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질병화 반대, 문체부와 한콘진 WHO에 의견서 전달
2019.05.01 14:24게임메카 김미희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한콘진)은 지난 29일, WHO에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안(ICD-11)에 '게임이용장애'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전달했다.
문체부와 한콘진이 전달한 의견서에는 5년 간 지행된 게임이용자 패널(코호트) 조사 연구(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의준 교수) 결과와 함께 현재까지 발행된 1~4차년도 보고서 원문이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번 조사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간 한국 10대 청소년 2,000명을 대상으로 게임이 이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게임 과몰입 원인은 무엇인지를 추적한 것이다. 이는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첫 장기추적 연구로, 사회과학과 임상의학 분야 패널을 각기 조사해 게임 과몰입의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문체부와 한콘진은 의견서에서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은 게임 그 자체가 문제 요인이 아니라 부모의 양육 태도, 학업 스트레스, 교사와 또래지지 등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패널조사 연구내용을 핵심적으로 피력했다.
임상의학적으로 게임 이용이 뇌 변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와 같은 질환이 있을 때 게임 과몰입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게임 과몰입에 대한 진단과 증상에 대한 보고가 전세계, 전 연령층에 걸친 것이 아니라 한국·중국 등 아시아에 국한되어 있고, 청소년이라는 특정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한편, WHO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화 이슈에 대해 한국게임산업협회에서도 반대 의견을 제출하는 등 민관이 함께 노력하고 있다. 한콘진 강경석 본부장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화는 게임 산업에 대한 극단적인 규제책으로만 작용할 뿐, 게임 과몰입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며 "본 사안에 대해 학계·업계 관계자들과 유기적인 공조를 통해 게임 과몰입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확산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
1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국만 지역 제한, 왜?
-
2
[오늘의 스팀] 한국 따돌린 오블리비언, 스팀서 ‘훨훨’
-
3
팰월드 개발사 ‘닌텐도, 다른 게임은 놔두고 왜 우리만’
-
4
[오늘의 스팀] 'RTS는 끝물' 편견 깬 템페스트 라이징
-
5
스팀 '전쟁시대', 저작권 없는 무단 출시로 밝혀져
-
6
발더스 게이트 3의 ‘꿀잼’ 신규 서브 클래스 5선
-
7
가츠가 성역에, 디아블로 4 '베르세르크'와 컬래버
-
8
단간론파 제작진 신작 ‘헌드레드 라인’ 메타 85점
-
9
[이구동성] 혐한? 실수?
-
10
목숨 걸고 싸우자, 스팀 '전쟁 게임‘ 할인 29일 시작
jungpo10002019-05-02 10:16
신고삭제우리나라가 문화를 주도하는게 음악뿐만 아니라 게임산업도 한몫 하는데...질병이라면..김구선생님이 말씀하셨지.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건 높은 문화의 힘이다.
jungpo10002019.05.02 10:16
신고삭제우리나라가 문화를 주도하는게 음악뿐만 아니라 게임산업도 한몫 하는데...질병이라면..김구선생님이 말씀하셨지.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건 높은 문화의 힘이다.
최고가될래2019.05.02 10:22
신고삭제잘하고 있네
프록시마2019.05.02 10:22
신고삭제게임이 과몰입의 원인이 아니라 다른 요인의 결과일 텐데.
플라즈마2019.05.02 11:09
신고삭제게임은 질병이 아닙니다. 게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야구몰라요2019.05.02 11:24
신고삭제게임이 문제가 아니고 개인환경의 문제가 더 큰거같은데
하이엘프디드리트2019.05.02 12:18
신고삭제게임을 즐길는 사람이 이 지구에 수 천만명이 될텐데..그럼 다 환자인가. 중세 마녀사냥 느낌이다.
sakikkun2019.05.02 12:19
신고삭제게임시장 주도권 안뺏길려고 노력하는 모습
골프매니아2019.05.02 13:16
신고삭제위쪽 사람들의 행동이 너무 답이 없네요 ㅡㅡ
hst1112019.05.02 14:41
신고삭제게임을 질병으로 생각하지말고 문화로 생각했으면 좋겠네요 과거의 중세시절의 마녀사냥은 안했으면 좋겠네요
미친소2019.05.02 15:04
신고삭제적극적인 대처가 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산업 하나를 마녀사냥으로 몰락시키는 결과가 나올지도 모르니 막아야 지요.
