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에 부딪친 지스타, 올해도 '모바일' 해답 못 찾았다
2015.11.15 21:04지스타 특별취재팀

▲ 지스타 2015 4일차 현장
[관련기사]
게임업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지스타 2015가 막을 내렸다. 올해 지스타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방문객이 몰렸다. B2C에 출전한 메이저 업체 수가 더 줄어들며 볼거리가 부족해 흥행이 어려우리라는 우려에도 선전했으나, 괄목할만한 성장세 역시 없었다.
11월 12일부터 15일까지 나흘 동안 열린 지스타 2015에는 총 209,566명(15일 오후 5시 추정)이 방문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3.6% 증가, 다시 말해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넥슨, 엔씨소프트, 네시삼십삼분, SCEK 등 올해 지스타 B2C에서 '흥행보증수표'라 할 수 있는 메이저 업체는 4곳에 그쳤다. B2C 출전 저조로 부족했던 볼륨을 e스포츠, 가상현실, 인디게임, EA와 넥슨이 함께 연 'Enjoy' 페스티벌 등이 함께 자리하며 작년 수준의 관람객을 유치하는데 힘을 보탰다.

▲ 지스타 2015 관람객 추이 (자료제공: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특히, 국내 게임업계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모바일게임 전시'에 대한 답을 작년에 이어 올해도 명확하게 찾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컨테이너 박스처럼 부스를 디자인해 궁금증을 자극한 네시삼십삼분이나 합창단을 연상시키는 계단형 시연대로 색다른 분위기를 낸 넥슨 등, 모바일게임을 들고 출전한 업체들이 다양한 해답을 제시했지만 '이거다'라고 확실한 느낌이 오는 것은 없었다.


▲ 색다른 모바일게임 전시를 보여준 네시삼십삼분(상)과 넥슨(하)
한 단계 더 발전한 지스타가 보고 싶다면 주최 측과 업체가 함께 효율적인 모바일게임 전시 방법을 강구해낼 필요성이 있다. 지난 14일, 지스타 2015 현장에 방문한 전병헌 의원 역시 "지스타 참여가 좀 더 매리트 있는 일이라면 업체 입장에서 들어오지 말라고 해도 들어올 것이라 생각한다. 지스타 주최 측 역시 업체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혁신 방안을 찾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모바일게임의 경우, 온라인게임보다 업계가 변화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유저 성향 역시 급변한다. 따라서 연말에 단 한 번 열리는 지스타에 맞춰 일정을 짜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의견이다. 특히 모바일게임은 신작 출시 직전이나 직후 마케팅 역량을 집중시켜 최대한 빠르게 순위를 끌어올리는 것이 관건으로 통한다. 다시 말해 지스타 기간에 맞춰 출시되는 게임이 아니라면 업체가 B2C 출전을 통해 기대하는 PR 및 마케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1월 적어도 12월에는 출시되는 동시에 게임쇼에서 전시할 규모와 내용이 있는 모바일 신작을 고르는 것은 게임을 직접 서비스하는 업체 입장에서도 쉬운 선택은 아니다. 여기에 오픈마켓 사업자가 진행하는 자율심의 지연이나 버그 등 각종 변수로 인해 출시일이 변동될 우려가 있다는 것도 출전을 고심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다.
지스타를 주최하는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 강신철 협회장은 "올해도 넥슨이나 네시삼십삼분 등 출전업체들이 많은 고심 끝에 모바일게임 전시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했으나 명확한 해답은 아직 없는 것 같다. 무엇이 모바일게임에 어울리는 전시 방법인가에 대한 해결책은 앞으로도 업계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2
[오늘의 스팀] 테라리아 만난 팰월드, 반응 ‘미지근’
-
3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4
'압긍' 오리 탐정 추리게임, 한국어 패치 배포
-
5
AI를 TRPG '게임 마스터'로 만들어보자
-
6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7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8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9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10
최대 96% 할인, 다이렉트 게임즈 여름 프로모션 시작
시라2015-11-15 22:28
신고삭제걸스타 안한다고 하니더니 걸스타로 사람 모았잖아요 넥슨 캐쉬등 의 경품없었음 누가 갔을가.
홀홀2015.11.15 21:21
신고삭제모바일게임하러 부산까지 내려갈 수는 없잖아......서울에서 하면 몰라도
홀홀2015.11.15 21:22
신고삭제근데 지스타 만이 아니고 해외 게임쇼들 자체가 정체기라던데...그거도 모바일만이 문제가 아니라 사실 크고 작은 게임쇼나 자체 게임쇼가 늘어나면서 종합 게임쇼에 대한 집중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시라2015.11.15 22:28
신고삭제걸스타 안한다고 하니더니 걸스타로 사람 모았잖아요 넥슨 캐쉬등 의 경품없었음 누가 갔을가.
아따아따2015.11.15 23:17
신고삭제서울에서하면 사람들 몰려서 통제 불능 올껄요...
부산에서 하는데 저정도 인데
서울에서 하면 5배이상은 몰릴거 같은데...
또 쿠폰 하나만 뿌려도 그 게임 하는 사람들 몰려서 엄청 복잡할텐데..
파이쟈2015.11.16 02:48
신고삭제안그래도 부산이라 한번 가는데 엄청 고민해야하는데(부담되니까), 모바일 천국이라길래 그냥 안갔지요....
사키나이리2015.11.16 03:24
신고삭제전 부산에서 매년가다 작년이랑 이번해는 여수에서 갔네요. 아마 서울에서 해도 올라가겠죠 숙박이 조금 문제가 되겠지만 ㅠㅠ 제발 서울에 해도 제발 8시까지 갈수 있는 숙박이 많은곳에서 하면 좋겠네요 ㅠㅠ
오렌지수정2015.11.16 09:51
신고삭제모바일 해답이란 무엇일까..
참신한소재2015.11.16 09:55
신고삭제사람수는 거의 엇비슷한데 게임이 없어지니 일부 대기열이 더길어지고,
체험시간도 긴대 체험 댓수는 더 줄어들어 턱없이 부족하고,
게임도 더 줄고, 서비스 질은 매년 떨어지고, 이벤트는 더 줄어 들고,
차라리 소장판 판매대나 만들지 썩은 지스타 티나 팔고,
그나마 있던 음료 판매대도 없어지고,
표 가격은 매년 올려서 8000원 가치가 있나?
진짜 이제는 어차피 올건데 막하는거지. 진짜 저질 지스타.
코맥2015.11.16 10:16
신고삭제로답
코맥2015.11.16 10:18
신고삭제솔직히 이번 지스타는 ○○ 끝났어.
피파온라인3, 블소, 그리고 넥슨겜 경품 받으러 간거지, ○○ 모바일게임 눈에도 안들어오더라.
아참, 그나마 들어오는 건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 ㅇㅇ 이건 맘에 듬.
나머지는 그냥 부스걸이나 ○○ 보러가는거지.
P.S: 썸머레슨을 못한 게 천추의 한이다
달빛로망2015.11.16 11:10
신고삭제블소 부스에서 같이 수다 떨었더니 포츈쿠키 몰래 주머니에 하나 더 집어넣어줬던 부스걸 그녀 다시한번 만나고 싶다 ㅠ 이번엔 폰번으로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