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동성] 오큘러스 리프트, 내겐 너무 부담스러운 보급형
2016.01.08 18:59게임메카 김영훈 기자

메카만평
.jpg)
[관련기사]
지난 7일(목), 뭇 게이머가 손꼽아 기다려온 VR(가상현실)기기 ‘오큘러스 리프트’ 소비자 버전이 사전예약에 돌입했습니다. 4년 전까지만 해도 공상에 불과했던 게이밍 VR이 어느새 상용화 단계라니, 그야말로 감개무량이죠. 문제는 구체적인 정보가 하나 둘 공개될수록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는 겁니다.
가장 큰 문제는 당초 기대와 다른 높은 가격대입니다. 크라우드 펀딩으로 출범한 오큘러스VR은 당시 지나치게 비쌌던 VR기기 대신, 저렴한 보급형을 제작하겠다고 천명했습니다. 실제로 이후 개발자 키트 ‘DK1’과 ‘DK2’을 300~350달러에 선보여 상용화 버전도 400달러(한화 약 47만 원)을 넘지 않으리란 것이 중론이었죠.
그러나 막상 공개된 ‘오큘러스 리프트’ 소비자 가격은 599달러에 세금과 짐삯을 더하면 한화로 80~90만 원에 달합니다. 그간 팔머 럭키 CEO가 직접 “400달러 정도이거나 그보다 약간 더 비쌀 것이다”라고 지속적으로 언급한 것과 정면으로 대치되죠. 게임메카 ID 팔머러키스타님은 “600달러가 400달러보다 약간 비싸? 역시 젊은 나이에 성공하니까 돈개념이 우리랑 많이 다르네, 허허 허허”라며 실망을 금치 못했습니다.
악재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그간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대외활동을 벌이며 기기를 홍보한 것이 무색하게, 한국은 1차 출시국서 아예 배제되었습니다. 앞서 아이폰을 비롯해 여러 해외 전자기기 판촉에서 소외된 바 있는 국내 유저들은 이번에야 말로 정말로 뿔났습니다. 게임메카 ID 가란드대님은 “가상의 꿈은 저 멀리로… ㅂㄷㅂㄷ 망할 놈들”이라며 울분을 토했고, 게임메카 ID wqesdad님은 “이때만큼은 한국에 태어난 게 저주스럽다”며 주저앉았습니다.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르자 빠르게 ‘오큘러스 리프트’를 등지고 대체재를 찾아나서는 움직임도 보입니다. 게임메카 ID PS님은 “이 참에 PSVR로 갑시다. 썸머레슨 썸머레슨 썸머레스으으으으은!!”이라며 소리쳤고, 게임메카 ID docr님 또한 “소니 PSVR보다 성능이 월등한가;;; 오큘러스로 썸머레슨 되나...???”라며 두 기기를 저울질 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부정적인 여론으로 점철된 것은 아닙니다. 팔머 럭키 CEO가 가격에 대해 거짓말을 하긴 했지만, 여전히 ‘오큘러스 리프트’를 지지한다는 유저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들은 이제 겨우 1세대기인 점과 훌륭한 성능을 고려하면 결코 600달러가 아깝지 않다며 여론 반전에 앞장서고 있죠.
게임메카 ID Baron3시세끼님은 “(전략)…최첨단 기술의 광학 렌즈들... 캬, 100만원 넘어가는 사과폰은 잘만 사면서 이게 비싸다고?”라며 합리적인 가격이라 평했고, 게임메카 ID .....님 또한 “첨엔 다 비싼 법 아닙니까? 기술력이 좋아지고 보급될 만큼 시장환경이 조성되기만 하면 가격이 금방 내려갈꺼라 예상됩니다”라며 이해의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오큘러스VR이 처음 출범할 당시부터 지켜온 ‘누구나 구입할 수 있는 보급형’ VR기기에 대한 노선이 막판에 틀어진 것은 너무나 아쉬운 일입니다. 그러나 이미 예약판매를 개시한 ‘오큘러스 리프트’의 가격을 무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죠. 작금의 가격이 결코 과하지 않다는 여론도 적잖은 만큼 이번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꿈에 그리던 가상현실로 가는 티켓 80만 원이 쌀까요 비쌀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오큘러스VR이 처음 출범할 당시부터 지켜온 ‘누구나 구입할 수 있는 보급형’ VR기기에 대한 노선이 막판에 틀어진 것은 너무나 아쉬운 일입니다. 그러나 이미 예약판매를 개시한 ‘오큘러스 리프트’의 가격을 무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죠. 작금의 가격이 결코 과하지 않다는 여론도 적잖은 만큼 이번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꿈에 그리던 가상현실로 가는 티켓 80만 원이 쌀까요 비쌀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만 지역 제한, 왜?
