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강남스타일보다 더 유명한 '코리안 게임중독법'
2014.06.13 17:56게임메카 류종화 기자
.jpg)
메카만평
[관련기사]
작년 해외로 배낭여행을 갔다가 중요 문화재 옆에 ‘낙서를 하지 마시오’ 라는 한글 주의문을 봤습니다. 오직 한글로만 쓰여진 그 팻말을 보고 있자니, ‘한국의 국격이 이런 곳에서 조금씩 깎이는구나!’ 하는 생각에 절로 부끄러워졌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지난 11일(수), 한국인들의 얼굴이 더욱 붉어질 만한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지난 2013년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게임을 마약과 같은 중독 물질로 규정하는 ‘중독 예방ㆍ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이하 게임중독법)’이 그 주인공입니다.
미국 게임협회(ESA)와 유럽 게임 개발자 협회(EDGA)를 포함한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영국, 폴란드 등 전 세계 13개 게임 협회는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에 ‘한국의 게임중독법 추진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성명문을 보냈습니다. 자국 산업에 직접적 영향이 없는 타 국가의 규제법에 대해 성명문을 발표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일은 아님을 미루어 볼 때, 이번 일은 그야말로 국제적 망신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게임메카 독자분들도 이러한 상황에 대해 많은 의견을 남겨주셨습니다. ID 미르 님의 “이대로 강행했다가는 국가적 대망신이다. 정말 쪽팔려 고개를 못 들겠네”, ID KAGERON 님의 “높으신 분들이 하는 나라 망신은 클라스가 다르죠. 그야말로 국가적 나라망신”, ID 굿바이국적 님의 ”우리나라 국격 어디 갔나요? 그렇게 외쳐대던 국격이 나락으로 떨어지는데 내가 다 민망하다” 같은 의견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번 성명문에서 ESA는 “한국의 게임 개발업자들이 온라인게임 분야에서 지금까지 선도적인 혁신을 해온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한국내의 과도한 규제들이 글로벌 산업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게임시장, 특히 온라인게임은 국가적인 자랑거리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본건 법률안이 통과된다면, 관련 산업계는 오명을 쓰게 되고 온라인게임의 선도적 개발업자로서의 한국의 명성은 위기를 맞게 될 것입니다” 라고 밝혔습니다.
위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콘솔게임 업계에서 미국과 일본이 그러하듯, 온라인게임 업계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높습니다. ESA 등이 우려하는 것도 바로 이 부분입니다. 게임중독법으로 인해 한국 온라인게임이 침체된다면, 동시에 전세계 게임산업 발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죠. 이쯤 되면 게임중독법은 더 이상 한국 내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닙니다.
이와 함꼐 ESA는 “유감스럽게도, 한국의 국회는 본건 법률안 이외에도 게임산업과 그 고객들을 부당하게 대상으로 하는 입법적인 노력들을 행해 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게임산업을 한국에서 태동하고 있는 “창조경제”의 일부로 인정하였습니다만, 한편으로는 과도한 규제가 게임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억누르고 있다는 의견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라며 한국 정부가 게임산업을 대하는 이중적인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했습니다.
세계에는 아직도 악법 및 잘못된 관습들이 남아 있는 곳이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오지에서는 비인간적인 할례가 성행되고 있고, 인도에서는 사람의 신분을 가르는 카스트가 아직 암암리에 남아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등 일부 아랍 국가의 여성들은 교육과 취업, 의료혜택에서 제외되고, 친족에 의한 ‘명예살인’까지 당하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의 게임중독법 역시 외국에서 이와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우수 댓글로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오는 6월 18일(수)까지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실제 사용하시는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상품은 매주 목요일 배송됩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KAGERON (증정 상품: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소설 '멩스크' / 그렉 베어 지음)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3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6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7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8
스트리트 파이터 6와 에스파 컬래버, 주리 신의상 추가
-
9
스팀 게임 SSD 설치, 권장에서 필수로
-
10
아이온 2 첫 포커스 그룹 테스트, 유저 반응 호평
라피타스2014-06-14 16:30
신고삭제우리나라 정부가 하는짓보면 그냥 문화는 즐기지 말라고 하는거 같음...
만화 시장도 이런식으로 말아먹었었고...
