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크리틱과 스팀 리뷰, 절대적 게임 지표 됐다
2025.02.03 15:53게임메카 김형종 기자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5,980 View
쏟아지는 신작 홍수 속에서 게이머들의 선택 기준도 점점 더 객관적이고 데이터 중심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스팀(Steam) 유저 평점과 메타크리틱(Metacritic) 전문가 평점은 현세대 게이머들이 가장 신뢰하는 평가 지표로 자리 잡았다. 각각 유저 평가, 전문가 평가라는 다른 지평에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고, 게이머들은 이를 통해 신작 게임의 품질을 판단한다.
우선 스팀은 PC게임 최대 유통 플랫폼이며, 게임을 구매하고 평가를 남기는 기능을 지원한다. 스팀 유저 평점은 가장 긍정적인 리뷰 비율이 높은 '압도적으로 긍정적'부터 '매우 긍정적', '긍정적', '복합적', '부정적', '매우 부정적', '압도적으로 부정적' 평가를 정량화한다. 평점은 게임 출시 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며, 날짜별 리뷰 수를 확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스팀 유저 평가는 실제 유저 경험에 기반해 신뢰도를 구축한다. 실제 게임 구매자 및 플레이어 의견을 반영하는 만큼 경험적이고 현실적이다. 또한 가장 많은 유저들을 보유한 플랫폼인 만큼 데이터의 규모도 방대해 통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 리뷰어의 플레이 시간도 표시되는 만큼 투명성도 확보된다.
여기에 더해 실시간 유저 여론이 즉각 반영된다는 장점이 있다. 출시 직후 버그나 기술적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평점이 하락해 게임의 현재 상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날짜별 리뷰 그래프를 통해 특정 기간 문제가 발생했거나, 긍정적인 이벤트가 있는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유저들이 상세한 리뷰를 남길 수 있어 게임의 장단점이 구체적으로 서술되는 점도 장점이다.
반면 유저 평가인 만큼 평점이 오염되거나 왜곡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무료게임의 경우 모두가 리뷰를 남길 수 있어 리뷰 테러와 오염에 취약하다. 유저들이 게임 외부 사안, 예를 들자면 개발사의 논란 등에 감정적으로 반응해 게임 자체에 대한 평가가 왜곡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출시 초기 평가 편향도 무시할 수 없다. 출시와 함께 발생한 서버 문제, 기술적 오류, 버그 등에 대한 혹평이 고쳐진 뒤에도 게임 평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반대로 게임 자체의 품질과 무관하게 장르나 IP 팬덤이 몰려 긍정적인 평가를 기록하는 경우도 나온다.
스팀 유저 평가와 함께 게임 평가에서 양대 산맥을 이룬 메타크리틱 평점은 유저들이 아닌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다양한 게임 매체와 전문 평론가들이 매긴 100점 만점의 점수 중 평균점수를 제공한다. 전문가 의견을 집계하는 만큼, 게임의 기술적 완성도와 예술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메타크리틱 평점은 비교적 게임 산업에 이해도가 깊은 전문 평론가 집단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신뢰도를 확보한다. 메타크리틱에 점수를 등록할 수 있는 매체는 한정되어 있으며, 비단 점수뿐만 아니라 게임에 대한 상세한 리뷰 또한 필수다. 리뷰를 위해서는 충실한 게임플레이가 요구되는 만큼, 체험에 기반한 객관성도 보유한다.
특히 게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제공되는 부분이 메타크리틱 평론가 평점의 장점이다. 상세한 리뷰를 통해 그래픽, 사운드, 플레이, 스토리 등 여러 요소가 함께 평가된다. 각 전문가별 게임에 대한 통찰이 담기는 점 역시 메타크리틱 평론가 점수의 특징이며, 다수의 평점을 종합하기 때문에 일부 전문가나 매체가 범할 수 있는 오류와 편향도 최소화된다.
반면 유저 경험과 평론가 평점의 괴리는 지속적인 문제로 지적됐다. 대표적인 사례인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에서 확인할 수 있듯, 예술성이나 철학에 치우친 평론은 많은 유저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리뷰 자체는 자세하지만, 이를 종합한 평균 점수가 최상단에 표시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순화되거나 획일화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기술적인 버그나 오류에 대한 내용이 적고, 특히 출시 초기 최적화 문제를 거의 다루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주로 평론가 집단이 고사양 PC와 콘솔로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게임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를 가정해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반면 유저는 실제 게임의 작동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평론가와 괴리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일부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스팀 유저 점수와 메타크리틱 전문가 평점은 현재 대체 불가능한 게임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각각 유저 경험과 전문가의 평가라는 두 가지 방향성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에 기반한 신뢰도를 쌓고 있으며, 개인의 주관에 의해 흔들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편향성이 적다. 특히 두 지표를 절절하게 함께 활용하면, 게임의 품질을 다각도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향후 게임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게이머의 지지를 받는 새로운 평점 시스템이 등장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전까지는 스팀 유저 평가와 메타크리틱 평론가 점수가 유저, 개발자, 평론가 모두에게 신뢰할 수 있는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많이 본 뉴스
- 1 오버워치 2의 ‘전례 없는 혁신’ 13일 발표된다
- 2 ‘몰겜’ 해볼까? 스팀 방치형 게임 할인 2월 4일 시작
- 3 트레버 성우 "GTA 6 초반에 트레버 죽으면 재밌을 것"
- 4 [이구동성] PSN 연동 강제해서 미안미안해
- 5 이번에도 친구는 무료, 잇 테이크 투 개발사 신작
- 6 [순정남] 둠이 왜 여기서 또 나와? TOP 5
- 7 [매장탐방] 싸늘한 매장에서 ‘무쌍’ 찍은 진삼 오리진
- 8 [오늘의 스팀] 최적화에 발목, 날지 못한 스파이더맨
- 9 3월에 만나요, 마비노기 모바일 출시 시동
- 10 [순위분석] 이제는 도전자, PoE 2 쫒는 디아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