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게임광고] 영화 팜플렛 보는 느낌, 화이트데이
2020.05.04 15:40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한국 게임의 성숙기였던 1990년대를 기억하십니까? 잡지에 나온 광고만 봐도 설렜던 그때 그 시절의 추억. '게임챔프'와 'PC챔프', 'PC 파워진', '넷파워' 등으로 여러분과 함께 했던 게임메카가 당시 게임광고를 재조명하는 [90년대 게임광고] 코너를 연재합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90년대 게임 광고의 세계로, 지금 함께 떠나 보시죠.

국산 호러게임 대표작을 꼽는다면, 아마 십중팔구는 손노리의 화이트데이, 정확히 말하자면 그 첫 작품인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을 뽑을 겁니다. 사일런트 힐이나 바이오하자드 등 서양적 공포가 아니라 한이 어린 한국적 귀신이 나오고, 그보다 더 무서운 수위가 출연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이처럼 색다른 시도와 높은 완성도로 주목을 받았지만, 불법 다운로드의 희생양이 된 비운의 작품이기도 합니다.
2001년, 손노리는 화이트데이를 출시하며 기대감을 끌어올리기 위해 색다른 방식의 광고를 시도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게임 광고는 메인 포스터나 게임 화면, 타이틀명과 게임 소개 등이 섞여 있는 구성인데, 화이트데이는 마치 공포 영화 팜플렛과 같은 심플한 느낌의 광고를 실었습니다. 실제로 제작진은 게임 제작에 있어 영화 여고괴담, 주온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는데, 광고 역시 공포게임 특유의 미묘한 분위기를 전달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광고는 제우미디어 PC파워진 2001년 6월호에 실렸습니다. 어두운 교실에서 여주인공 한소영이 관찰자 쪽을 바라보며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얼핏 평범한 미소녀 일러스트 같지만, 낡은 책걸상과 나무판자로 된 교실 바닥, 군데군데 열려 있는 사물함, 묘하게 창백하면서도 미스터리해 보이는 한소영의 미소가 말로 할 수 없는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일러스트 외에 1면에 나온 정보는 굉장히 단순합니다. 게임의 장르를 설명하는 ‘심령 학원 생존 게임’과 이를 뒷받침하는 메인 문구 ‘도망쳐라, 탈출하라, 살아남아라’, 맨 아래쪽의 배급사 위자드소프트와 개발사 손노리 표기 정도가 다입니다. 대신, 2면에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실었습니다. 실제 게임 스크린샷과 특징 등을 묘사했는데, 전반적으로 영화관 앞에 있는 영화 소개 팜플렛과 비슷한 구도입니다.

PC파워진 2001년 8월호 잡지에 실린 광고도 같은 구성입니다. 역시 메인에는 한소영이 나와 있는데, 두 달 전 광고와 분위기가 사뭇 다릅니다. 어두운 학교에 홀로 서서 관찰자를 바라보는 건 똑같은데, 미소는 온데간데없이 멍하고 창백한 표정입니다. 흡사 귀신이라도 들린 듯한 표정인데, 대체 왜 이런 장면이 나오는 것인지 궁금하게 만듭니다. 2면의 게임 소개는 위와 비슷하니 생략합니다.

PC파워진 2001년 10월호에는 메인 모델이 바뀌었습니다. 안경 단발소녀인 설지현이 교실에 앉아 있네요. 이전까지 불 꺼진 교실을 배경으로 한 것과 달리, 이번 포스터는 방과후로 보이는 밝은 교실입니다. 게임의 배경이 3월 13일 한밤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아마 이 장면은 본격적인 사건이 일어나기 전, 낮 시간대가 아닐까 싶습니다. 주연급 캐릭터들을 하나씩 조명하는 점에서도 영화 팜플렛 같은 느낌이 확 사네요.
참고로 왼쪽 위에는 '왕리얼 엔진'이라는 엔진명이 쓰여 있습니다. 이 엔진은 당시에도 세계 최고 엔진 중 하나였던 언리얼 엔진의 이름을 패러디한 손노리 자체 3D 게임엔진인데요, 엔진 개발팀이 속한 이들이 나중에 분사한 것이 바로 엔트리브입니다. 이후 엔트리브는 왕리얼 엔진을 개량해 온라인 골프 게임 팡야를 개발했습니다. 왕리얼이라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손노리틱한 B급 유머 감각이 묻어나오네요.

2면 게임 소개도 미묘하게 바뀌었습니다. 스크린샷과 함께 나오는 게임 설명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시놉시스가 눈에 드려지는데요, ‘심야의 학교에 삼켜진 당신과 그녀, 연두고교에 안전한 장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스터리의 조각들을 짜맞추어 진실을 밝혀내라’는 말만 들어도 화이트데이가 어떤 게임인지 알 수 있습니다.