이건 현재 부모님 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법안으로 밖에 안보인다
높으신 분들은 제발 지금 젊은 세대가 나중에 부모님 세대가 된다는걸 인식했으면 한다
미르2014.06.13 18:11
신고삭제게임메카 만평은 쩌는데.. 현실은.. 걱정이...진정으로 국가가 게임계와 유저 모두가 원원 할수 있기를,,,, 무엇보다 규제는 철폐 되어야 한다... 이제 그만 하자.... 더이상 국가망신 당하지 말고... 제발 고개 들게 해줘라..
라르프2014.06.13 19:04
신고삭제골중독도 규제 안하나 ㅋㅋㅋㅋㅋㅋ
아, 규제하고 있어서 우리 대표팀 골이 없나?
test_dummy2014.06.13 19:28
신고삭제게임업계 넘버링 이 인상적이네요. 십팔.
KAGERON2014.06.13 19:31
신고삭제높으신분 깠더니 게임메카가 책줬쪙. 감사히 읽겠습니다.
청색날개2014.06.13 22:25
신고삭제진짜 쪽팔리네... 그만큼 한국게임시장을 높게 쳐준단것도 있지만.... 자존심이란게 티끌만큼 이라도 있으면 중독법 그만둬라 어휴
ㅇㅇㅇ2014.06.14 10:16
신고삭제진짜 정신차려야하는데 에혀
CULTIST0012014.06.14 14:01
신고삭제팀킬류 갑 ㄹㅇ
라피타스2014.06.14 16:30
신고삭제우리나라 정부가 하는짓보면 그냥 문화는 즐기지 말라고 하는거 같음...
만화 시장도 이런식으로 말아먹었었고...
이건 현재 부모님 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법안으로 밖에 안보인다
높으신 분들은 제발 지금 젊은 세대가 나중에 부모님 세대가 된다는걸 인식했으면 한다
부운사2014.06.16 12:52
신고삭제KBS 다큐멘타리를 봤습니다. 핀란드를 책임지던 노키아가 스마트폰 세대에 들어서며 망했지만 이 나라의 경제는 여전히 안정세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그 공백을 앵그리버드의 로비오와 크래쉬오브클랜의 슈퍼셀이 막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정부에서 중하게 여기고 힘을 실어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고요
하지만 우리는 자력으로 커가고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상황인데도 막지못해서 안달인 상황이죠. 정치인들이 정치적으로 이용하거나 사회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죄를 씌우는 형태로 말이죠. 결국 한국에서 문화콘텐츠는 어렵다는 겁니다. 더더군다나 게임은
미르메2014.06.16 19:26
신고삭제정부가 문제가 아니랍니다. 정확하게는 국회의원과 정신 못차리는 아줌마들이 문제지요.
자식들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려는 정신나간 아줌마들과 표를 의식한 미개한 국회의원들과
미친 정신과 의사들의 합작품이지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게임중독법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상한 국회의원 안뽑으시고 그 이상한 국회의원이 이상한 짓 할 때 열심히 질타하셔서
다음번에는 국회의원 안되게 하면 됩니다.
Young-Man Kim2014.06.17 14:05
신고삭제국가적 망신
히쓰군2014.06.18 17:38
신고삭제이 문제 때문에 회사를 이직했죠... 국내사업을 접고 해외 사업만 집중하기 위해.. 휴..
인남성기사2014.06.18 19:34
신고삭제난 이걸 볼 때 마다 2000년에 나온 극장판 에미네이션 사우스파크의 명곡 캐나다를 탓합시다가 생각남
아이들이 폭력적으로 변하는 것을 보고 캐나다가 만든 에니메이션 탓으로 돌리는 부모들의 노래죠.
노래 가사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누군가 우리 탓이라는 것을 눈치채기 전에 캐나다를 탓하자!
지금 게임이랑 똑같은 꼴임
누군가 우리 탓이라고 말하기 전에 게임 탓을 하자
노래 못들어보신 분들은 영상 링크 첨부하니 꼭 들어보시길
http://www.youtube.com/watch?v=Fe19zmGLsg8
나랑이랑2014.07.21 16:09
신고삭제슈퍼셀은 작년인가? 재작년에 텐센트에 2조원에 인수되었죠..^^ 앵그리버드도 이제 한물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