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MMORPG만 파는 한국, 글로벌 경쟁력 없다
2019.12.31 10:31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한국에서는 MMORPG가 대세라지만 해외에서는 다른 이야기다. 주요 마켓 매출 TOP10을 살펴보면 한국과 해외는 격차가 상당히 크다. 한국의 경우 MMORPG가 매출 상위 대부분을 빽빽이 채우고 있지만 주요 시장이라 할 수 있는 북미, 일본, 중국은 장르 하나가 마켓을 점령하고 있지도 않고, MMORPG가 10위 안에 이름을 올린 곳은 중국이 유일하다.
12월 29일 기준으로 미국 구글, 애플 매출 1위는 올해 이용자 수 1억 명을 돌파한 샌드박스 게임 ‘로블록스’이며 2위는 ‘클래시 오브 클랜’, 3위는 ‘캔디 크러시 사가’다. 오픈월드, 전략, 퍼즐까지 국내에서 모두 비주류로 통하는 장르다. 여기에 ‘꿈의 집’과 같은 소셜 게임, 수집형 RPG ‘드래곤볼 Z 폭렬격전’, AR 게임 ‘포켓몬 GO’ 등 다양한 장르가 상위에 포진해 있다. 그리고 마켓 상위 10위 안에 MMORPG는 없다.
일본은 현지 인기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게임 다수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일본 애플 앱스토어 최상위권은 ‘몬스터 스트라이크’, ‘페이트/그랜드 오더’, ‘드래곤퀘스트’를 원작으로 한 AR 게임 ‘드래곤퀘스트 워크’가 차지했다. 구글, 애플 게임 매출 상위 10위 중 일본 게임이 아닌 것은 중국 벽람항로와 황야행동 2종밖에 없으며, 매출 10위 중 MMORPG는 단 하나도 포함되지 않았다.
그나마 한국과 성향이 비슷한 곳은 중국이다. 애플 앱스토어 기준 매출 1위는 AOS ‘왕자영요’이며, ‘몽환서유’나 ‘천룡팔부 모바일’과 같은 MMORPG도 있다. 아울러 배틀로얄 게임 화평정영, 음양사 등 수집형 RPG도 이름을 올렸다. 다만 중국은 2년 넘게 굳게 닫혀 있다. 2017년 초부터 한국 게임은 중국에 게임을 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판호를 단 하나도 받지 못했다. 판호 문제는 시급히 풀어야 할 당면과제지만 언제 열린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중국 외 다른 대안을 함께 찾아야 수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내년에 중국 판호가 뚫린다 해도 성공은 보장할 수 없다. 중국 현지에도 수많은 게임이 자리하고 있으며, 개발력도 한국 이상이라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중국이 열린다고 해서 국산 MMORPG가 현지에서 반드시 성공한다고 예상할 수 없으며, 무수한 MMORPG가 한국과 중국이라는 한정된 시장에서 출혈경쟁을 벌여야 한다.
미국, 일본, 중국은 모바일에서 빼놓을 수 없는 3대 시장이다. 올해가 끝나가는 이 시점 3개 지역 매출 상위 현황을 살펴보면 MMORPG가 잠식한 국내와 달리 RPG, 전략, 퍼즐, 소셜까지 다양한 장르가 매출 상위권에 자리하고 있다. 그나마 한국과 비슷한 중국은 당장은 진출할 수 없고, 큰 시장으로 손꼽히는 미국과 일본에서는 MMORPG가 롱런한 사례가 없다.
국내 게임업계는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완전히 체질을 바꿨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싶다면 MMORPG 하나만 깊이 파는 것으로는 답이 없다. 글로벌 시장에서 MMORPG는 주류가 되지 못했고, 국내에서 시도하지 않는 전략이나 퍼즐이 득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렇게 MMORPG만 파는 경향이 강해질수록 다른 장르를 만들어본 경험이 지닌 개발인력도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도 큰 문제다.
여기에 여러 게임사가 MMORPG 하나에 매진하다 보니 국내 모바일 시장은 경쟁이 극도로 심해졌다. 시장 내에서도 MMORPG를 좋아하는 한정된 유저를 두고 게임 수십 종이 다투는 형국이기에 자본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게임을 띄을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12월 31일 기준 구글플레이 게임 매출 상위 TOP 10에 오른 국내 게임사는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펄어비스까지 규모가 큰 업체다. 허리가 없는 업계 상황을 극복하고 싶다면 MMORPG가 아닌 다른 장르로 여러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을 펴야 한다.
유명한 투자 원칙 중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이 있다. 돈을 한 군데 몰지 말고 여러 군데 나눠서 투자하는 ‘분산투자’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이야기다. 이를 게임업계에 빗대어 말하면 장르 분산투자가 필요하다. 국내 주류 MMORPG를 가져가되, 다른 장르도 계속 시도해서 게임을 시장에 내놓으며 완성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래야 글로벌 진출도 좀 더 힘을 받을 수 있고, MMORPG 유행이 꺼졌을 때도 다른 장르에서 쌓아둔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부드럽게 사업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내년에는 국내 게임업계에도 MMORPG 올인이 아닌 장르 분산투자가 일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력 회복은 먼 이야기가 될 수밖에 없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4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5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6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7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8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9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10
스트리트 파이터 6와 에스파 컬래버, 주리 신의상 추가
강혜빈2020-01-01 03:05
신고삭제국내 시장에서 게임이라고 부르는것들이 죄다 양산형이고 중국에서도 들어오는게 양산형, 이게 게임이냐? 국내라도 어느정도 괜찮은게 있다지만 중국은 애초부터 게임성이나 게임 준비성 아무것도 없고 광고만 봐도 이건 거의 사기수준으로 없는것들을 만들어서 광고함 ...
