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치고 나옵니다!" 중견게임사 실적 더비
2021.05.14 17:43게임메카 서형걸 기자


국내 게임업계가 안고 있는 오랜 문제점 중 하나는 양극화였습니다. 특히 중견게임사의 부진으로 ‘허리가 부실하다’라는 말이 한동안 꼬리표처럼 따라 붙었었는데요, 작년부터 조금씩 호전되는 조짐이 나타난 가운데 올해 1분기에는 ‘약진’이라 일컬어도 손색이 없을 만한 활약을 보인 ‘허리’들이 눈길을 끕니다.
우선 데브시스터즈와 위메이드는 각각 쿠키런: 킹덤과 미르4의 활약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웹젠과 카카오게임즈 신작 출시로 상당한 성장을 일궈냈죠. 컴투스, 네오위즈, NHN 등도 치고 나갈 추진력을 확보한 듯한 모습입니다. 펄어비스는 모바일게임 부진으로 다소 지친 기색이지만, 붉은사막과 도깨비를 비롯한 신작 라인업으로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중견게임사 실적 기사를 본 게이머들은 대표 IP들에 주목했습니다. 우선 게임메카 ID Naro 님 “오랜 세월 쿠키런 하나만 붙잡고 성공시킨 걸로 봐서 세계적인 IP로 만든다는 목표도 가능할 것 같다”, pokemon 님 “잘 만든 게임 하나가 이렇게 흑자를 만들어주다니, 좋은 IP 하나로 이렇게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신기하다” 등의 의견은 데브시스터즈의 실적 향상을 주도한 쿠키런에 대한 찬사죠. 이어 웹젠에 대해서도 페이스북 ID 김원기 님 “웹젠이 뮤 하나만 있는 원툴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여전히 시장에 통한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준다” 같은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번 2021년 1분기 중견게임사 실적은 게임사들이 각자의 장점을 한층 더 예리하게 다듬고 있다는 인상을 줍니다. 국내 게임업계가 한층 더 단단해진 ‘허리’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동반성장을 이룰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Naro 님 (증정상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연대기 1~3)

많이 본 뉴스
-
1
스팀 규정 위반, 블루 아카이브 리뷰 이벤트 급히 취소
-
2
닌텐도 스위치 2, 발매 한 달 만에 일반 판매 전환됐다
-
3
락스타게임즈, 레드 데드 리뎀션 3 개발 돌입
-
4
[이구동성] "게임, 대여한 게 아니라 구매한 것이다"
-
5
문명 6 플래티넘 에디션, 에픽서 18일부터 무료 배포
-
6
[오늘의 스팀] 57만 동접이 1만으로, POE 2 침체 계속
-
7
마비노기 모바일이 특허 낸 '우연한 만남' 차별점은?
-
8
존 윅 공식 게임, 17일부터 모든 플랫폼에서 판매 중단
-
9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형 업데이트 8월 말 온다
-
10
15년간 고쳐지지 않은 버그, 드디어 해결한 게임
오승민2021-05-14 18:41
신고삭제허리도 결국 갸챠아닌가싶기도하고 박살난 대가리와 뒤통수맞은 유저들 생각하면 게임에 대한
소비욕구는 반감될 것 같음
오승민2021.05.14 18:41
신고삭제허리도 결국 갸챠아닌가싶기도하고 박살난 대가리와 뒤통수맞은 유저들 생각하면 게임에 대한
소비욕구는 반감될 것 같음
귀무자검의길2021.05.14 21:12
신고삭제옛날엔 한국 대표 게임사하면 NC가 무조건 1위, 그 다음으로 넥슨, 넷마블, 한게임, 엠게임, 엔도어즈, 윈디소프트, 조이온 등이 한국을 좌지우지하는 대기업 게임사들이었는데...
지금은 온라인에서 모바일로 시장이 바뀌고.. 또 모바일에서 차츰 PC 스팀, 콘솔로 시장이 다시 바뀌기 시작하면서..
도깨비, 붉은사막을 개발중인 펄어비스,
사망여각, 스컬 더 히어로 슬레이어의 인기로 주가가 상승한 네오위즈,
운영 혜자겜인 로아를 만든 스마일게이트의 여러 콘솔 신작들,
프로젝트 하우스 홀드, 창세기전2 리메이크 개발 중인 라인게임즈 같은
그나마 한국 콘솔 신작 중 대작을 내기 시작하는 게임사들이 점차 강세가 되가는듯...
meath2021.05.15 02:11
신고삭제카카오게임즈가 퍼플리싱해서 가져오는 우마무스메가 과연 한국에서는 어떤반향을 일으킬지가 궁금하네요.
matt****2021.05.16 06:06
신고삭제과금량이 장난 아니라 반대로 논란이 될수도 있습니다.
무협객2021.05.20 04:23
신고삭제제대로 키운 IP 열 IP 부럽지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