모노블로스2019.05.02 15:36
신고삭제정말 좋은 대처인데 그래봤자 삐딱하게만 볼 몇몇사람들 때문에 이러한 의견이 그저 뭉개질거같아 슬프네요...
아칼리2019.05.02 15:54
신고삭제한류를 그렇게 좋아하는 대한민국 정부는 왜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수출 효자품목인 게임을 죽이지 못 해 안달이었을까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WHO에 제출된 문체부 한콘진 의견서가 잘 반영되길 기대합니다.
아이쿠루2019.05.02 16:21
신고삭제한쪽에선 게임 산업 활성화 위해 노력하고, 다른 한쪽에선 질병이라고 하고
진지보이2019.05.02 16:50
신고삭제모든 것이 지나치면 병이지만.. 게임도 일상생활에 도움될 때도 있습니다.
금강22019.05.02 16:56
신고삭제게임 산업이 얼마나 큰데 답이 없다..
이하울님2019.05.02 17:49
신고삭제언제부턴가 게임이 질병이 되었다. 왜 일까?
술새우2019.05.02 19:47
신고삭제나도 어렸을때부터 게임을 좋아 했지만 절제가 중요하긴 합니다.
너의기억2019.05.02 19:52
신고삭제찬성할줄 알았는데 반대의견을 내다니....
데세르비르2019.05.02 20:22
신고삭제게임이 질병이면 질병아닌게 뭐가 있다는건지
mook12019.05.02 20:36
신고삭제게임이 질병? 뭐하자는 건지?
검은13월2019.05.02 20:40
신고삭제돈벌려고 환장한 돌팔이들이 말을 듣겠나
해빌2019.05.02 20:58
신고삭제게임과 관련된 곳에서 의견을 제시하니 좋네요
꿀 먹은 벙어리처럼 가만히 있는 거보다 이렇게 나서 주니
엉클베리2019.05.02 21:34
신고삭제노력에 기대하는 결과가 있었으면 하네요 규제만 하려하지말고 부작용을 치료하는 시스템을 만드는게 우선이지 않나 싶네요
up하게2019.05.02 21:48
신고삭제논쟁의 끝은 언제쯤
wnalstjr2019.05.02 21:54
신고삭제연세있는 분들에게 게임이 해롭지 않다는 인식을 심는건 거의 불가능 할듯
세릴라도2019.05.02 22:20
신고삭제의견서 전달한것은 잘 했는 것 같네요
써니2019.05.02 22:48
신고삭제게임에 책임 전가하는 느낌
대장2019.05.02 23:03
신고삭제게임 산업 규제 방안이 될까봐 걱정이네요
피파폐인2019.05.02 23:10
신고삭제게임질병화.. 개소리하네 ㅋㅋ
무적2019.05.02 23:16
신고삭제좀 아닌거 같은데요
럭키루키2019.05.02 23:23
신고삭제게임이 왜 질병일까요
EdgeGM2019.05.02 23:27
신고삭제잘하네요
jyn34932019.05.02 23:52
신고삭제게임이 질병....?
그래도 문체부에서 일좀했네
mint2019.05.02 23:55
신고삭제왜죠?
민블리2019.05.02 23:56
신고삭제게임은 질병까진아니라고봄 일잘하고있네요
komme112019.05.03 15:50
신고삭제게임질병화 관련 얘기가 2년 전부터 나왔는데 다들 뭐하다가 지금에야 부랴부랴... 꼭 벼락치기 숙제하는 애들같네