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게임업계 등대 불 다시 켜지나?
2023.03.10 16:14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은하수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야경에는 늦은 밤에 퇴근하지 못하고 야근하는 직장인들의 애환이 서려 있다는 슬픈 이야기가 있죠?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며 점차 사그라들었던 야경이 조만간 다시 환하게 빛날 것 같습니다.
지난 6일 고용노동부는 근무시간 개편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주 52시간을 기본으로 하되, 1주일에 일하는 시간을 산정하는 단위를 한 달,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늘리고, 단위기간에 비례해 근무시간 총량을 낮춘다는 것입니다. 정부 주장대로 1주 근무시간을 산정하는 단위기간이 늘어나면 단기간에 과도한 장시간 근무를 하게 됩니다. 개편안대로라면 주 6일 11.5시간을 근무할 경우 69시간, 주 7일을 같은 시간 동안 일하면 최대 80.5시간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 게임업계에서는 주요 일정을 앞두고 단기간에 야근과 철야를 반복하는 크런치 모드가 큰 문제로 지적된 바 있습니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고 나서야 큰 기업부터 조금씩 줄어드는 경향이 보였으나,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1년 게임산업 종사자 노동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5인 미만 회사에서 일하는 직원 중 48.3%가 아직도 크런치 모드를 경험했습니다. 이 상황에서 52시간 근무제가 완화될 경우 규모를 막론하고 크런치 모드도 대대적으로 되살아나며, 특히 규모가 작은 게임사에서 일하는 직원일수록 노동환경이 극도로 나빠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 대안으로 제시한 근로시간저축계좌제 역시 많은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일이 많을 때 연장근로 시간을 저축해놨다가 나중에 일이 없을 때 휴가로 소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1주 휴가도 어려운 실정인데, 한 달 장기휴가를 내는 것이 가능하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실태를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는 것인데요, 민주노동 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은 이에 대해 "조삼모사보다 모멸적"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아울러 앞서 포괄임금제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막겠다는 정부의 정책 역시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노동계 입장입니다. 임금을 제대로 주지 않은 기업에 대한 확실한 조치나 기업이 근무시간을 철저히 관리하도록 유도하는 제도 등이 없고, 노동조합이 없는 대다수 게임사의 경우 임금은 물론 근무시간 역시 회사와 직원이 명목상으로 합의할 뿐 일방적인 통보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입니다. 정부가 앞세운 계획이 노동환경을 개선한다는 취지대로 실행된다면 좋겠지만, 현재로서는 그저 등대에 불만 다시 켜려는 움직임처럼 보이네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늘의 스팀] 인조이, 출시와 함께 전세계 판매 1위
-
2
유저 모드 위해, 크래프톤 ‘인조이’ 데누보 적용 취소
-
3
패스 오브 엑자일 2, 정식 출시 연말로 연기
-
4
인조이, 게임 초반 놓치기 쉬운 ‘꿀팁’ 7선
-
5
배틀그라운드, 삼뚝과 의인화 '총기' 간 미연시 공개
-
6
진짜 나오나? 팰월드 미연시 스팀 페이지 오픈
-
7
축구공으로 때린다, 호날두 '아랑전설' 캐릭터로 등장
-
8
[오늘의 스팀] 철권 8 시즌 2 시작, 밸런스 비판 급증
-
9
몬헌 와일즈 디렉터 “식공 하향, 해머 상향하겠다”
-
10
[오늘의 스팀] 폴아웃 풍 신작 아톰폴, 평가 ‘매긍’
마크로스덕후2023-03-10 17:46
신고삭제중소 개발사의 경우 주 52시간 도 안지켜지고 있고 명목상 지킨다고 해도 주말 출근 안하는걸로 눈치 주는게 중소 개발사 인데 저런식으로 풀어주면 일은 일대로 하고 한달 쉬면은 책상이 빠져 있겠죠. 말로는 크런치 언제 끝날지 모르는 크런치 오픈 하고 안정되면 된다 과연 그 안정은 실무자들이 판단한 안정인가 윗사람들이 말하는 안정적인 수익인것인가.. 한달이상 크런치로 집에 가지도 못하고 쪽잠 2~3시간 자며 일한 사람이 6개월전에 보고한 일주일 연차도 눈치 드럽게 주면서 나중엔 쫒아 내는 회사들이 대다수 인데 풀어주면 중소 개발사는 근로조건이 더더욱 쓰레기 되겠네요 ㅋㅋ
레라2023.03.10 16:29
신고삭제기자가 개딸인가봐. IT개발 안해본 사람들 시각은 이렇구나...ㅉㅉ
앵그리치와와2023.03.13 12:49
신고삭제개발 안 해본 건 당신이겠죠. 지금 블라인드 게임 라운지 69시간 시키면 옛날로 돌아가는 거라고 뒤집어졌는데 무슨 소리임.
미친소2023.03.14 19:12
신고삭제자신과 생각이나 보는 시각이 다르면 무조건 적으로 보고 비난하는 편협함에 감탄하고 갑니다.
어느미래2023.03.10 17:27
신고삭제계약 초과분에대한 정산이 안되니까 초과근무에 대해 말이 나오는거지.
지표에 사람이 끼어서 해결이 어려운 문제지만 대체로 기간 지정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도 없이 윗사람이 언제까지 하라고 하니까 크런치 모드 말이 나오는거고.
