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이대로는 안 된다, 여·야 모두 규제 법안 발의
2016.07.04 19:49게임메카 김영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좌)와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우) (사진출처: 공식 홈페이지)
[관련기사]
[뉴스] 정우택 의원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 실효성 의문"
게임업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가 유명무실해진 가운데, 여야가 모두 규제의 칼을 뽑아 들었다.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4일, ‘게임산업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각기 국회에 발의했다. 두 법률안 모두 확률형 아이템의 종류, 구성비율 및 획득 확률 공개를 골자로 한다.
정우택 의원은 지난 19대 국회에서도 확률형 아이템을 겨냥한 게임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일부 확률형 아이템의 경우 사행적인 요소가 있으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현저히 침해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우택 의원의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19대 국회를 넘지 못했다.
이 와중에 유저와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취지로 2015년 7월부터 시행된 게임업계의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잇달았다. 지난 29일 소비자 권리보호 관련 시민단체 녹색소비자연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업계 자율규제 준수율은 2015년 12월 93%를 기록한 이후 되려 뒷걸음질 치며 5월에는 88%까지 떨어졌다.
또한 2015년 7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자율규제를 진행한 총 158개 게임 가운데 17%만이 게임 내에 확률을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83%에 달하는 대다수 게임은 유저가 찾기도 쉽지 않은 ‘대표페이지’를 통해 확률을 발표했다. 158개 게임 또한 대부분 ‘아이템 별 확률’을 정확히 기재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 구간’을 공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처럼 자율규제가 무의미하다는 평가가 일는 와중 정우택 의원은 20대 국회에 다시 한번 ‘확률형 아이템 규제’를 꺼내든 것이다. 정 의원이 내놓은 법률안은 확률형 아이템 판매 시 그 내용물과 획득 확률을 공개토록 하고, 이에 대한 과태료 부과 및 신고 포상금 제도를 규정하는데 중점을 뒀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도 같은 날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을 발의했다. 노 의원의 법률안은 확률형 아이템의 정의를 법률적으로 명확히 하고 최소한의 정보를 ‘게임 안에 공개해 유저들이 쉽게 ‘확률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두 의원의 발의 배경과 입법 목적, 세부사항이 대동소이한 만큼 심사 후 하나의 법안으로 병합 처리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우택 의원은 지난 19대 국회에서도 확률형 아이템을 겨냥한 게임법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일부 확률형 아이템의 경우 사행적인 요소가 있으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현저히 침해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우택 의원의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19대 국회를 넘지 못했다.
이 와중에 유저와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취지로 2015년 7월부터 시행된 게임업계의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잇달았다. 지난 29일 소비자 권리보호 관련 시민단체 녹색소비자연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업계 자율규제 준수율은 2015년 12월 93%를 기록한 이후 되려 뒷걸음질 치며 5월에는 88%까지 떨어졌다.
또한 2015년 7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자율규제를 진행한 총 158개 게임 가운데 17%만이 게임 내에 확률을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83%에 달하는 대다수 게임은 유저가 찾기도 쉽지 않은 ‘대표페이지’를 통해 확률을 발표했다. 158개 게임 또한 대부분 ‘아이템 별 확률’을 정확히 기재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 구간’을 공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처럼 자율규제가 무의미하다는 평가가 일는 와중 정우택 의원은 20대 국회에 다시 한번 ‘확률형 아이템 규제’를 꺼내든 것이다. 정 의원이 내놓은 법률안은 확률형 아이템 판매 시 그 내용물과 획득 확률을 공개토록 하고, 이에 대한 과태료 부과 및 신고 포상금 제도를 규정하는데 중점을 뒀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도 같은 날 ‘확률형 아이템 규제법’을 발의했다. 노 의원의 법률안은 확률형 아이템의 정의를 법률적으로 명확히 하고 최소한의 정보를 ‘게임 안에 공개해 유저들이 쉽게 ‘확률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두 의원의 발의 배경과 입법 목적, 세부사항이 대동소이한 만큼 심사 후 하나의 법안으로 병합 처리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많이 본 뉴스
-
1
스팀 규정 위반, 블루 아카이브 리뷰 이벤트 급히 취소
-
2
닌텐도 스위치 2, 발매 한 달 만에 일반 판매 전환됐다
-
3
락스타게임즈, 레드 데드 리뎀션 3 개발 돌입
-
4
[이구동성] "게임, 대여한 게 아니라 구매한 것이다"
-
5
문명 6 플래티넘 에디션, 에픽서 18일부터 무료 배포
-
6
[오늘의 스팀] 57만 동접이 1만으로, POE 2 침체 계속
-
7
마비노기 모바일이 특허 낸 '우연한 만남' 차별점은?
-
8
15년간 고쳐지지 않은 버그, 드디어 해결한 게임
-
9
부산지하철에서만 한 달 간, 포켓몬 승차권 판매
-
10
출시 6개월 만에, 워게이밍 신작 ‘스틸헌터’ 서비스 종료
sang tea lee2016-07-05 15:00
신고삭제제대로된 컨텐츠를 만들어 게임 경쟁력을 높일 생각은 안하고
확률과 도박으로만 돈 벌려고 한 결과
리니지의 영광은 저물고 시장은 해외에 다 빼앗겼음
하지만 아직도 확률과 도박을 벗어나 양질 컨텐츠로 경쟁할 생각은 안하고 지금 하고 있는 일은
도박장이 망하기 직전까지 단물 빼 먹을 생각만 하고 있으고
한국 시장이 망하면 동남아 중국 시장에서 도박판 벌일 생각만 하고 있으니
게임 회사는 이후 회사들이 줄줄히 망할때 유저 탓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음
ca2016.07.05 00:19
신고삭제무조건 찬성 찬성 대찬성 자율한다더니 그냥 정부엿먹이고 한 푼이라도 더 털어먹을려고함!!!
jihyuck2016.07.05 00:42
신고삭제게임 접할때마다 여기가 도박장인지 짱깨오토들 지옥인지 구분이 안간다
dhdhtp2016.07.05 08:41
신고삭제일본 이번에 규제 강화 시켜는대 일본 꺼 그대로 사용 해야함 ㅎㅎ
진성호구들2016.07.05 13:00
신고삭제본래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건 좋지 않은데, 이건 진짜 법으로 좀 규제해야된다. 뮈친것들이 유저를 봉으로 봐.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6.07.05 14:41
신고삭제게임을 도박장으로 만들어놓고 무슨 오버워치를 잡아. 한국 N5는 진짜 핵폐기물이에요. 한국게임 자체를 이젠 하기가 싫어요. 씨...ㅂ...
sang tea lee2016.07.05 15:00
신고삭제제대로된 컨텐츠를 만들어 게임 경쟁력을 높일 생각은 안하고
확률과 도박으로만 돈 벌려고 한 결과
리니지의 영광은 저물고 시장은 해외에 다 빼앗겼음
하지만 아직도 확률과 도박을 벗어나 양질 컨텐츠로 경쟁할 생각은 안하고 지금 하고 있는 일은
도박장이 망하기 직전까지 단물 빼 먹을 생각만 하고 있으고
한국 시장이 망하면 동남아 중국 시장에서 도박판 벌일 생각만 하고 있으니
게임 회사는 이후 회사들이 줄줄히 망할때 유저 탓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음
Tomato-G2016.07.05 17:55
신고삭제바로 윗 분이 제가 할 말을 다 써주셨네요 동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