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욱일기가 게임에서 사라져야 하는 이유
2013.07.05 18:24게임메카 장제석 기자
메카만평

워게이밍의 신작 '월드오브워쉽'의 욱일기 논란이 지난주 '좋은 방향'으로 마무리됐습니다. 국내 게이머들에게 큰 화제가 됐고 워낙 민감한 이슈인 만큼 자칫 잘못하면 워게이밍이 치명타가 될 수 있었는데요, 다행히 국내 지사의 빠른 대처와 이를 받아들인 본사의 선택으로 잘 해결된 모습입니다. 과정이 소란스럽긴 했으나, 결국 게임 내에서 욱일기를 '완전 삭제'하는 것으로 결정이 됐으니까요.
게임메카에 관련 내용이 보도된 이후, 독자 분들 역시 '좋은 선택'을 했다면서 워게이밍 본사와 지사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특히 유럽에서 바라보는 욱일기의 '의미'와 동아시아권에서 받아들여지는 욱일기의 '상징성' 자체가 완전히 다른 만큼 이를 이해시켰다는 데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죠.
그러나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도 잡음은 여전히 남았습니다. 특히 게임메카에서는 '욱일기는 왜 게임에서 사라져야 하는가'를 두고 독자 분들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죠.
여러 의견이 충돌했지만, 가장 컸던 것은 결국 '표현'입니다. 게임에서 표현의 제약을 어느 선까지 둘 것인가로 마찰이 빚어졌죠. 사실 정통 밀리터리를 내세우는 게임이라면 '고증'에 따라 그대로 표현할 수는 있습니다. 실제로 "2차 세계대전 당시 국기양식까지 그 나라의 외교감정에 휘둘려 개발사들이 눈치를 봐야 한다면, 그들은 그 주제로 한 게임을 하지 않으면 된다"라는 의견도 있었으니까요.
물론 저 말이 틀린 말은 아닙니다. 따지고 보면 맞는 말이죠. 그러나 문제는 게임 자체가 하나의 문화 콘텐츠라는 것입니다. 즉 '게임'을 '게임'으로 본다는 것은 곧 '문화'를 접한다는 것이죠. 모두 알다시피 욱일기는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입니다. 억압과 학살, 수탈을 겪은 국가에서는 얼룩진 피와 상처 등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은 슬픈 역사가 배어 있어 그만큼 민감할 수밖에 없지요.
때문에 이런 국가의 역사나 정서, 감정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결국 문화 콘텐츠로서 게임은 '반쪽짜리'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글로벌 게임사를 지향한다면 당연히 고려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죠.
워게이밍의 '월드오브워십'의 개발자 중 한 명은 "하켄크로이츠는 국제재판소에서 위법판결을 받았지만, 욱일기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쓰는 데 문제가 없다"고 말했는데요, 여기에도 오류는 있습니다. 사실 하켄크로이츠는 독일에서도 스스로 부끄러워 할 만큼 과거를 반성하고 조심하지만, 일본은 아직 그런 단계가 아닙니다. 여전히 국가 차원에서 언급이 없지요. 때문에 욱일기는 당장 위법 여부를 따질 게 아니라, 그 '단계'까지 밟지 못한 일부 국가의 분노를 먼저 생각하는 게 맞다고 봐야 겠지요.
때문에 이번 워게이밍의 선택은 충분히 칭찬받을만합니다. 해당 문제에 커지자 일단 '수정'을 통해 이슈의 수위를 낮췄고, 아울러 게임 내에서 '삭제'라는 결정까지 내렸으니까요. 물론 중요한 시장인 한국과 중국을 잃으면 타격이 크다는 판단에서 내린 결정일 수도 있지만, 워게이밍 한국 지사에서 강제적 요청 보다는 '이해'를 끌어내기 위해 여전히 집중하고 있다고 하니 만족스럽네요.