-
2
[오늘의 스팀] 한국 따돌린 오블리비언, 스팀서 ‘훨훨’
-
3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4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5
발더스 게이트 3의 ‘꿀잼’ 신규 서브 클래스 5선
-
6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7
가츠가 성역에, 디아블로 4 '베르세르크'와 컬래버
-
8
목숨 걸고 싸우자, 스팀 '전쟁 게임‘ 할인 29일 시작
-
9
단간론파 제작진 신작 ‘헌드레드 라인’ 메타 85점
-
10
[이구동성] 혐한? 실수?
jihyuck2016-01-08 21:32
신고삭제1차 출시국은 호주와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폴란드, 스페인, 스웨덴, 대만, 영국, 미국
역시나 헬조선은 듣보잡 국가 맞네..
CULTIST0012016.01.08 19:21
신고삭제팔머의 얼굴에서 게이브의 잔향이 느껴진다.
근데 솔직히 조금 비싸긴 해도, 곰곰이 생각해보면 예전 전자품
첫 출시와 비교하면 그리 비싸다고 보기에도 어렵네요.
물론, 너무 비싸긴함 보급형이라 부르기엔
헤들리스2016.01.08 19:23
신고삭제조금 너무 비싸지 않나 싶다.
으으어어어엉어억
물론 그전에 일단 국내 판매나 되어야지 뭘 하겠지
wlw2016.01.08 19:24
신고삭제일단 국내 가격을 까봐야 알듯.
막상 이래놓고 사전구매가 아닌 일반판은 조금 완화될수도 있잖아요?
ㅇㅇ 개인적으로 그때를 노린다 ㅇ
아님 말고
오큘러스 비싸2016.01.08 19:29
신고삭제vive에 관심도 없었다가 이번 사태로 vive에 급 관심이 생기네요
Ji Hun Bae2016.01.08 19:45
신고삭제조금 비싸다 -> 20만원 더 비싸다... 솔직히 그냥 80만원이라 하면 별 생각없는데 얘기가 저렇게 되면 또 다르지...
불안나2016.01.08 19:46
신고삭제글쎄 600달러라.....그게 할만한 게 많으면 좋은데 아직은 잘 모르겠다...가격도 가격이지만 좀 두고 봐야지
도톨군2016.01.08 21:07
신고삭제다들 연봉 2억씩은 받는거 아니에요?
jihyuck2016.01.08 21:32
신고삭제1차 출시국은 호주와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폴란드, 스페인, 스웨덴, 대만, 영국, 미국
역시나 헬조선은 듣보잡 국가 맞네..
가슴올리고호흡2016.01.08 23:27
신고삭제저것만사면머해 컴터 업글도 무지막지하게 해야하는데 ㅎㅎ
시라2016.01.09 01:42
신고삭제에즈커 : 흥할수 있을까 했더니 시무룩
askmsas2016.01.09 02:30
신고삭제근데 다들 가격 비싸다고 하는데 그거 돌리는 컴퓨터는 가지고 계신가요? 그거 돌릴정도 컴 가지고 있으면 오큘러스 가격 그다지 신경 안 쓰실것 같은데....물론 싸면 좋지만요. 그리고 1년이상 지나면 중국님들이 알아서 해결을 해 주실 것이라 믿어요. 여지껏 그렇게 했으니까요....
책상무상수리2016.01.09 16:56
신고삭제관련기사 링크 수정좀 해주세요. 콘텐츠 만드는 ~ 기사 누르면 출시 임박 ~ 기사가 뜨네요.
윈버드2016.01.10 01:05
신고삭제컨텐즈 개발사가 없어서가아니라 한국이 전파인증을 안내줘서 한국에 출시를못한겁니다
Creaby2016.01.10 15:07
신고삭제듣보잡이 아니라 시장성이 없는거지 ㅋㅋ 까놓고 VR 우리나라에서 관심있는 사람 몇이냐 되냐 패키지게임도 다운받아서 하는 판국에..
흑인아저씨2016.01.10 18:58
신고삭제Nvidia Experience 들어가서 장치 - 가상현실 카테고리를 보시면, 최소사양이 적혀 있는데, 이 부분까지 고려한다면 PC용 VR 기기는 상당한 금액 지출이 요구됩니다.
일단 뭐... GTX 970이 최소 요구치인데, 그거 가격에다가 국내 정발 안된 물건을 해외배송으로 하면 기본가격에 + 무게에 따른 추가 배송비 하면 -__-;;
흑인아저씨2016.01.10 18:59
신고삭제안해볼 수 없지!! 하는 라인업들이 대기 타고 있다면 그런 정성을 들여서라도 구입해서 플레이 해보고, 주변인들에게 자랑도 할 수 있겠지만 과거 닌텐도 버츄얼보이 마냥 할 것도 없는 기기가 되면 피같은 돈만 날리는 셈만 될 겁니다.
kuman2016.01.10 22:25
신고삭제가격보니 ps vr이나 노려야겠다.
달빛로망2016.01.18 17:53
신고삭제2005년도에 대학진학때 연대 게임과 면접 보면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공부하고 싶다고 말했다가 면접관이 공상과학영화 너무 많이 봤다고 비웃은게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