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월드 챔피언 탄생, ‘블소’ e스포츠 글로벌화 단초 발견
2015.11.15 00:04지스타 특별취재팀

▲ '블소 토너먼트' 첫 월드 챔피언이 배출됐다
‘블레이드앤소울(이하 블소)’ 초대 월드 챔피언이 탄생했다. 첫 우승의 영광은 '블소'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한국에 돌아갔다. 그러나 이번 대회를 통해 '블소'는 한국, 중국 등 기존 출전국 외에도 일본 등 새로운 국가가 참전하며 '글로벌 대회' 발전 가능성에 대한 단초를 발견했다. 작은 행사 ‘비무연’부터 심었던 'e스포츠' 씨앗이 싹을 틔우기 시작한 것이다.
엔씨소프트는 14일(토), 부산 영화의전당에서 ‘블소 토너먼트’ 결승전을 열었다. 김신겸(주술사)과 윤정호(기공사)의 대결로 압축되었던 이번 결승전은 김신겸의 4:1 승리로 마무리됐다. 김신겸이 '블소' 첫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며 지난 5월부터 장장 6개월간 펼쳐진 ‘블소 토너먼트’ 한해농사도 마무리됐다.
김신겸은 와일드카드전을 통해 극적으로 ‘블소 토너먼트’에 진출, 18연승이라는 진기록을 남기며 결승까지 올라왔다. 결승전에서도 그는 가차없는 초반 러쉬로 기공사 윤정호를 압박하며 두 세트를 내리 따내며 우승에 바짝 다가섰다. 이후 3세트를 윤정호에게 일격을 맞은 김신겸은 이어진 4세트와 5세트에서 특유의 저돌적인 플레이를 앞세워 주도권을 잡으며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목표였던 '22연승 우승'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첫 진출에 '우승'까지 거머쥐는 값진 결과를 얻었다.

▲ '주술사'로 강렬한 플레이를 선보인 김신겸

▲ '주술사'로 강렬한 플레이를 선보인 김신겸
결승전 직후 진행된 승자 인터뷰를 통해 김신겸은 “이렇게 큰 무대에서 우승하게 되어 정말 기쁘다. 대진표에 정말 강한 국내, 해외 선수들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기공사 선수들이 무서웠다. 어려운 준비 과정에서 결승 상대였던 윤정호가 많이 도와줬었는데 이렇게 결승전에서 그를 꺾고 우승을 거머쥐게 되어 고맙고 또 미안하다”라고 말했다.
엔씨소프트도 이번 리그를 통해 많은 것을 얻었다. ‘블소'도 하나의 e스포츠 종목으로서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평을 얻은 것이다.
‘블소’ e스포츠는 지난 2013년, 유저 이벤트 일환으로 개최됐던 ‘비무연’을 계기로 시작됐다. 이후 소위 '네임드' 선수들을 동원한 ‘비무제’로 그 규모가 확장됐고, 2014년 중순에는 정식 e스포츠화 계획까지 언급됐다. 당시, 자사 게임을 기반으로 한 정식 e스포츠 리그를 진행해보지 않은 엔씨소프트로서는 녹록지 않은 도전이었다.
가장 먼저 부딪친 문제는 ‘블소’ 자체에 있었다. ‘블소’ e스포츠는 게임 내 PvP 콘텐츠 ‘비무’를 사용한 대전이 주를 이루는데, 큰 변수가 없으면 3분 내에 승패가 갈리는 시스템이다. 즉, 한 세트 플레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각 캐릭터의 특징 및 기술을 깊이 아는 유저가 아니면 경기의 흐름을 읽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e스포츠 종목이 갖춰야 할 가장 큰 덕목이라 할 수 있는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 주룩주룩 내리는 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친 '묵화마녀 진서연'