기자는 중학교 시절이었을까요? 아트 슈피겔만의 '쥐'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역사에 대한 이해와 통찰이 희미한 수준이었지만, 쥐를 유대인으로 표현해낸 이 책을 통해 나치즘의 무시무시함을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었죠. 홀로코스트의 비참함 역시 여전히 가슴 한 켠에 남아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게임은 문화 콘텐츠입니다. 각 국가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게임은 영화나 음악과 같이 세계 어디서든 모두와 통할 수 있는 힘이 있지요. 각 지역의 문화를 더 이해하고 이를 받아들이며 현지화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 이유입니다. 욱일기가 사라져야 하는 이유 또한, 바로 여기에 있지요.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6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7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8
스트리트 파이터 6와 에스파 컬래버, 주리 신의상 추가
-
9
스팀 게임 SSD 설치, 권장에서 필수로
-
10
아이온 2 첫 포커스 그룹 테스트, 유저 반응 호평
검은13월2013-07-05 21:04
신고삭제내가 나치를 흔들면서 아돌프 히틀러 코스프레를 챔스 결승에서 해야 정신 차릴듯
검은13월2013.07.05 21:04
신고삭제내가 나치를 흔들면서 아돌프 히틀러 코스프레를 챔스 결승에서 해야 정신 차릴듯
생마2013.07.06 00:19
신고삭제확실히 러시안들이 얼굴도 이쁘고 판단도 똑똑해요 ㅎㅎ
midnight72013.07.06 05:06
신고삭제허허허...
다스혼2013.07.06 10:31
신고삭제ㅋㅋㅋㅋㅋ 개간지 ㅋㅋㅋㅋ
x32013.07.06 12:54
신고삭제이전에 뜬 욱일기 논란 기사에서 욱일승천기 쉴드치던 스타빠 킬러라는 ㅄ이 생각나네. 어디서 개똥논리 들이대면서 욱일기 괜찮다. 안된다고 하는 놈들이 사고방식이 이상한거라는 식으로 이야기 하던데...
욱일승천기 달고 일본군 군함으로 연합군 군함 침몰시키는 게임이 참도 아시아에서 성공하겠다...그지?
반발부터 쳐하지 말고 왜 유럽에서 나치 문양이 금지되었는지를 생각 좀 해야지...ㅉㅉ
요타12013.07.06 17:02
신고삭제스타빠는 그렇다 쳐도
벨에포크<--- 이사람 제대로 정신 나간듯해보인다;;;
이분은 필히 벤해야된다고봄
죠니워커2013.07.06 18:06
신고삭제저 뒤에서 좋아하는 왜놈 너무 얄밉다...
코르닉스2013.07.06 21:59
신고삭제중국은 언데드가 게임에 나오면 출시가 금지되고,
이슬람 문화권에 출시되는 게임은 민감한 종교적인 문양을 수정해서 나오죠.
아시아에서 장사하고 싶으면 각 나라의 문화와 상황을 고려하는건 당연하죠.
일본 온라인 시장 >>> 한중시장이라서 다른데 다 접고 일본 시장으로만 때울 수 있다면 모를까.
고증을 메인으로 내세운 게임이 아닌이상 컴플레인이 걸리면 수정하는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부원수2013.07.07 00:02
신고삭제ㅋㅋㅋ 뒤에서 응원하는 왜놈 ..
무쇠뿔2013.07.07 01:52
신고삭제기자님의 정리가 깔끔하네요.!
욱일승천기가 사라져야 하는 것은,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의미가 동일 선상에 있기 때문이라는 것에 동의 합니다.
그 상징이 의미하는 비인간성. 억압. 수탈이 동일하다는 것은
서양권도 알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서구권에서는 하켄크로이츠에 사용에 대한 부분만 아니라,
나치라는 단어도 입에 올리는 것을 금기시 하면서...
다른 나라는 괜찮다는 식이면 곤란
Dos2013.07.07 19:55
신고삭제얜 뭐하는 앨까
블빠킬러2013.07.07 23:09
신고삭제니논리라면 서양애들 국기도 게임에쓰지말아야겠네?? 걔네들은 국기를걸고 일본보다 더한 업악과 학살 수탈을 했는데??