결론을 이야기 하자면 다른 나라는 다른 나라의 장단점이 있지 ㅡㅡ
karengj2019.12.31 13:27
신고삭제한국시장이 문제인 이유. 인구수가 부족해서 소수 호구룰 붙잡아야 본전은 챙기기 때문에 게임성이 있는 겜보다는 현질 유도겜이 잘나감.
v123321v2019.12.31 13:51
신고삭제(한국은 잘팔리지만) 해외에서는 안팔린다, 글로벌경쟁력이 없다
같은말이구만...
같은게임 글로벌 출시 한다고 팔릴것같진 않은데...
악마이2019.12.31 13:51
신고삭제뿅맛을 한번 맛 보면 헤어나오질 못하는거죠. 다른 장르 만들면 전서계 수익 다 합쳐도 천만원이면 엠엠오는 국내 수익만 일억이라면 뭐 ㅎㅎㅎㅎ
미르후2019.12.31 23:55
신고삭제자기 나라마다 특성과 취향이 타는 것인데... MMORPG가 잘못 되었나 싶을 정도로 글을 쓰네... 기자양반아! 좀 생각 좀 하자! 한국이랑 외국이랑 같냐? 좀 생각좀! 한국의 고질적인 문제는 장르가 아니라 양산형이라는 점이야 이 양산형을 꼬집었다면 공감을 얻을텐데.. 아이러니 하네
bboongya2020.01.01 01:19
신고삭제외국은 데이터 쓰는데로 돈이 나가요. 그래서 데이터 적게먹는 게임 하는거죠. 데이터 초당위로 나가는데 자꾸 팅기거나 대용량 업데이트 자주하는 모바일 게임은 안하는거 같아요.
강혜빈2020.01.01 03:05
신고삭제국내 시장에서 게임이라고 부르는것들이 죄다 양산형이고 중국에서도 들어오는게 양산형, 이게 게임이냐? 국내라도 어느정도 괜찮은게 있다지만 중국은 애초부터 게임성이나 게임 준비성 아무것도 없고 광고만 봐도 이건 거의 사기수준으로 없는것들을 만들어서 광고함 ...
결론을 이야기 하자면 다른 나라는 다른 나라의 장단점이 있지 ㅡㅡ
Dessert2020.01.02 23:36
신고삭제게임의 끝은 mmorpg가 맞다고 본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정작 내용물은 부실한거지. 다른게임들은 집중해거 실을 챙기는데 국내는 허만 가득라고 실이 없으니 수익은내야겠고 키트만 나오는거지. MMORPG가 최고의 장르라고 생각하나 그걸 실현할 돈도 능력도 없는게 한국의 현 상황이지. 그만큼 완성도 있게 만드는 것 자체가 힘든 장르이기도하구.
원군2020.01.04 11:38
신고삭제국내와 국외의 게임시장이 다르다는 것 정도는 팩트인듯. 국내에서 mmorgp만 판다는 것은 반만 팩트인듯. 서머너즈워 같은 수집형 rpg도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 어느정도 알려진 사실이고 국내 mmorpg의 경우 해외에서도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게임들이 있는데 너무 비관적으로만 생각하신듯하네요. 국내 게임에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부족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유지될 수 없는 원인이 있을텐데 제작하지 않는 게임사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더 깊이있는 기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원군2020.01.04 11:40
신고삭제아. 그리고 해외시장이라는 영역을 꼭 미국과 일본, 중국으로만 보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월드 오브 드레곤네스트의 동남아 시장 진출에 관한 기사도 있네요.
ProTech2020.01.04 11:50
신고삭제한국시장은 도박 뽕맛 때문임. 도박에 취해 있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RPG라고요? RPG가 아니라 그냥 도박이예요.
RPG는 성장이 전부가 아니예요. 성장은 자신이 플레이 하고 있는 캐릭터의 역할을 알아가는 과정일 뿐이지,
보통 한국형 RPG라고 하면 성장이 전부예요. 한국형 RPG에서 올인하고 있는 레이드도 결국 성장을 위한거니까요.
딱 보면 그래요. 수십만~수십억 대의 도박을 하는 것도 결국 성장을 위한 수단이죠.
RPG는 역할 수행 게임이지, 성장게임이 아니예요. 그래서 한국형 RPG는 안 해요.
제가 일본형 RPG인 TRPG를 싫어하는 편인데, 한국형 RPG는 더욱 그래요.
askmsas2020.01.06 23:18
신고삭제우리나라는 핵과금 소수유저가 겜회사 먹여살림 그래서 다수의 소중과금유저나 무과금유저를 위해서 겜을 만들면 손해임...겜회사도 먹고 살아야지! 그러니 핵과금 유저가 문제지만 핵과금유저는 계속 과금할테니 계속 이런식으로 만들듯!
yang8119812020.01.08 10:20
신고삭제게임 장르의 다양성이 없으니 발전은 커녕 호구들 돈빼먹는 사기 기술만 늘어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