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치와 언론의 봉 게임, 올해에는 바꿔보자
2016.01.12 10:19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지난 2014년 2월에 열렸던 게임중독법 공청회 현장
[괸련기사]
한국에서 게임은 ‘호구’ 이미지를 벗지 못했다. 셧다운제, 1% 징수법, 게임중독법까지 강력 규제가 계속 이어졌지만 업계에서 그 부당함을 강하게 어필한 적은 없었다. 언론에서는 ‘마녀사냥 1호’로 활용됐다. 왕따, 총기사건, 최근에 발생한 아동학대까지 ‘게임 때문에’라는 말이 따라붙으며 게임은 범죄의 원흉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졌다.
문제는 게임과 범죄의 상관관계를 면밀하게 따지지 않고 핑계처럼 사용된 ‘게임 때문에’라는 말이 공식 석상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회에서 ‘게임중독이 아동학대로 이어진다’는 터무니없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 7일 열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현장에서 손인춘 의원이 실제로 한 말이다.
정치권과 언론이 게임을 찌르는 이유는 간단한다 '만만하기' 때문이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고 하는데 게임업계는 여러 번 밟아도 꿈틀거리기는커녕 바닥에 납작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다. 밖에서 부당함을 외치지 않고 안으로만 숨어드는 세월이 길어지며, 게임은 건드리기 만만하다는 이미지가 박히고 만 것이다. 이에 여성부를 필두로 교육부, 보건복지부까지 여러 부처가 숟가락을 얻기 위해 나섰으며, 그 숟가락 얹기의 시작이 언론의 ‘게임 때리기’와 강력 규제다.
규제에 발목 잡힌 한국 게임의 현실은 외부활동을 꺼리는 게임업계 스스로가 만들어냈다. 따라서 규제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스스로 고리를 끊고 나와야 한다. 그리고 2016년 4월에는 20대 국회 총선이 있다. 이번에도 게임에 씌어진 ‘호구’ 이미지를 벗지 못하면 규제의 악순환은 반복될 것이다. 외압이 무서워서 몸을 사리는 동안 규제가 계속 산업을 좀먹고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게임 역시 외부 공격에 적극적으로 반격하며 정치적, 사회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가져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구성원이 정확히 역할분담을 해 게임의 ‘정치력’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각 구성원은 ▲대표 인물과 ▲게임업체 ▲게이머 ▲정부 및 유관기관으로 나뉜다. 우선 게임업계 대표 인물은 은둔 생활을 청산하고 적극적인 외부활동으로 ‘게임인’의 입장을 강하게 알려야 한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웹젠 김병관 이사처럼 정치활동을 펼치거나 게임업계 대표 협회인 협회장 역을 자청하는 등, 게임인의 입장을 외부에 알리는데 망설임이 없어야 한다.
만약 ‘아동학대가 게임 때문이다’는 지적이 있다면, 먼저 나서서 ‘게임은 아동학대의 원인이 아님’을 적극적으로 해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뒤에 숨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으면 뉴스를 보는 대중은 ‘게임 때문에 아동학대가 일어난다’는 왜곡된 내용을 진실로 믿게 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게임업체는 종사자는 물론 게이머들도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투표 독려’다. 특정 당이나 인물을 지지하라는 것이 아니라 투표 자체를 많이 할 것을 권장하며 게이머와 게임업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대규모 유권자 집단’이라는 것을 정치인들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실제로 에픽게임즈는 미국 대선 당시 투표 독려 차원에서 버락 오바마와 미트 롬니가 백악관에서 싸운다는 콘셉을 앞세운 무료 게임 ‘VOTE!!!’를 내놓아 눈길을 끌었다. 또한 한국에서도 투표를 하고 오면 공연 티켓을 할인해주는 이른바 ‘투표 마케팅’이 활용된 사례가 있으며 일부 게임업체에서도 투표하면 게임 아이템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한 바 있다.
