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드디어 공개된 Xbox One, 반응이 왜 이래
2013.05.24 18:03게임메카 장제석 기자
메카만평


관련기사: 홈 엔터테인먼트를 하나로, MS 'Xbox One' 최초 공개!
관련기사: 차세대 콘솔 Xbox One, 전작 Xbox360과 게임 호환 없다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차세대 게임기 Xbox One(이하 엑박원)이 마침내 공개됐습니다. 게이머들 입장에서는 Xbox360 발매 이후(2005년 11월) 8년만에 나온 새 기기이기 때문에 관심이 뜨거웠는데요, 어찌된 셈인지 막상 뚜껑이 열린 이후 반응은 생각보다 냉담합니다. 헉, 무슨 큰 이유가 있기 때문일까요?
우선 이번 '엑박원'은 모든 엔터테인먼트를 하나로 통일한 '올인원 시스템'을 테마로 하고 있습니다. 즉, 거실에서 모든 엔터테인먼트 행위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거죠. 게임을 하면서 TV를 보고, 또 영화를 보거나 음악을 듣고, 그러다 심심하면 친구와 영상 통화를 하는 등 말 그대로 'ONE'입니다.
게이머들이 가장 궁금해했던 스펙은 옥타코어 CPU와 8GB RAM(DDR 3), 500GB HDD, USB 3.0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내장돼 있습니다. '엄청난' 스펙을 기대했던 게이머들에게는 다소 아쉬운 수준이고, 당장 플스4에도 밀리기 때문에 아쉽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그러나 MS가 게임보다는 엔터테인먼트를 테마로 한 만큼, 이 부분은 더 지켜본 후에 올바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네요.
이번 '엑박원'은 방향성 자체만 놓고 보면 혁명보다는 진화에 가깝습니다. '차세대'라는 단어에서 뿜어지는 아우라를 보면, 당장 솜털 하나하나까지 보이는 고퀄리티 그래픽 등 각종 테크놀러지의 수혜를 받아낼 것처럼 보이는데요, MS 입장에서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다고 본 게 아닐까 싶네요. 때문에 시장상황이나 변화 등을 고려해 기존의 '게임'을 '엔터테인먼트'로 묶어 거실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그래픽이나 기술적 지원 등 게이밍에 대한 혁명은 없어 보이지만, 큰 그림에서 진화로 해석할 수 있는 이유죠.
그러나 이러한 MS의 선택은 기존 콘솔에 익숙해 있던 '게이머'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기 충분한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MS가 그간 수많은 게임 개발사들과 호흡을 맞춰온 만큼, 허들을 높여 이들과 함께 '더 멋진 게임'을 만들어가는 파트너사가 되길 바라는 마음도 컸겠죠. 그런데 결과물을 보니 스펙은 부족하고 그렇게 원했던 타이틀까지 빈곤하니, 게이머들은 이해가 안 될 수밖에요. 게다가 타이틀에 계정을 귀속해 중고거래까지 완전히 봉쇄하겠다는 의사를 비추기도 했으니, 앞으로 비난은 계속될 거 같습니다.
게임메카 독자 분들의 의견은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요, 우선 ID 전준환 님은 "XBOX ONE..이제 PC는 일할때나 쓰는 물건이 되는 시간이 다가오는 듯"이라며 '변화'의 의미를 짚어주셨고, ID 오니이짱 님은 "os가 윈도우8인걸 보면 pc게임과 연동가능하게 한게 아닐까 내심 기대해봅니다. 스펙은 흠잡을곳이 없는데 가격이 궁금하네요. 50 넘으면 안될텐데"라며 '엑박원' 자체에 대한 기대를 크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물론 반대 의견도 있습니다. ID stella 님은 "플스4나 기다려봐야겠다... 미친 저건 양키들한테 통할지몰라도 우리나라는 저 기능 반도 못쓸거야. 영어 음성인식 바꾸는게 잘될지도 모르겟고.. 한국마소가 우리나라방송사랑 협업을잘할까? ㅋ더 크리티컬한건 ㅋㅋ tv잘되는게임기로 나오면 뉴스 많이 뜨겠네 ㅋ 이제 티비에서도 게임중독 심각!"이라면서 이번 '엑박원'을 다소 회의적인 시각으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엑박원' 반응이 어수선하자, 이제 대중의 관심은 플스4로 쏠리고 있습니다. 스펙이나 타이틀만 봐도 '그래, 그래도 너는 우리를 배신하지 않았어'라는 마음이 증폭됐기 때문이지요. 물론 플스4 역시 다른 이유로 팬들을 실망시킬 수 있겠지만, 그래로 결과는 지켜봐야겠죠. 더 많은 이용자 끌어모으기를 목표로 WiiU를 내놓은 닌텐도가 무너진 상황에서, 앞으로 엑박원과 플스4가 어떤 대결구도를 만들어갈지 궁금하네요.