마크로스덕후2023.03.10 17:46
신고삭제중소 개발사의 경우 주 52시간 도 안지켜지고 있고 명목상 지킨다고 해도 주말 출근 안하는걸로 눈치 주는게 중소 개발사 인데 저런식으로 풀어주면 일은 일대로 하고 한달 쉬면은 책상이 빠져 있겠죠. 말로는 크런치 언제 끝날지 모르는 크런치 오픈 하고 안정되면 된다 과연 그 안정은 실무자들이 판단한 안정인가 윗사람들이 말하는 안정적인 수익인것인가.. 한달이상 크런치로 집에 가지도 못하고 쪽잠 2~3시간 자며 일한 사람이 6개월전에 보고한 일주일 연차도 눈치 드럽게 주면서 나중엔 쫒아 내는 회사들이 대다수 인데 풀어주면 중소 개발사는 근로조건이 더더욱 쓰레기 되겠네요 ㅋㅋ
검은13월2023.03.10 18:32
신고삭제몇십 시간 ㅈㄴ 부리고 휴가 낼떄 짜르기
소여2023.03.10 21:05
신고삭제알빠노~
건쉽2023.03.11 09:46
신고삭제당장 IT기업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업계를 막론하고 중소-중견뿐만 아니라 일부 대기업에서도 52시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허다한데,
69시간 도입하고 일한만큼 나중에 쉬어도 된다 해서 그게 지켜질까요. 훨씬 단순한 52시간도 안지키는 마당에?
팔콤컬랙터2023.03.11 11:58
신고삭제동감합니다 IT뿐만 아닌데 다른 업종에서 중소~ 중견은 꽤 많은 회사가 지키지 않는 법이 있는 대 그걸 나라에서 IT를 빌미로 더 풀어준다고? 사람이 아니라 그냥 쓰고 버릴 부품으로 쓰라고 법으로 허용하는 꼬락서니니까요.
그냥 저 새끼들도 똑같이 주 64시간 풀타임 업무 뛰게 하고 가슴에 자랑스러운 배지 뺏고 잘라서 버리면 알듯하네요
팔콤컬랙터2023.03.11 10:01
신고삭제일도 안해보고 젋을때부터 국민들 등골처빨아먹으면서 탁상공론하는 늙은이들이 젊은이를 더 죽이는법이지
Naro2023.03.11 11:14
신고삭제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참 신기해 우리나라 게임산업이 한때는 굉장히 발전했었는데 어떻게 발전했던거지?
고위층들은 죄다 밟을생각만 하는데 꾸역꾸역 올라온거보면 그때 그시절에 찬사를 보낸다
태비2023.03.11 11:34
신고삭제일단 포괄임금제부터 없애. 초과고 주말이고 일하는대로 돈을 주라고.
진지보이2023.03.11 18:13
신고삭제이젠 회사가 집이 되는 세상이 머지 않았네..
YouCanDance!2023.03.12 13:16
신고삭제공장인데 당연히 야근 가능하게 해야죠. 심지어 월급은 훨씬 더 주는 공장
Rosenkavalier2023.03.12 14:33
신고삭제지켜지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은게 문제지. 의도와 취지 자체는 문제될게 없다
방산개2023.03.12 17:27
신고삭제외람된 말씀입다만 게임과 애니업계는 아트팀이던 개발팀이던 기획팀이던 몇시간 근무가 중요한게 아니라 마감날짜까지 프로젝트를 완성하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굥아저씨가 52간제를 도입하던 72시간제를 도입하던 연봉에 상관없이 저사람들은 주말에도 몰래 회사문 따고들어와 일해야하는게 태반입니다.
동네백수2023.03.13 08:23
신고삭제다들 당장 자기업계만 얘기하는데 저게 필요한 업종도 있습니다.
당장 공장쪽은 52시간 강행 후 500 벌던 사람이 300으로 줄어버리니 이직 후 비정규직으로 전락하거나 무리하게 투잡을 뛰어 생활이 더 팍팍해진 경우를 숱하게 봤습니다.
제가 그만두는 직원 사직서 받아주고 비정규직 뽑는 업무를 같이 보조했는데 1년간 정규직 1/3 이상이 줄고 그 자리가 비정규직과 일용직 파견근로자로 대체되는걸 봤습니다. 그 회사가 특별히 나쁜게 아니라 공단 내 공장들이 다 비슷했습니다. 그러니 그만두고 간 사람들이 비정규직으로 전락했죠.
월급에서 특근비 비중이 반 이상을 차지하는 교대근무 공장근로자 등 상황이 다른 근로자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밀어붙인 52시간, 최저임금의 무리한 상승의 부작용을 해소하려면 결국 어느정도의 진통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애초에 수익구조 개선과 임금구조 개선 없이 52시간에 최저임금 만원이면 모두가 행복할거라는 검증 없는 무리한 탁상행정을 밀어붙일 때부터 예견된 결과였습니다.
준2023.03.13 12:01
신고삭제어차피 현재 주52시간 잘 지키는 기업은 69시간도 잘 지킬꺼고
현재도 주52시간 개나주라고 하면서 안지키는 기업은 69시간도 잘 안지킬꺼임.
결국은 걍 그대로인거지 뭐.
앵그리치와와2023.03.13 12:51
신고삭제사실 기본 근로시간은 40시간인데 52시간이 기본인 것마냥 얘기되는 것도 웃기네요. it는 포괄이라면서 포괄 수당 반영 안된 연협해주는 데가 허다하고, 비포괄이어도 야근 올리면 수당나간다고 눈치줘서 야근 안 올리고 기록없이 일하는 일이 허다한데 퍽이나 잘 지켜지겠습니다.
미친소2023.03.14 08:24
신고삭제노동시간과 노동계약이 같이 바뀌어야 하는데 절대 모른척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