게이머들은 당연히 투표로 본인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 영화 ‘내부자들’에서 나왔던 ‘어차피 대중은 개돼지들입니다’라는 대사에서 알 수 있듯 정치인은 온라인에서만 열을 내는 대중을 신경 쓰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이 밖으로 나와 한 표를 행사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당선을 위해 한 표라도 더 받는 것이 중요한 정치인 입장에서 ‘게이머’들이 투표에 적극 나선다는 소식을 접하면 법을 만들면서도 ‘게임 민심’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민심’이 성이 나면 본인 혹은 당의 다음 투표 결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유관단체는 게이머, 그리고 게임업계 종사자들의 투표율을 집계해 외부에 적극 알릴 필요가 있다. 실제로 미국 게임산업협회 ESA는 미국 게이머들의 투표율을 조사해 게이머의 투표율이 비 게이머보다 높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투표율을 파악해 이를 공개한 이면에는 ‘게이머들이 이렇게 투표를 많이 하고 있으니 정책 마련에도 신경 쓰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다시 말해 ‘게이머 투표율 조사’는 정치인이 게임 표심을 돌아보게 할 가장 좋은 수단이다.
많이 본 뉴스
-
1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2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3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4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5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6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7
[겜ㅊㅊ] 스팀 여름 축제, 역대 최대 할인 중인 ‘갓겜’ 5선
-
8
스팀 게임 SSD 설치, 권장에서 필수로
-
9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
10
쿼터뷰 시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발표
특공대2016-01-12 14:01
신고삭제가끔 그 놈이 그 놈이라면서 투표해봤자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는 사람도 있는데, 정치는 최선이 아닌 차악을 뽑는 과정이라고 생각함.
...아직도 2년이나 남았지?
특공대2016.01.12 14:01
신고삭제가끔 그 놈이 그 놈이라면서 투표해봤자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는 사람도 있는데, 정치는 최선이 아닌 차악을 뽑는 과정이라고 생각함.
...아직도 2년이나 남았지?
PentaF2016.01.12 14:02
신고삭제아무것도 안하는것보단 낫겠지.
솔직히 여태까지 보여준 성과에 비해, 주는 관심은 개뿔이었음 ㄹㅇ
헤들리스2016.01.12 14:03
신고삭제이번 기회에 좀 큰소리좀 치면 좋겠다.
맨날 게임 규제 드립치다가도, 뭔가 건만 있으면 아니라고 드립치는거
꼴보기도 싫다
여치여우곰2016.01.12 14:07
신고삭제근데 아무리 쪼아도 게임업체 사람은 밖에 잘 안나올 거 같다....주목 받기도 싫어하고 귀찮아하기도 하고 돈 버는데 바쁘기도 하고
유다희2016.01.12 14:07
신고삭제그놈이 그놈이라도, 투표하고 욕을 하세요 투표도 안 하고 그놈이 그놈이라고 하지 말고....최소한 내가 뽑았는데 왜 그렇게 못하냐는 말 정도는 할 수 있게
유다희2016.01.12 15:13
신고삭제사실 옛날에 금연법 때 PC방 사장들이 나와가지고 시위하고, 머리깎고 하는 거보면서 대단하다고 생각했었는데...게임인들은 나와서 말 안하지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6.01.12 15:17
신고삭제투표도 안하고 욕하는 사람은 대가리가 없는 ○○새끼입니다. 투표를 하고서 욕을해야지 자기 권리도 찾는 노력도 안한주제에 뭔 ○○을.
특공대2016.01.12 15:50
신고삭제민주주의가 좀 어렵지. 주인니뮤의 나라가 데모크라씨를 이식해주기만 해서 ㅋ
나는어디여긴누구2016.01.13 09:51
신고삭제그놈이 그놈이라며 양비론을 펼치는 것들... 지들딴엔 시니컬해 보인다고 생각하지만... 깨어있는 사람이 보기엔 에구... 병x엔 약도 없는데... 그저 불쌍할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