네 번째 광고는 PC파워진 2001년 11월호에 실렸습니다. 게임의 진주인공이라 불리는 수위 아저씨가 메인에 서 있습니다. 본인의 임무에 충실하게, 불 꺼진 학교를 순찰하는 멋진 모습이네요. 모자를 쓴 것으로 보아 신관 경비를 맡는 신수위 아저씨로 보이는데, 대머리 이수위 아저씨보다는 기괴함이 조금 덜하지만 모자 때문에 더 무서워 보이는 인물이었습니다. 참고로, 원작에서 수위 아저씨들의 성우는 마비노기와 마영전, 듀랑고 등을 개발한 이은석 PD가 맡았다고 합니다.
영화 팜플릿을 연상시키는 화이트데이 광고는 게임 지면광고가 거의 없어진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형식입니다. 대신 최근에는 영화 예고편 버금가는 트레일러 영상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만약 화이트데이가 지금 시기에 출시됐다면 완성도 높은 예고편 영상을 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기대도 해 봅니다. 여러모로 화이트데이 2: 스완송의 개발 중단 소식이 아쉽네요.
Kamile2020-05-04 16:20
신고삭제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은 광고면이였네요.
Kamile2020.05.04 16:20
신고삭제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은 광고면이였네요.
앗싸가오리2020.05.04 17:03
신고삭제손노리... 진짜 대단했었는데...
그리고 화이트데이는 진짜... 국내 제작 공포게임 중 원탑이 아니었나 싶네요. 그 외에 뭐가 있었는지도 모르겠지만...
루드비히2020.05.04 17:14
신고삭제국내 공포겜계의 희망
엉클베리2020.05.04 18:07
신고삭제재미있었는데 후속작이 안 나오는게 아쉽네요
리키마루2020.05.04 18:12
신고삭제20년이 지났는데 후속작이 과연 나올려나!!
WATAROO2020.05.05 19:08
신고삭제개발취소됨
은하2020.05.04 18:57
신고삭제고전 명작
데세르비르2020.05.04 20:31
신고삭제디아블로2가 눈이 확들어오내요 화이트데이 언제보아도 잘만든 공포게임 화이트데이보면 꼭 여고괴담이 생각이나내요 ㅎㅎ
모노블로스2020.05.04 21:49
신고삭제화이트데이는 정말 직접하긴 무섭지만 보는 맛은 좋은 게임.. 흙.. 혼자는 못하겠어 ㅠㅠ
야구몰라요2020.05.04 22:01
신고삭제저때 화이트데이가 진짜 무서웠는데
리마스터버전은 무서움이 조금 덜한느낌이었죠..
그러고 보니 2001년이 우주먹튀 영입했던 시절이었네요
meath2020.05.04 23:03
신고삭제지금도 수위의 쫓아오는 발소리가 들리는듯...한국 게임사의 명작이었지요.
아이쿠루2020.05.04 23:37
신고삭제적절한 때 등장하는 미궁 음악이 참 소름 돋았죠.
썩은빵2020.05.05 04:53
신고삭제화이트데이 그때 정말 대단했지
WATAROO2020.05.05 08:07
신고삭제음.. 근데 아직도 화데2 소식이 없는건?
오늘하루2020.05.05 08:25
신고삭제수위아저씨는 굳이 광고에 안 써도 됐을것 같은데
해빌2020.05.05 09:13
신고삭제저때 공포게임의 대명사!? 화이트데이 군요 ㄷㄷ
해보진 못해도 명성은 자자 했던데...
주니엘2020.05.05 09:48
신고삭제추억 돋네용~!
hst1112020.05.05 12:26
신고삭제지금 봐도 손색이 없는 광고에 게임이었죠 국내에서 나온 공포게임이었죠
solrain2020.05.05 15:00
신고삭제올 여름에 다시 한번 해봐야겠어요. 음악이 ..
불꽃의마녀2020.05.05 15:06
신고삭제그립네요
오펜하이머2020.05.05 15:23
신고삭제정말 무서우면서도 재미있는 게임이었지요
미친소2020.05.05 16:09
신고삭제지금봐도 촌스럽지 않고 게임도 명작이고!
난나얌2020.05.05 17:18
신고삭제공포게임하면 화이트데이였죠 ㅎㅎ...
술새우2020.05.05 20:49
신고삭제무섭게 했던 게임
진짜강백호2020.05.06 00:36
신고삭제저때가 좋았다?!
유야2020.05.06 02:27
신고삭제저 때는 진짜 대단했는데... 지금은 많이 아쉽죠.ㅠㅠ
월군2020.05.06 09:18
신고삭제옛날광고를 보니 오히려 신선하네요.
카리2020.05.06 10:11
신고삭제지금봐도 어색하지 않네요 오히려 리마스터 버전보다 나은 것 같기도...
진지보이2020.05.06 10:27
신고삭제저 게임은 잘 만든거 같음. 제 생각이지만..
멕흐로2020.05.06 11:17
신고삭제시간이 정말 많이 흘렀지만 촌스럽다는 생각이 안드네요. 저때부터 쭉 승승장구했다면 한국게임계에 큰 획을 그었을지도 모를텐데 아쉽습니다.
pokemon2020.05.06 15:49
신고삭제화이트데이광고 지금봐도 무섭습니다 ㄷㄷㄷ
이게 진짜 광고지! 라는 소리가 나올정도로 무서운테마를 잘살린 그런 광고인것같습니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