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환불 악용에 운 인디게임 개발자 '업계 떠난다' 선언
2021.08.30 14:46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구매 2주 안에, 2시간 미만으로 즐긴 게임은 무조건 환불해주는 스팀 정책을 악용하는 게이머들로 인한 폐해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게임메카는 앞서 2시간 내 짧은 게임을 출시한 개발자가 엔딩을 본 후 환불한 유저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는 기사를 보도한 바 있다.
최근에도 비슷한 사건이 일어났다. 지난 7월 22일 스팀을 통해 출시된 공포 인디게임 '썸머 오브 58(Summer of 58)'이다. 이 게임은 스팀에서 '매우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는 공포 게임으로, 1958년 소련의 버려진 수용소 건물에서 일어나는 무시무시한 일들을 다룬다.
이 게임은 짧고 굵은 공포를 위해 플레이타임을 짧게 설정했다. 설명에 따르면, 게임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90분이다. 이러한 요소가 호평을 받아 스팀 평가는 8월 30일 기준 '매우 긍정적(505개 리뷰 중 90%가 긍정적 평가)'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짧은 플레이시간을 악용해 재빨리 엔딩을 본 후 환불하는 유저들이 잇따랐다. 이에 1인 개발사 에미카게임즈(Emika Games)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저는 무기한으로 게임업계를 떠납니다. 저희 게임은 플레이타임이 2시간에 채 못 미치는 게임입니다. 이를 이용해 아주 많은 수의 환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긍정적 리뷰를 남긴 사람들에게서도 말이죠. 그래서 새 게임을 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히며 예정됐던 차기작 출시 역시 '가까운 미래'로 보류했다.

지난 4월에도 같은 일이 벌어졌다. 웹캠을 사용해 눈을 깜박이는 것만으로 즐기는 게임 '비포어 유어 아이즈'는 '압도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몇 개의 긍정적 리뷰 위에 '환불받았습니다' 라는 표시가 뜨며 논란을 샀다. 이에 개발자는 "짧은 게임은 더 많아져야 한다. 이를 위해 짧은 게임들은 환불을 지원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며 스팀 환불 정책을 비판했다.
스팀의 환불 정책은 미지의 게임을 진짜로 구매할 지 충분한 시간을 두고 판단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AAA급 대작 게임부터 짧고 굵게 즐길 수 있는 인디게임에까지 '2주 2시간'이라는 정책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논란에는 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대작 제치고 1위, 깜짝 신작 '스케줄 1'
-
2
유저 모드 위해, 크래프톤 ‘인조이’ 데누보 적용 취소
-
3
[오늘의 스팀] 인조이, 출시와 함께 전세계 판매 1위
-
4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5
인조이, 게임 초반 놓치기 쉬운 ‘꿀팁’ 7선
-
6
‘사이버펑크 고’ 나오나? CDPR-스코플리 협력 발표
-
7
축구공으로 때린다, 호날두 '아랑전설' 캐릭터로 등장
-
8
[오늘의 스팀] 폴아웃 풍 신작 아톰폴, 평가 ‘매긍’
-
9
어크 섀도우스, 유비식 오픈월드는 버려야만 한다
-
10
마비노기 모바일, 할머니가 떠먹여주는 RPG
탄소2021-08-31 19:49
신고삭제플레이타임 2시간 미만 뿐만 아니라 스팀의 업적이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그 업적의 일정 퍼센트 이상을 달성하면 환불을 못하게 끔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개발자는 진행상황에 맞게 업적달성을 배치하고 스팀 측은 개발자가 업적을 악용하디 못 하게 꼼꼼히 검수하고 서로 조금만 조율한다면 좋은 해결방안이지 않을까요
소여2021.08.30 18:17
신고삭제스토리를 일정이상 본 세이브파일이 있으면 체크해서 환불불가 처리해야한다.
겸직 프로듀서 소프트케이2021.09.04 15:13
신고삭제이미 업적이라는 위대한 시스템이 있잖아요. 그걸로 시스템 상에서 환불 불충분 조건을 담아주면 좋겠네요.
근데 막상 걸어버리면 모든 개발사가 초반에 다 걸어버릴 것 같아서 우려되네요. 무작정 만든다고 다 OK가 아니라는 게 좀 아쉽네요.