오랜만에 E3가 기대되는군요. 이후 이구동성 코너에서 또 한번 차세대 게임기를 주제로 다룰 수 있게 된다면, 그 때에는 세 업체의 경쟁 구도와 함께 '게임'의 의미를 다시 한번 짚어보도록 하죠.
▲ 눈물나는 상황, 그래도 결과는 발매된 이후에 다시 보도록 하죠
많이 본 뉴스
-
1
스팀 압긍 받은 ’알리야‘ 유저 한국어 패치 배포
-
2
엔씨소프트, 언리얼 엔진5로 차세대 리니지 만든다
-
3
윙 건담 메르시? 오버워치 2 X 건담 W 티저 공개
-
4
[오늘의 스팀] 그저 사진 찍을 뿐인 게임, 호평 이어져
-
5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6
[순정남] 이쯤 되면 핵 아냐? 논란의 하드웨어 TOP 5
-
7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8
[이구동성] 외양간 고치는 철권 8
-
9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10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만 지역 제한, 왜?
ssalradi2013-05-25 00:07
신고삭제ㅎㅎ PS4는 아직 본체가 공개도 안되서 얼굴을 못들고 있는거구나 ㅋㅋ
아무개안경2013.05.24 18:50
신고삭제이번엔 좀 성공해야될거같네요... 요즘 콘솔이 해외에서조차도 많이 어렵고, 위유가 망유되버린 마당에 나머지 둘까지 실패한다면... 근데 둘다 성공하더라도 닌텐도는...
아무개안경2013.05.24 18:51
신고삭제근데 엑박360 하위호환이 안된다니... 혹시 다운로드 스토어에서 사야되는거?!!!!! 하지만 다 해볼려면 시간 많이 걸리겠지...
죠니워커2013.05.24 23:13
신고삭제진짜 만평 누구이십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엑박 차세대만 기다렸던 나에게..실망을준,...ㅠㅠ
ssalradi2013.05.25 00:07
신고삭제ㅎㅎ PS4는 아직 본체가 공개도 안되서 얼굴을 못들고 있는거구나 ㅋㅋ
PuTa2013.05.25 01:53
신고삭제TV!... TV!!... Tv... Tv!!! TV!!!... TV... TV!...
god_g2013.05.25 09:02
신고삭제키넥트만 아니면 고민안하고 ps4로 가는건데 ㅜ_ㅜ
vpdlfaktmx2013.05.25 09:07
신고삭제내용 그대로 업그레이드만 됐지 혁신이 없네요. 엑박원보고서 디아블로3에 실망했던 맘 그대로 느꼈습니다
용감한녀석2013.05.25 09:29
신고삭제메카만평은 언제나 쩌는군요
clraud2013.05.25 09:50
신고삭제플스3,엑박360 나오면서 급작스럽게 올라간 게임 개발비용문제때문에
블록버스터급 대작게임 발매 사이를 메꿔주던 B급게임제작사들 대부분이 떨어져 나갔던걸 생각해보면
소니나 마소나 그래픽의 혁신을 이룩할만한 하드웨어스펙업은 당연히 할리가 없겠죠...
GM포스2013.05.25 14:55
신고삭제이전 버전이 호환되지 않는 제품을 팔기만 급급한 회사들...
비싸지만 그에 따른 최대 효과를 누리기엔 부족한 감이 있는 소비자...
혁신적이기는 했지만 부족함을 차기 제품에서 느끼게 했지요.
이토카나에2013.05.25 22:14
신고삭제ㅋㅋㅋ 아이곸
이토카나에2013.05.25 22:44
신고삭제ps4는 얼굴이 없음ㅋㅋㅋ
다스혼2013.05.26 16:30
신고삭제나머지 두명이 진상부르고 있으니 PS4가 정상인것 같다
근데 임마들 본체공개 안했잖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샐군2013.05.27 18:19
신고삭제플스는 언제나 그렇지만 성능보다 가격이 문제... 이번엔 100만원 찍으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