블빠킬러2013.07.07 23:17
신고삭제하켄크로이츠는 국제재판소에서 위법판결을 받았지만, 욱일기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쓰는 데 문제가 없다 << 이거에 제대로된 반박도 못하지 ~~ 전세계에서 한국과 중국만 싫어하는 욱일승천기 ~~ 그것도 위법이 아니라네 ㅋㅋㅋ
Dos2013.07.08 05:57
신고삭제블빠킬러//아 어 그래서 니는 한국사람아니세요? 서양놈들 까고싶으면 그쪽 나라가 억압과 학살한 나라 국민하시던가, 일본국민하면 좋겠네. 일본도 6년간 미국한테 억압받고 살았으니까... 아 그래서 욱일기 쉴드 치는거구나
선조들이 후손들 살기 좋으라고 해방을위해 노력해왔는데 벨에포크나 스타빠킬러나 블빠킬러같은놈들 보면 암담하다
땅콩버터미니쉘2013.07.08 09:15
신고삭제이번 만평 촌철살인이네요 ㅋㅋㅋ 맘에 쏙 듬
예술소녀a2013.07.08 09:44
신고삭제메카에 갈수록 주둥이 가연성 쓰레기가 늘어나는데.... 청소 안하시나요 관리자님?
악마이2013.07.08 10:16
신고삭제일본의 일부 또라이들이 왜 그런 미치광이 짓을 했는지 게임을 통해 확인하라고 만든거라면 이해는 할 수 있겠군. 욱일기를 통한 세뇌라던지 막 그런거 말이지.
요타12013.07.08 14:29
신고삭제관리자님 더러운 벌레놈들 안내쫒을건가요
흑인아저씨2013.07.08 18:30
신고삭제댓글란이 뭐 아레나네.... 키보드워리어 왜이리 많노? 최고 인기 전사님은 안보이시지만...
개념있는십덕충2013.07.08 20:05
신고삭제네 다음 왜놈
개념있는십덕충2013.07.08 20:08
신고삭제이것들이 모스크바 크렘린궁 앞에서 하켄크로이츠 들어봐야 아나....세계 여러 덕후들이 일본 덕후문화를 오랫동안 접하다보니 전범기띄우는것도 범죄라는 생각을 몬하는거임ㅇㅇ. 이번기회에 아시아사람들의 의견을 알아줬으면 함.
마렉2013.07.08 21:53
신고삭제욱일기도 국제재판소에 내야됨 국제법으로 사용 못하게 해야지 이건 나원...
용감한녀석2013.07.09 01:56
신고삭제욱~~
라이네럴2013.07.10 16:24
신고삭제기자님 책 좋은거 읽으셨네. [쥐] 이거 만화책이니까 나치즘에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은 찾아서 읽어보면 좋음. 나도 이걸 보고 개념세우고 욱일기를 증오했으니까.
카바티나2013.07.10 21:24
신고삭제쉽게생각해서 하켄크로이츠랑 비교해보면되죠 양쪽다 하켄크로이츠 자체도 나치스가 쓰기이전부터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죠. 단지 나치스가 사용했고 나치스가 정권을잡으면서 국기가 됬고 정복전쟁의 상징이 됬죠. 그리고 독일은 과거 나치스를 반성하는의미에서 하켄크로이츠를 금지했습니다. 욱일승천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욱일 승천기가아니라 태양이 뻗어가는 형상은 세계 곳곳에서 사용했습니다. 그러다 일본 해군이 군기로 사용했고 육군군기로 그리고 국기가 되어
카바티나2013.07.10 21:29
신고삭제정복전쟁의 상징이 됬습니다. 일본이 과거를 반성한다고 하면 주변국에대한 예의상 욱일기는 쓰지 않는것이 맞습니다. 하켄크로이츠처럼요. 물론 하켄크로이츠형태의 디자인을 유럽이아닌 다른나라에서는 사용하듯 욱일기형태의 디자인을 아시아 동부와 동남부이외의 지역에서 사용하는것은 뭐라할수 없지만 적어도 아시아 동부와 동남부에서는 사용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