미르후2021.08.30 19:50
신고삭제환불 시스템 개선 해야지..
meath2021.08.30 23:29
신고삭제환불시스템을 악용한다는걸 뻔히 알고 있는데 대책마련을 강구해 주는게 필요하다고 보여지는군요. 개발자가 자선사업하는것도 아니고 게임개발비용은 기본이고 차기작을 위한 금액도 만만치 않을텐데 환불악용으로 수익을 낼수 없이 사라져 간다면 좋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차기작을 내지 못하고 사라지는 이런 경우가 앞으로도 빈번히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jetjet2021.08.31 02:46
신고삭제신작 제작을 가까운 미래로 미룬 게 아니라 가까운 미래엔 안 나올 거라는, 즉 무기한 보류라는 얘긴데... 대충 생각해도 게임 일 접는다는 사람이 왜 가까운 미래에 차기작을 내겠음ㅋㅋ
needle****2021.08.31 06:09
신고삭제스팀 환불 규정이 어제 만들어진 것도 아닌데, 굳이 2시간 플레이 타임 이내로 게임을 만들겠다고 고집부리는게 더 이상한 것 아닌가? 짧고 굵게? 글쎄. 억지로 플레이타임을 늘리는 짓을 하지 않더라도, 90분짜리 플레이타임을 에피소드 하나로 만들고 다른 에피소드 몇개를 더 추가해서 대신 좀 더 높은 가격으로 게임을 내놓는 식으로 접근했으면 간단한 것 아닌가? 그럼에도 자신의 고집 때문에 환불규정을 바꾸자고? 그럼 반대로 스팀 평가 좋은 것만 보고 어떤 게임을 구입했는데 스팀 평가는 너도 당해봐라 식의 낚시(실제로 스팀 평가보면 고의라기보다는 평가시의 체크 실수인 듯 내용은 부정인데 긍정 평가로 잘못되어있는 경우 혹은 그 반대 경우도 허다하다)였고 2시간도 안되서 게임이 용두사미로 덜컥 끝나버렸는데 어이가 없어서 환불받으려고 하니 엔딩봤다고 환불 못받게 하면 그건 정당한가?
정태준2021.08.31 14:06
신고삭제그럼 엔딩 본 게임을 환불 받는건 정당하고? 인디게임 회사는 대부분 플레이 타임을 짧게 잡기도 하고 유저들이 지루할 것을 염려하여 게임의 플레이 타임을 적게 만들기도 한다. 영화가 3시간 정도되면 지루 할 수 있는 것 처럼. 작품의 모든 것을 보고선 돈을 돌려 받으려 하는 건 정당한가? 그럼 반대로 게임의 평가가 좋아서 2시간 만에 엔딩을 보고 상당히 재미있게 즐겼어도 2시간 만에 환불 받으면? 그건 정당한가? 그럼 반대로 억지로 2시간 미만의 게임들이 어제 만들어진 것도 아니고 강제로 횐불시키는 스팀정책도 변경될 필요성이 있는 것 아닌가? 최소한 게임의 플레이 타임은 유저가 정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겸직 프로듀서 소프트케이2021.09.04 15:04
신고삭제유튜브에서 “환불런” 이라는 소리를 들어본 것 같다. 콘텐츠 확 뽑아내고 스팀 약관을 이용해 2시간 이내로 환불하는 것 까지가 목표가 된 콘텐츠였다.
솔직히 게임을 다 즐겨놓고 수익 창출까지 하는 사람이 게임 환불까지? 놀이공원에서 놀이기구 입장권 사서 안전하게 다 타고 나왔으면서 환불해 주는 걸 본 적이 있는가? 평점도 5점까지 줬으면서 환불을 했다면 “게임은 정말 재미있지만 나는 돈 한 푼 쓰고 싶지 않다”는 매우 강력한 의지라고 밖에 보이지 않는다.
탄소2021.08.31 19:49
신고삭제플레이타임 2시간 미만 뿐만 아니라 스팀의 업적이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그 업적의 일정 퍼센트 이상을 달성하면 환불을 못하게 끔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개발자는 진행상황에 맞게 업적달성을 배치하고 스팀 측은 개발자가 업적을 악용하디 못 하게 꼼꼼히 검수하고 서로 조금만 조율한다면 좋은 해결방안이지 않을까요
아이쿠루2021.09.01 00:00
신고삭제전에 다른 게임도 엔딩까지 플탐이 2시간이 안 되니 다 깨고 환불하는 일이 있던데,
이건 좀 개선이 필요하겠네요
104****2021.09.01 00:09
신고삭제스팀환불정책을 고려해서 만들지 않은 인디게임사에도 잘못이 있지않을까
리버스2021.09.01 02:20
신고삭제솔직히 멍소리지. 게임이라면 최소한 2시간이상의 컨텐츠를 내야하는건 너무나 당연한 상식 아닌가? 빼애액 난 그런거 싫단 말야!! 단비꺼야!! 이러고 있는데 무슨 정당성을 가진거 마냥 주장해.
짧게 만들어 쏙쏙 골라먹고 싶었겠지. 근데 생각대로 안되니?
단비꺼야!!!! 빼애액
무협객2021.09.01 13:46
신고삭제환불 시스템 예전부터 말이 많았죠. 대부분 빠르게 즐기고 환불해야 겠다 이런 생각하는 사람들 많은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