삭제솔직히 블레스 최대 단점은 매력이 없다는 거
그냥 게임이 못만들었다, 잘만들었다 이런게 아니라 너무 수수함
...........뭐랄까 안끌림 그냥
미르후2016.01.30 22:21
신고삭제해 봤지만... 느낌이 없고 뭔가 크게 아쉽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나뿐인가..
Creaby2016.01.31 10:36
신고삭제블레스 클베때 욕먹은 거에 비해선 게임 자체는 나쁘지 않은 데 문제는 내 게임생에 두번보기 힘든 미칠듯한 발적화다;; 와 무슨 게임을 이따위로 만드냐 ㅋㅋㅋㅋ
도톨군2016.01.31 13:34
신고삭제솔직히 10렙까진 별로였는데 하다보니 재밌어요, 다들 다하만 제국편 좀 들어주세요 ㅠㅠㅠ
ㅇㅇㄹㅇ2016.02.01 12:45
신고삭제전장이 재밋지도
전투가 재밋지도
5년전에 나왓어야 할 게임인듯
참신한소재2016.02.01 16:30
신고삭제할만함. 시간 잘때우고 있음 주위에서도 좀 하는 분위기임.
이도케2016.02.01 18:35
신고삭제기대중 ㅎ
xhfptmxhfp2016.02.01 18:54
신고삭제잘봤습니다
PuTa2016.02.02 01:43
신고삭제솔직히 블레스 재밌습니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