▲ 주룩주룩 내리는 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친 '묵화마녀 진서연'
이에, 엔씨소프트는 이번 '블소 토너먼트'를 통해 문화 콘텐츠와 이벤트 경기를 리그에 접목해 전체적인 재미를 높이는 것을 해답으로 제시했다. 4강에서는 ‘블소’ 메인 캐릭터 ‘진서연’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뮤지컬 ‘묵화마녀 진서연’을 선보였다. '블소 토너먼트'를 위해 마련된 특별 뮤지컬이었던 '묵화마녀 진서연'은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무대 연출과 힙합, 사물놀이, 탭댄스 등 다양한 볼거리를 융합해 관중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더불어 결승전에서는 토너먼트에 참가했던 각국 선수들을 한 자리에 모아 같은 캐릭터를 사용하는 선수끼리 맞붙는 이벤트 경기 ‘미러전’이 열렸다. 같은 캐릭터를 사용하는 두 선수가 맞대결을 펼치는 '미러전'은 본 경기와는 다른 재미로 관중의 눈과 귀를 만족시켰다. 이런 다채로운 콘텐츠들을 기반 삼아 엔씨소프트는 ‘꽉 찬’ 4시간짜리 ‘블소’ e스포츠 리그를 만들어냈다.


▲ 이벤트 매치 '미러전'을 앞두고 준비하고 있는 선수들


▲ 이벤트 매치 '미러전'을 앞두고 준비하고 있는 선수들
한 가지 더 짚어볼 부분은 글로벌이다. 올해에도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국가 대표선수들이 대거 출전하며 '국제대회' 포맷이 꾸려졌다. 여기에 다가오는 2016년 '블소'는 북미와 유럽 정식 출시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리그 오브 레전드'나 '도타 2' 등을 중심으로 서양 시장에서 'e스포츠'의 가능성이 재조명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신호로 통한다. 다시 말해 '블소' 출시에 맞춰 e스포츠와 연계된 서비스를 진행한다면 머지 않은 시점 서양권 프로 선수를 만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완벽한 것은 아니다. 가장 큰 관건은 공정한 대결의 밑바탕이라 할 수 있는 '밸런스' 조정이다. 이번애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난 부분은 '주술사'가 지나치게 강하다는 것이다. '주술사'로 우승을 겨둔 김신겸 스스로가 '주술사가 강해 너프가 필요하다'고 언급할 정도다.
이처럼 ‘블소’ 밸런스는 e스포츠를 진행하기에는 완벽하다고 말하기 이르다. 더불어 기존과 다른 강점을 가진 새로운 캐릭터기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MMORPG 특성상 신규 직업 등장에 따라 '메타'가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엔씨소프트가 '블소'를 더 완벽한 'e스포츠'로 만들고 싶다면 각 직업 밸런스를 균등하게 잡을 필요가 있다.
'블소 토너먼트'를 통해 '글로벌 e스포츠' 발전 가능성에 대한 씨앗을 발견한 엔씨소프트가 추후 어떻게 리그를 발전시켜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SNS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스팀 규정 위반, 블루 아카이브 리뷰 이벤트 급히 취소
-
2
닌텐도 스위치 2, 발매 한 달 만에 일반 판매 전환됐다
-
3
[이구동성] "게임, 대여한 게 아니라 구매한 것이다"
-
4
존 윅 공식 게임, 17일부터 모든 플랫폼에서 판매 중단
-
5
문명 6 플래티넘 에디션, 에픽서 18일부터 무료 배포
-
6
[오늘의 스팀] 57만 동접이 1만으로, POE 2 침체 계속
-
7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형 업데이트 8월 말 온다
-
8
부산지하철에서만 한 달 간, 포켓몬 승차권 판매
-
9
스팀, 하반기 첫 테마 할인 '자동화 게임 축제' 15일 시작
-
10
[오늘의 스팀] 우주로 진출한 림월드, 평가 ‘압긍’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11-15 16:43
