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 많아 바람 잘 날 없는 넥슨, 이번에는 '클로저스'
2015.08.20 18:29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 20일 출시되어 당일 판매가 중단된 '하우스 키퍼 코스튬'
(사진출처: 클로저스 공식 홈페이지)
8월 20일, '클로저스'에 추가된 신규 코스튬 '하우스 키퍼 코스튬'이 판매 중단됐다. 여러 부위로 나뉜 의상을 무작위로 뽑는데다 단 한 세트에만 특수효과가 붙어, 유저가 현금을 사용한 만큼의 최소가치를 보장해줄 수 없다는 문제 때문이다.
코스튬 습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클로저스'에는 유료 아이템 '변환물질'을 사용해 코스튬을 뽑을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유저들 사이에서 속칭 '통돌이'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1회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확률에 따라 부위별로 코스튬이 나온다. 또한 본인의 캐릭터가 아닌 다른 캐릭터 의상도 나올 수 있다.
이번에 추가된 '하우스 키퍼 코스튬' 역시 이와 유사하게 운영됐다. 하나당 900원에 판매된 '클로저의 봉사 활동' 물질변환 아이템을 '통돌이'에 돌리면 부위별로 코스튬이 등장하는 방식이다.
이 코스튬에서 문제로 제기된 부분은 두 가지다. 하나는 '제이'를 제외한 캐릭터는 6종, '제이'는 5종으로 구성된 코스튬이 뽑는 유저의 캐릭터나 이미 보유한 부위에 관계 없이 무작위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A부터 D까지 총 4개 타입으로 나뉘는 코스튬 세트에서 다른 의상에는 없는 특수 능력치가 붙은 세트는 D세트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 '하우스 키퍼 코스튬' D타입 추가 능력치 소개 부문 (사진출처: 클로저스 공식 홈페이지)
다시 말해 D세트로 코스튬 하나를 맞추기 위해서는 116개 중 이에 해당하는 6종을 뽑아야만 한다. 뽑을 때마다 900원을 소모해야 한다는 가격적인 부담과 함께, 유저가 플레이 중인 캐릭터가 아닌 다른 캐릭터의 코스튬이 연속적으로 나온다면 유저가 느끼는 실질적인 가치는 '0원'이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 3성 코스튬으로 구분된 'D세트'는 기존에 출시된 3성 코스튬과 비교해도 추가 능력치가 월등히 좋다는 것이 유저들의 지적이었다. 여기에 '물질변환' 외에 단품구매도 가능했던 기존 코스튬과 달리 '하우스 키퍼 코스튬'은 오로지 '물질변환'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점 역시 문제로 지적됐다.
넥슨은 코스튬을 뽑을 수 있는 '변환물질' 아이템을 출시한 20일 오후에 즉시 판매를 중단했다. 넥슨은 '클로저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하우스 키퍼 코스튬이 물질 변환 상품으로만 판매되다 보니 유저들이 적지 않은 부담을 느꼈던 것 같다. 의견을 깊이 수용해 '클로저의 봉사활동' 물질변환 상품을 임시로 판매 중단하고, 앞으로의 판매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물질을 구매한 유저 중 원하는 분에 한해 구매 내역 전체를 넥슨캐시로 환불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
1
스팀 규정 위반, 블루 아카이브 리뷰 이벤트 급히 취소
-
2
존 윅 공식 게임, 17일부터 모든 플랫폼에서 판매 중단
-
3
[이구동성] "게임, 대여한 게 아니라 구매한 것이다"
-
4
문명 6 플래티넘 에디션, 에픽서 18일부터 무료 배포
-
5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형 업데이트 8월 말 온다
-
6
어쩌다 카드사가 스팀 성인게임을 심의하게 되었나?
-
7
[오늘의 스팀] 출시 전부터 이목 집중, 명나라 소울라이크
-
8
부산지하철에서만 한 달 간, 포켓몬 승차권 판매
-
9
스팀, 하반기 첫 테마 할인 '자동화 게임 축제' 15일 시작
-
10
[오늘의 스팀] 우주로 진출한 림월드, 평가 ‘압긍’
콩콩2015-08-20 19:05
신고삭제진짜 천번 만번 욕해줘도 속이 안풀릴 멍청한짓
문제는 D세트 차별옵션과 엉망진창 튜닝버그는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이죠
나딕은 이번 사건으로 많은것을 잃었다고 생각합니다
콩콩2015.08.20 19:05
신고삭제진짜 천번 만번 욕해줘도 속이 안풀릴 멍청한짓
문제는 D세트 차별옵션과 엉망진창 튜닝버그는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이죠
나딕은 이번 사건으로 많은것을 잃었다고 생각합니다
링크2015.08.20 19:26
신고삭제나딕은 여러가지 문제들로 유저들한테 고구마를 먹여왔는데 이번거는 정말 역대급이라고 생각합니다.
운영할때 유저를 어떻게 보는지 확실히 보여준듯. ATM기, 내놓으면 무조건 기뻐하면서 살 노예들 정도로밖에 안봤으니 저딴 기획이 나왔고 통과됐겠죠ㅎ
실망입니다. 앞으로 나딕이 제작한 게임은 안하려고요. 나딕에 항의하면 운영은 넥슨이 한다며 밀어내기나 하지 유저 말 들을 생각도 않던데.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08.21 00:49
신고삭제어휴....... 아주 그냥 스스로 지 무덤을 파네. 이래서야 과연 확률아이템 공개법을 막을 수 있겠어?
발암2015.08.21 09:46
신고삭제저기에 계정귀속으로 된다면.. ㄷㄷ
우웈2015.08.21 15:27
신고삭제늑대개 출시 이후 신규유저도 늘고 게임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는데... 각종 버그와 긴급점검으로 스스로 발목을 잡더니 결국 치명타도 스스로 먹여주는군... 제발 좀 그만해ㅜㅜ
앗앗2015.08.21 16:05
신고삭제이런게 진짜 사행성 아이템
넥슨은 대부분 이런걸로 돈벌라고하네
아오2015.08.22 01:54
신고삭제저것들은 뇌가 있는 건지 없는 건지... 내 가 하는 유일한 게임이다 ○○놈드라... 제대로 못 하냐ㅜ○
공포의지배자2015.08.22 12:24
신고삭제난 어느 순간부터 아무리 재미있어도 넥슨 게임은 안함
유저를 고객으로 보는게 아니라 호갱으로 보는 기업 마인드가 너무 싫어서
에라이 돈슨아
토끼긔2015.08.23 22:02
신고삭제클로저스는 진짜 복사부터 여러가지 문제 많아서 유저들 다 떠나보내고
최근에 다시 살려보겟다고 캐쉬 퍼주고 미워도 다시한번급으로 고개 조아리더니
슬슬 유저 늘어난건지 더이상 희망이 없다고 본건지 본색 들어내다 된통 뚜디맞음
에효 하는짓을 보니 다시 복귀하고 싶지도 않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