신고삭제E-스포츠? 한가지 묻습니다. 그 수 많은 캐쉬템 쳐 팔고 게임 밸런스 줴다 망쳐버리는 오버벨런스 템 양산해서 뮤지컬 만들고 불꽃으로 돈 쏟아붇는다고 정작 게임을 즐기는 수 많은 유저들은 다 뭐가되나요? 돈으로 일군 저 따위 바벨탑이 과연 얼마나 갈것 같은가요? 주술사? 비무 밸런스? 그딴거 다 차치하고 더 본질적인 문제를 E 스포츠로??
방송은 저도 즐겼습니다. 영상으로도 충분히 재밌으니 현장은 더할나위 없었겠죠. 근데 E 스포츠를 한답시고 게임 전체를 지금처럼 말아 쳐먹는 짓거리는 더 이상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돈에 미친 족속은 가까운 시일에 그 대가를 치루기 마련이니까요.
ㅇㅇ2015.11.15 13:03
신고삭제와우도 못한 rpg e스포츠를 불소가 한다고?? 일단 글로벌 진출부터 하고 생각해야되는 문제 아닌가??
ㅇㅇ2015.11.15 13:04
신고삭제계속 신캐가 나오면 계속 신캐만 우승할텐ㄷ 그렇다고 신캐를 안 세게 만들면 업데이트하는 의미가 없고 딜레마다
ㅇㅁㅇ2015.11.15 13:06
신고삭제암신에게 전용준이 패인이 뭐냐고 물었을때 그의 대답이 주술사기였죠
ㅇㅇ2015.11.15 13:08
신고삭제애초에 뭘 많이 끼워넣는다는게 e스포츠로서 뭔가 부족하다는 거 아닌가? 롤 대회에서 뮤지컬 본적있나?? 거기는 점점 외부행사를 줄여가고 있ㄴ데 쯕쯧
하는건엔씨지2015.11.15 13:10
신고삭제하튼 울나라 애덜은 머 새로 한다고 하면 득달같이 달라들어 욕만 직살나게 한다. 니네가 돈스냐 엔시가 쓰지 이스포츠종목 별로없다고 롤박에없더고 떠들건애들이 다른겜들멋이면서 욕하는ㄱ보면 열심히하는사람 김새는건 일도아니지 욕하지말고 어찌대나보면되는거아니냐 돈은 엔씨가쓰는구만
PentaF2015.11.15 13:28
신고삭제이번에 엔씨가 얼마나 돈을 많 붓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 경기 진행법도 좋았음
다만 주술사기
귄터2015.11.15 13:39
신고삭제초대 블소 챔피언 축하드립니다!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11.15 16:43
신고삭제E-스포츠? 한가지 묻습니다. 그 수 많은 캐쉬템 쳐 팔고 게임 밸런스 줴다 망쳐버리는 오버벨런스 템 양산해서 뮤지컬 만들고 불꽃으로 돈 쏟아붇는다고 정작 게임을 즐기는 수 많은 유저들은 다 뭐가되나요? 돈으로 일군 저 따위 바벨탑이 과연 얼마나 갈것 같은가요? 주술사? 비무 밸런스? 그딴거 다 차치하고 더 본질적인 문제를 E 스포츠로??
방송은 저도 즐겼습니다. 영상으로도 충분히 재밌으니 현장은 더할나위 없었겠죠. 근데 E 스포츠를 한답시고 게임 전체를 지금처럼 말아 쳐먹는 짓거리는 더 이상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돈에 미친 족속은 가까운 시일에 그 대가를 치루기 마련이니까요.
미르후2015.11.15 20:07
신고삭제엔씨는 그저 유저를 위한 패치보다.... 잿밥에 관심이 많습니다. 소 귀에 경 읽기입니다. 엔씨한데 백날 말해봤자 소용 없어요 3중 과금으로 시끄러울때도 엔씨는 니들은 하지 마라.. 할 사람은 다 하니깐 맘으로 그 지.랄 떨고도 강행 했던 엔씨랍니다. 뭐 바라세요 엔씨한데 바라지 말고 엔씨 게임은 안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국내 게임사들 제대로 된 업체는 보이지도 않아요...
미르후2015.11.15 20:10
신고삭제쳇 아무리 저렇게 해도 하드유저한 유저들만 하게 됨.. 초보나 신규 유입은 절대 없습니다. 기존 했던 사람만 하고 있으니 말이죠 그것두 속히 3중과금에.. 현질유도에 질러 버린 사람 외에.... 소히 할사람들은 한다는 부류의 사람들과 하드유저한 유저들만 (죄송합니다. 일부 유저분들 뭐라 하는 것이 아니라 엔씨의 정책이 잘못 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에...) 하게 된다는 것을요... 그저 구경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함정이지요...
kamian2015.11.16 14:11
신고삭제우리나라 블소는 그냥 유료 테썹 아닌가..
군단재익 떡쳐! 망쪼2015.11.17 00:01
신고삭제아니 미친; 이게 왜 추천이 이리 박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